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재승-
dc.contributor.author박유선-
dc.date.accessioned2020-03-27T16:53:07Z-
dc.date.available2020-03-27T16:53:07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31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228en_US
dc.description.abstract2010년은 그동안 양․한방 일원화와 같은 문제로 장시간 대립해 오던 양의사들과 한의사들에게 있어 새로운 해결점을 제시하는 시발점이 되는 계기를 형성한 중요한 시점으로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할 수 있다. 바로 2010년 1월31일 의료법에 새로이 명시된 양․한방 협진진료와 관련된 규정 때문인데, 그 동안 한방진료와 양방진료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두 의학 간의 교류를 인정하지 않던 정부에서 과거와는 달리 의학적 교류를 인정하고 두 의학간의 협력을 통해 환자의 치료에 보다 질적인 접근을 허용 했다는 점은 향후 양․한방 협진체제가 가져오게 될 커다란 의학적 성과를 기대하게 됨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전통의학인 한의학을 보존 및 육성하여 그 가치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도를 선언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기존의 양․한방 협진과 관련되었던 연구들을 조사하고 그것을 토대로 향후 협진병원의 계획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협진체제를 운영하는 종합병원을 조사대상 병원으로 선정하여 그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양․한방 협진병원 계획 시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1) 종합병원 내에서 양․한방 협진이 이루어지는 경우 외래진료부의 형태는 양방과 한방외래부가 복도를 이용해 수평적으로 연결된 형태와 같은 공간에 층별로 분리된 수직분리형태, 양․한방 외래부가 전문센터별로 묶여 있는 경우의 3가지로 나타났는데, 각 형태마다의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향후 협진병원의 설계시 이에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양방외래와 한방외래의 연계성이 좋은 형태로 계획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2) 사례조사대상 병원 외래진료부의 복도형태는 3병원 모두 2가지 이상의 복도가 합쳐진 혼합형 복도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대형종합병원에서 많이 나타나는 복도 형태이며 양방외래진료와 한방외래진료가 동시에 존재하는 협진병원의 경우 그 크기와 구성이 복잡하고 다양해지기 때문에 각 특성에 맞는 복도의 형태를 혼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3) 양․한방 협진을 운영하는 종합병원에서의 배치방식은 양방외래부와 한방외래부 그리고 중앙진료부가 서로 연계성을 가지게끔 유기적으로 잘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DS 병원처럼 검사나 체혈과 같은 중앙진료는 1,2층에 두어 양․한방 외래진료부가 같이 연계하여 사용하고 수술과 같은 중요한 진료는 3층에 두는 방식의 수평+수직 분리의 배치방식의 형태가 협진병원의 형태로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 조사대상 병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양․한방 협진병원의 양방과 한방 그리고 협진의 비율은 63:24:14의 비율로 양방진료의 부분이 가장 많고, 한방진료부문과 협진부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향후 지어질 새로운 형태의 협진병원에서는 협진부문의 비율을 좀더 높여 협진을 적극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5) 조사대상 병원 3곳은 각각 협진을 운영하는 형태가 독립적으로 협진센터를 운영하는 경우, 한방병원 내 협진진료를 운영하는 경우, 각 전문센터 내에 양방진료와 한방진료부를 두어 협진을 운영하는 경우의 세 가지 형태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조사대상 병원이 협진병원을 운영하던 시기가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던 시기로 실험적인 운영형태로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6) 협진 진료실의 구성은 별동의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협진센터와, 한방병원에 재활치료와 협진 진료실을 이용하는 형태, 전문센터 안에 협진부문을 두어 운영하는 그룹단위의 클러스터 형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중 양․한방 협진의 연계성이 가장 좋은 형태는 전문센터 안에 협진부문을 두어 운영하는 방식으로 협진병원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 판단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양·한방 협진체제에 따른 종합병원 외래진료부의 공간 구성 및 면적분석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Analysis of Outpatient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s Operating the Cooperative Treatment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유선-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You-S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역사/이론/비평-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