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0

남산공원의 공간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남산공원의 공간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Namsan-park.
Author
이수연
Advisor(s)
황희준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시대에 따라 도시공간에서의 필요가 달라지지만, 과거부터 현재까지 도시 속에서 공공공간에 대한 요구는 지속되어 왔다. 자연 발생적 공공공간이었던 남산은 공원으로의 인공적 개발이 이루어져 다양한 계획과 개발이 시행되고 있다. 남산은 도시적, 역사적, 환경적 측면에서 긍정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 한양을 수도로 정하는 시점부터 남산은 도시의 구성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과거에는 도시의 경계의 역할을, 현재는 도시의 중심에서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대한제국말기 일본인에 의하여 남산 내에 공원이 형성된 이후로 현재까지 도시에서 대표인 공공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도심 중앙에 자리 잡은 생태환경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면에서 그 가치가 평가된다. 하지만 끊임없는 개발과 공원 개발 방향의 잦은 변화로 남산의 자연이 훼손되고 있으며, 현재 몇몇 공간은 활발히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남산공원의 물리적환경과 역사성, 그리고 그 의미로부터 형성되는 남산공원의 장소성과 정체성의 이해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의 공간 및 시설물의 특성과 역할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남산공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산공원의 개발방향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남산공원 전체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연구 진행하였으며 그 중 공원의 형성 초기부터 현재까지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회현지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일본 내지에서 공원은 서구의 공원과 같이 산업사회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성된 것이 아닌 서구의 근대화된 도시를 모방하면서 나온 산물이었다. 이러한 공원은 자국의 문화 유산인 신사나 경승지와 결합하여 공간적 효율을 이끌어낼 뿐 아니라 근대화된 도시문화를 흡수하는 계기가 되었다. 남산공원 또한 일본 거류민들에 의하여 이러한 개념에서 생겨난 신사공원이었다. 하지만 거류지의 확장으로 공원의 면적이 점차 넓어지게 되었으며 해방이후 남산의 대부분을 공원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남산공원의 전반적 공간적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1.1 공원이 생성된 초기에는 자연 상태의 남산에 길을 확장하고 지형을 다져 공원을 인공적으로 형성한다. 공원의 형태가 광장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공원 시설물이 그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이 당시의 공원은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계획․ 설계되었다기보다 근대문물이 생성된 것 자체에 의미가 있었다. 1.2 조선신궁의 건립을 기점으로 남산 내 각 공원들의 시설물의 역할이 부여․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공간도 주요한 시설물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공간이 대칭․ 축을 이루며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되었는데, 일제강점 이후 제국주의적 표상물로 역할 하였다. 1.3 해방 이후 남산 대부분이 공원영역에 포함되면서 확장되는 도시 속에서 자연을 보호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의 시설물이 남산공원 영역에 산발적으로 배치되어 역사․ 문화․ 체육․ 정치적 역할과 의미를 갖게 된다. 남산회현지구의 공간적 특성과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1 공원형성초기 다양한 위계를 가지며 공원과 연결․ 유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던 도로가 조선신궁의 형성과 함께 참배도로 변경 또는 폐지되었다. 또한 조선신궁을 구성하는 공간요소로 사용된다. 이후 공원을 둘러싸고 있던 도로가 순환도로로 확장․ 변경되어 공원을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 2.2 공원의 공간구성과 시설물도 시대별 특징을 갖는다. 두 개의 광장으로 구성된 한양공원은 남산과 점적으로 자리 잡았으며, 공원 시설물이 광장 주변으로 일렬 배치되어 공원의 공간감을 향상시켰다. 그 후 이 두 광장의 축선상에 또 하나의 광장을 만들어 선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광장부터 상광장까지 공간의 확장과 축소가 반복되고 본전을 중심으로 시설물이 대칭 배치되어 공간의 용도 및 위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계획되었다. 1960년대 이후 공원이 면적(面的)으로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시설물이 산발적으로 배치되었으나 대지의 3단구성, 기존 축선이 강조된 진입동선, 긴 계단 등 조선신궁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2.3 공원에 들어서는 시설물의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공원의 기본 성격이라고 할 수 있는 휴양․ 여가의 기능을 바탕으로 시대마다 특성이 추가된다. 황국의 신민화를 위하여 세운 조선신궁의 제국주의적 특성은 해방이후 민족성을 고취시키는 기념관 및 동상 등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시기 세워진 어린이 및 일반 시민들의 문화교육 기능의 시설물이 추가되었지만 정권과 정책의 변화에 의하여 현재까지 남이 있는 시설물이 거의 없다. 본 논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산공원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강점 초기까지는 근대도시의 표상물로써, 일제강점 중반기부터 해방이전까지는 제국주의의 이념을 드러내는 장(場), 한국 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문화관련 시설 집합체로 특징을 지을 수 있다. 둘째, 60년대 이전까지 공원을 위해서 계획․ 정비되었던 도로가 서울의 도시개발과 함께 강남으로 넘어가는 순환도로로 변모하면서 공원의 접근성이 떨어졌다. 셋째, 조선신궁과 같은 제국주의 상징물에 공원의 기능이 이양되면서 공원자체의 역할이 미미해졌다. 이는 공원에 대한 장기 비전과 계획을 소홀하게 세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공원의 해제와 개발과 같은 현상을 빚어내었다. 앞으로 남산공원을 진정한 의미의 유서깊은 공원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그 역사성과 정체성, 장소성을 바탕으로 하여 남산공원 만의 존립 이유 및 철학을 세워야 한다. 그리고 단기적인 정책성 계획안이 아닌, 도시적 맥락에서 얽혀있는 다른 도시기반 시설과 함께 중․ 장기 계획을 가지며 바꾸어 나가야 한다.; Abstract AStudyonSpatialCharacteristicsandChangesofNamsan-park. Lee, Soo Neon Master in Architecrue Desig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e Namsan is one of the world's most prominent sites at the center of Seoul. For the urban, the history and environment of Seoul, Namsan has positive quality. Namsan had been occupied by boundary line of Hanyang that was the name of Seoul in the Joseon dynasty until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or the city has been getting bigger Namsan has been located the center of Seoul and it became the landmark that can be seen anywhere in Seoul. Also the site has been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 park which has played a role of nature in downtown Seoul since Japanese built their village in Namsan and created the park. The urban development and the frequency of the changes to the concept plan of the park have destroyed nature and caused that people who want to spend their time in the park felt uncomfortable or hard to enjoy. For solving the problems developments and plans have to be considered by understanding of the Namsan-park which means physical environment settings, histories, a sense of place and ident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tudying development direction of Namsan-park based on discovering characteristics of it by observing properties of spaces and facilities in the park and changes of the roles. In this study a spatial range is set up a whole area of Namsan-park and Hoehyeon-area, one part of the Namsan-park has been used prominent from Daehan Empire to nowadays, is analyzed more specific. The park was not for solving problems of an industrial town in Japan but for making parks as the modern urban factors on the model of modernized the Western Urban. Combined with shrines or scenic places, the parks saved urban spaces as well as absolved modern urban culture. Namsan-park was one of shrine-parks based on these backgrounds made by Japanese who lived in Hanyang. It was getting bigger according to an expansion of Japanese settlement and the most area in Namsan has become park after colonial period. I will let explai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Namsan-park. First, streets and squares were designed at the Namsan where primitive nature in the first phase of the development and almost constructions were built around the squares. In that time the park were not expected to carry out special function but were worth being itself. Second, after established Joseon shrine, buildings in the each park took special roles and lay on the center of the site designed symmetrically for a badge of authority of Japanese imperialism. Third, nature has been protected by the park which involved in almost Namsan area against a city expansion. In addition, facilities has been arranged sporadically with diversity function; historic, cultural and political field. Fourth, in the case of Huihyun-area in Namsan-park there were three level streets for going to or looking around the park in the first phase of the park development. They turn out the worship way for visiting Joseon shrine or discarded. After independence from Japan the roads have became the Ring Road to go to the district south of the Han River and made be difficult of ac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amsan-park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represented a factor of a modern urban and then it became the place to expose the imperialism of Japan. After the independence and the Korean War, the park has been one of an element for cultural urban structure. Second the road leading to the park before early 1960’s became a ring road to go to southern area of Han River when Seoul had developed. The roads have prevented us from approaching the park. Third, since the symbol of the imperialism such as Joseon shrine took away origin functions of the park, the meaning and uses of the Namsan-park have decreased. Consequently the site have released and developed without long-term period plans. For making the Namsan-park the most attractive public space, we have to recognize and develop the connection between quality spaces rooted in an identity and a sense of place, future land value and political support. Key Word: Namsan, Namsan-park, Park, Modern, Imperialism, Urban, Public Space, role of Namsan-park, faci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3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9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