74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병량-
dc.contributor.author이진우-
dc.date.accessioned2020-03-27T16:56:28Z-
dc.date.available2020-03-27T16:56:28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38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503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이 기본적으로 쌍방향적인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헬스 커뮤니케이션만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커뮤니케이션 전달자와 수용자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공중 보건학 이론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방법 도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스트레스 대처의 상호 역동이론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대처,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에 헬스 커뮤니케이션에서 유발되는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스트레스 대처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첫째,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스트레스가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대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개인적 특성 요인의 스트레스 대처노력 정도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상황적 요인의 자기효능감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스트레스가 클수록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효과성은 작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는데, 회귀분석결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스트레스가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호감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에 대한 정서중심적 대처나 문제중심적 대처가 높을수록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가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더 작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는데,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와 문제중심적 대처의 회귀분석이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성립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의 계수의 절대값이 통합 회귀분석 모델에서 오히려 더 커지고 있어 매개효과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에 대한 문제중심적 대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에 대한 정서중심적 대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증가할수록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가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더 작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는데, 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어 매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와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은 지지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실시할 때 발생되는 의도되지 않은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효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로 특히,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트레스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규명하고, 탐색기술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키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 되어야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스트레스가 감소함을 밝히고 있다. 또한,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스트레스 대처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였다는 데에서 본 연구의 학문적인 시사점을 도출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스트레스와 헬스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관계는 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necessity of executing the research that reflects the unusual propertie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based on the mutual interactive relationship. Also, it studies the existing communication theorie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ipient of the communication. In order to execute the research for the deduction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regard to the theories related to public health, a research about stress management and self-efficacy has been carried out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focusing on the interactive dynamic theory of the stress management. For such a purpose, in order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health communication and identify the adjusting effectiveness of stress management and self-efficac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stres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level of influence by the consumer's stress, regarding the health communication stress, on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first of all. Second, as an adjusting variabl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influence provided by the level of the stress-managing effort for the personal propert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Third, as an issue for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influence provided by self-efficacy for the situational factors on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as an adjusting variable.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became greater, it wa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would decrea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health communication stress negatively influences the favorable image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Second, as the level of emotion-oriented or problem-oriented management for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became greater, it was expected that the negative influence provided by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would become smaller. It has been found that since the regression analysis in regard to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and the problem-oriented management is not significant,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um. Regarding the emotion-oriented manageme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dition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um is not satisfied, as the absolute values of the stress coefficients become even greater in the integrated model of the regression analysis. Furtherm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adjustment effectiveness of the problem-oriented management for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adjustment effectiveness of the emotion-oriented management for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the level of self-efficacy became greater in regard to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it was expected that the negative influence provided by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would decrease.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level of self-efficacy satisfies all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u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ertain level in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um.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self-efficacy does not play an adjusting rol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Instead, it play the role of the medium.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ness in regard to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by identifying the unintended effectiveness which is generated during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ustomer's communication stress. Also, the research says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ole of self-efficacy in regard to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and increase the level of self-efficacy in regard to the technology of investigation. It says that by providing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through such a way, the stres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would decrease. Also, it is possible to draw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discussion in regard to the role of the stress management,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stress related to th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uch a campaign. There is a great level of significa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communication stress and the health communication effectiveness, which are suggested by this research.-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커뮤니케이션 스트레스가 헬스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Stress on the Effect of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진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in Wo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광고홍보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광고학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