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7 0

中國 朝鮮族 農村居住空間의 特性과 變遷에 關한 硏究

Title
中國 朝鮮族 農村居住空間의 特性과 變遷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The research on the rural living space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Chinese Koreans : Focusing on the Chinese Koreans’ villages and houses in provinces of Northeast China
Author
김일학
Alternative Author(s)
Jin, Ri Xue
Advisor(s)
박용환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조선족은 한반도에서 이주해간 과계민족(過界民族)으로써 중국에서 1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의 이주, 정착 및 생활사는 중국 동북지역의 근, 현대사를 관통하고 있다. 「한(漢)문화」를 주도로 한 이문화권의 갈등과 동화 속에서 조선족은 한민족(韓民族)으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들 나름대로의 독특한 민족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 조선족의 주거문화는 한반도의 전통주거문화와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 한편 또한 많은 것들이 정통에서 떨어져 있음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의 조선족 문화와 한반도의 전통문화의 비교에서 뿐만 아니라 중국 현지의 같은 원적을 가진 조선족 사이에서도 현저한 차이점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선족 특유의 거주 공간 및 생활방식이 지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을 나타내며, 전통적인 주생활공간이 어떻게 지속되어 가고 있고, 또한 근대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조선족인구의 70%이상이 분포되어 있는 동북 3성의 농촌지역을 토대로, 마을과 주거를 대상으로 지역별, 원적별 이들의 거주공간의 특성과 변천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보다 넓은 지역의 사례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결론의 보편성을 제시하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이점을 둔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여 진행된 각 장별 내용과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선행연구고찰,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조선족의 개요 및 개념에 대해 정리, 요약하였다. 제2장에서는 조선족에 대한 역사적 고찰로서 조선족의 이주역사, 분포특징과 시기별 조선족에 대한 정책 및 규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조선족마을을 대상으로 마을의 유형, 개요, 공간구성형태와 그 변화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1) 조선족 마을은 건립배경에 따라 자유이주민 개척마을(자연마을)과 일제강점기의 조선인이주민 개척마을(집단마을)로 분류되고, 지형에 따라 산간마을, 산변마을, 평지마을로 분류되는데, 자연마을은 주로 두만강과 압록강 등 조기의 이주지역에 분포하여 산간마을 또는 산변마을을 형성하고, 집단마을은 주로 동북3성 내륙지역의 하천부근에 분포하여 평지마을을 형성한다. 2) 공간구성형태에 있어서 집단마을은 격자형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자연마을은 산세에 따른 자연배치와 격자형구조의 혼합형을 나타내고 있다. 3) 주택의 향은 자연마을의 경우 이주초기의 배산임수의 배치형태에서 현재의 남향배치로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집단마을의 경우에는 대부분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집단마을은 자연마을에 비해 교통이 발달되고, 경제력이 발달되어 있음으로 마을규모, 인구밀도, 주택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 마을의 변화에서 먼저 인구구성에 대한 살펴보면 자연마을은 조선족마을로서의 순수성을 지키고 있는 반면, 집단마을은 한족들의 유입으로 다민족 마을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공간구성형태는 인민공사화운동을 경계선으로 자연마을과 집단마을이 모두 격자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 중 자연마을은 지형적 영향으로 어느 정도 자연배치의 형태를 지속시키고 있다. 제4장에서는 조선족농촌주거를 대상으로 원적구성별 조선족농촌주거의 공간적 특성과 주생활 행위 및 공간이용형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1) 공간구성형태에 있어서 함경도 원적을 조선족농촌주거는 정지중심형의 평면형태를 구성하는데 두만강과 압록강 유역은 함경도 전통민가의 주거공간을 지속시키고, 중-러 국경지역 및 흑룡강성 내륙지역은 함경도 전통민가에서 변형된 평면형태를 나타낸다. 평안도 원적을 조선족농촌주거는 정지중심형, 부엌중심형, 복도중심형, 거실중심형 등 다양한 평면형태를 나타내며, 지역적으로 볼 때 정지중심형은 압록강유역에 분포되어 있고, 부엌중심형과 복도중심형, 거실중심형은 동북3성의 내륙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경상도 원적을 조선족농촌주거는 부엌중심형, 복도중심형, 혼합형 등 평면형태를 나타내며, 동북3성의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2) 주생활 행위 및 공간이용형태를 살펴보면 실별 생활행위가 중복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실의 기능분화가 명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함경도 원적을 가진 조선족농촌주거는 정지방과 온돌방 전면에 개축된 바당 공간을 중심으로, 평안도원적과 경상도원적을 가진 조선족농촌주거는 띠캉, 거실 등 새로운 공간을 중심으로 계절에 따라 다양한 생활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5장에서는 조선족농촌 거주공간의 지속과 변용에 관한 고찰로서 마을과 주거 두 가지 측면에서 각각의 특성과 이들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1) 마을 대부분 조선족마을은 근대화과정에서 한족마을과 마찬가지로 격자형구조로 변화하고 있는데, 그 중 자연마을은 지형적 영향, 경제발전의 부진 등 원인으로 배산임수에 따른 한반도전통마을의 형태가 부분적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다. 2) 주거 조선족농촌주거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화형태를 나타낸다. 조선족이 가장 많이 분포된 두만강과 압록강유역은 함경도와 평안도원적을 가진 조선족농촌주거를 중심으로 한반도의 전통주거공간을 지속시키고 있는데 반하여, 한족과 만족이 많이 분포된 동북3성의 내륙지역은 경상도원적을 가진 조선족농촌주거를 중심으로 다양한 원적구성형태의 평면형태가 나타나며, 또한 이들은 타민족 주거를 토대로 주거공간의 형성 및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선족농촌주거의 전반적인 변화과정에서 근대화과정이 변화의 주 원인으로 되고, 타민족 및 타원적 주문화의 영향이 변화의 부차적인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함경도원적을 가진 조선족농촌주거에서 나타나는 온돌방 전면의 바당공간과 평안도, 경상도 원적을 가진 조선족농촌주거에 나타나는 띠캉 공간은 모두 근대화과정에서의 거실화의 산물로서 각자의 평면형태를 토대로 그 형성과정이 다르지만 이들은 좌식을 토대로 한반도의 대청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며, 한족의 띠실 또는 거실공간과 근본적인 구별을 나타낸다. 3) 마을과 주거의 상관관계 마을과 주거의 상관관계에서는 마을의 인구구성과 경제수준이 그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자연마을은 집단마을에 비해 조선족마을로서의 인구구성의 순수성을 나타내며 주거공간의 형태에서도 단일성을 나타낸다. 반대로 집단마을은 자연마을에 비해 교통이 발달되고, 생산력과 경제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음으로 이에 따른 다양한 주택형태 및 구조방식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본 연구의 주요내용과 그 결과를 요약하여 기술하였다. 조선족의 농촌거주공간은 지역별, 원적별 다양한 공간구성형태와 변천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최근 10년 가까이로 조선족 농촌사회는 도시화의 무분별한 정책과 개발, 그리고 도시진출에 의한 농촌인구의 감소 등 원인으로 전통적인 요소들의 변형과 훼손이 심각하다. 특히 2006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사회주의신농촌건설운동'에서 일부 지역은 마을의 전통초가를 허물고 필지를 규격화하여 같은 형태의 주택을 대량으로 건설함으로써 마을 패턴을 완전히 탈바꿈시키는 사례가 적지 않다. 농민들의 생활을 개선하자는 목적에서 시작된 이번 운동은 물질적으로 농촌경제의 활력과 발전, 그리고 생활의 편리성을 가져다 준 한편 지역별 주거문화에 대한 사전검토의 부족으로 인해 주택계획의 천편일률이 불가피하였으며 또한 이로 인해 마을 패턴과 주거공간의 지역적 특징이 상실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조선족전통마을 및 주거를 대상으로 지역별 원적별 조선족거주공간의 특성과 그 변화의 경향에 대해 재조명한 점에서 그 현실적 의의를 가진다.; Chinese Koreans belong to the diaspora who moved to China from the Korean peninsula about 150 years ago. Their migration and life are in the modern history of Northeast China. In the “Chinese culture” dominated background, on the one side, Chinese Koreans are assimilated, but on the other side, they maintained the integrity of their own culture, thus formed a unique culture. Likewise, the living culture of Chinese Koreans ha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ose living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difference is reflected not only in the Chinese Koreans and those Koreans living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in those Chinese Koreans who have the same origins but currently living in different areas of China.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villages of Chinese Koreans which consists of more than 70% population of Chinese Korean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ir rural living space characteristics and the evolution. In order to make the conclusion more general, the investigation covers a possibly large area and subject of the study is the one no previous research has investigated yet. The main content of each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one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e current study. In addition, a brief introduction and the related definition of Chinese Koreans are also in Chapter one. Chapter two reviews the immigration history, distribution features of Chinese Koreans and the policies and regulations to them in different periods. Chapter three is about the types, space characters and evolutions of Chinese Koreans’ villages. 1) Based on the form background, the Chinese Koreans’ villages can be divided into immigrated village (natural village) and pioneered village by Korean pioneers in Japanese dominated period (tribe village). Based on the terrain, it can also be divided into mountain village, hillside village and plain village. The natural village mainly lies in early immigrating areas such as those along the Tuman and Yalu river, and forms the mountain village or hillside village. The tribe village mainly lies in the inland areas of northeast China and thus forms the plain village. 2) In the space character, tribe village belongs to the grid shape whereas natural village belongs to the mixed space of both natural shape formed by the natural topography and the grid shape. 3) In terms of the orientation, natural villages have a very varied orientation, from the original “back mountain and from water” structure to the current southward structure. In contrast, most tribe villages are southward. Besides, tribe village has more convenient transportation, higher economic level than the natural village. Thus tribe village has a higher population density and residential density than the natural village. 4) In terms of the village evolution, natural village maintains the purity of the Korean village while tribe village gradually turns to the multi-ethnic village with the immigration of Han and other ethnic groups. Besides, in the spatial character, both of natural village and tribe village develop to the grid patterns while natural village still somewhat retains the natural layout of the original shape influenced by the terrain. Chapter four analyzes the spatial character, lifestyle and the corresponding space utilization of the houses in rural areas based on these Chinese Koreans origins. 1) In terms of space, houses originated from Xian Jing Dao formed a Jeongji-centered shape, which are mainly distributed along Tumen River, Yalu River, inland areas of Hei Long Jiang province and the border region of Sino-Russia. Those along Tumen and Yalu River maintain the original space character of Xian Jing Dao, while those in the inland areas of Hei Long Jiang province and the border region of Sino-Russia began to change to the Jeongji-centered shape. House originated from Ping an Dao have very various types: Jeongji-centered type, kitchen-centered type, corridor-centered type, living-cented type etc. Jeongji-centered type is mainly along the Yalu river, while others are mainly in the inland areas of northeast China. Types of houses originated from Qing Shang Dao include kitchen-centered, corridor-centered, and mixed type, which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inland areas of northeast China. 2) In terms of lifestyle and space utilization, the overlapping phenomenon of several life behaviors appears in each room, which indicates that the function of each room is not fully differentiated. Houses originated from Xian Jing Dao form a Badang space in front of the Ondol. Houses originated from Piang An Dao and Qiang Shang Dao create the Dikang and Living space. And the functions of all of these new spaces are changing with seasons. Chapter five mainly analyzes the spatial evolutions from villages and houses two aspects and their correlations. 1) Villages In the modernizing process, like villages in Han ethnicity, most Chinese Koreans’ villages develop to the grid patterns. However, because of reasons such as the terrain and underdeveloped economic situations, natural villages still partly maintain the traditional spatial patterns. 2) Houses Houses change based on different living areas. Houses along Tumen river and Yalu river keep the traditional features of those in Xian Jing Dao and Ping An Dao. Houses in the inland northeast China originated from Qing Shang Dao are developed based on houses of both Han ethnicity and Man ethnicity. Besides, Chinese Koreans’ rural house are changing mostly influenced by the modernization, while the influence of other peoples and people of other originalities are considered as the second main reason. The Badang in front of the Ondol in houses originated from Xian Jing Dao, and the appearance of Dikang in houses originated from Ping An Dao and Qing Shang Dao, are the results of modernization. Although these new space have different forming process, they have the same function of Maru space in Korean Peninsula. That is the sitting-oriented style, which is essentially different with the standing-oriented style of Han ethnicity.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llages and houses The demographic composition and the economy in village are the main factor influencing the houses. The demographic composition in natural villages is quite simple, so the houses there are also quite simple with only one style. In contrast, tribe villages have more developed transportation and economy than natural villages, so constructions of their houses are more diverse. A summary is made based on the above contents. Different spatial patterns and evolution process are formed in Chinese Koreans’ villages based on different areas and originalities. However, in the recent ten years, Chinese Koreans’ rural society is severely damaged in the urban transformation and urban migration process. Especially in the “New Socialist Villages” constructing process, in some villages, the traditional thatched houses are removed unconditionally and a great number of brick houses with the same spatial patterns are established, which changed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se villages. The purpose of this “New Socialist Villages” campaign is to improve the life of rural citizens and it did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and bring the economic development in village, however, because of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to the living cultures in different areas, all the houses are built up in the same patter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lost in different areas.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dissertation has great significance in focusing on the Chinese Koreans’ villages and houses which have never been researched before, combining the previous research of Chinese Koreans’ rural spatial patterns and evolution directions, and researching as a basic study for the future socialist new village construc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32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4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