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7 0

중국 연변 조선족 지역의 도시 집합주택계획연구

Title
중국 연변 조선족 지역의 도시 집합주택계획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lanning of urban congregated dwelling house in Korean-Chinese region of Yanbian
Author
이춘희
Alternative Author(s)
Li chunji
Advisor(s)
TomiiMasanori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국 조선족은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 및 그들의 후예로 구성된 소수민족이며, 50%이상의 인구가 연변조선족자치주에 분포되어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조선족의 주요집거지(集居地)로서 개혁개방이래 대규모의 인구이동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대량의 인구이동으로 인해 집거지의 공동화(空洞化) 현상이 심각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족의 전통가족구성형태에 가져다준 영향으로 인해 조선족사회의 가족구성형태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켰다. 결과, 싱글 가족, 격대 가족(隔代家族)이 점차 증가하면서 핵가족을 대체하여 주요가족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래의 가족형태를 토대로 형성된 기존 집합주거의 형태는 더는 새로운 가족형태 및 생활양식에 적응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집합주거를 연구하여 현재 조선족사회의 가족구성형태의 요구에 적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ite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중심도시인 연길시의 하북구민창가구(河北區 民昌社區)로 선정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주택은 시설의 부족 및 구조노후화 등 문제로 재개발이 시급하다. 현지조사 결과, 현재 주호 중 청장년은 대부분 외지에서 일하거나 공부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노인으로 구성된 가족형태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한편, 어린이들은 대부분 격대가정 또는 결손가정 등 비정상적인 가족형태에서 생활하게 되는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동시에 외지에 있는 가족들이 집에 돌아와 단기간 거주하는 현상도 찾아볼 수 있다. 각자의 공간적요구가 다양한데 반하여 현재의 주거공간은 기능적 분화와 프라이버시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므로 생활상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외지에 있던 가족이 돌아왔을 때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Site내에 노인주호가 많고, 어린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현상태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의가정(模擬家庭)’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즉, 서로 다른 유형의 여러 개 개체가정이 대가족의 구조에 따라 모의가정을 구성하고, 그 중 노인, 중년, 청장년이 등 3대 구성원이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가족형태를 통해 가족구성의 결손으로 인해 노인과 어린이에게 가져다 준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의가정’은 구조상 불온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택설계에서 유니트 공간의 가변성(可變性)과 연통성(連通性)에 초점을 두어 다량의 공공공간을 설치하고, 개인 실의 기능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가변성벽체를 이용함으로서 개개 공간의 경계선을 모호화하며, 이를 통해 최대한 ‘변(變)’적인 가능성을 실현하고자 한다.; The Chinese Korean people are the ethnic minorities who immigrated to China from the Korean peninsula. 50% of them live now in the Yanbian Chinese Korean autonomous region. However,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in China, an unprecedented population movement happened in this region. A large number of population movement led to the so-called “hollowing out” phenomenon. Besides, it has a large impact on the traditional Chinese Korean family structure. To be specific, there are more and more single-parent family and families with only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such circumstances, the traditional house model can not meet the requirement of the current family patterns and lifestyles. This study tires to explore a new house model to adapt to the current Chinese Koreans’ family needs. The site was selected in Minchang Community, Hebei District, in the capital city of Yanbian autonomous region. Because of problems such as the inadequate infrastructure, and the building aging, the current buildings need further development urgently. The research found that old people obtain a large proportion of the whole population and most children grow up in a non-normal family mode such as single family or family with only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since most young people went out of hometown to work or study. Meanwhile, these young people who work or study outside return home for temporary living. Since the family members have different needs for the house space, while the current living space lacks the division for different functions and privacy, there are various inconveniences in daily life, especially when the young people temporarily return home. A new concept called “simulation family” was raised in this study to deal with the situation: many old residents, and children residents with insufficient love and care. This concept namely means to build a simulated family based on the traditional extended family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this simulated family, the three generations gather together and play their own roles in the family. Through this simulated integrated family structure, some psychological trauma of elders and children could be remedied and thus some social problem could also be solved. Since this simulated family is quite unstable, when designing the house, the “variability” and “connectivity” are fully considered. By setting a large number of public spaces, simplifying the individual rooms, and using the changeable walls in the room to blur the boundaries of each space, this study tries to achieve the “changeability” of the house design to a maximum degre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32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4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