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 0

공동체성의 원리와 경험적 공간의 기초원리

Title
공동체성의 원리와 경험적 공간의 기초원리
Other Titles
Principle of Communal Identity and Grammar of Experiential Space
Author
박종덕
Alternative Author(s)
PARK Jong Duk
Advisor(s)
Knud Joshua EHM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 1. Communal Identity in Urban Space_도심의 공동체성 25개의 구로 이루어진 서울은 600년의 역사를 지닌 대한민국의 수도이다. 긴 역사만큼이나 서울의 도시 구조 속에는 사회 문화적 요소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우리는 공간적 경험을 통해 서울의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접할 수 있다. 동시에, 현대의 도시들이 보편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개발의 논리 앞에 한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역사와 문화적 가치보다 경제의 가치를 추구하는 개발들이 도시 전반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현재 총 26개의 뉴-타운 프로젝트는 서울의 도시 공간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곧 서울의 아이덴티티의 상실로 이어지고 있다. 도심의 아이덴티티적 상실은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단절 시키고 있으며 거대화된 도시 속의 인간은 더욱 도시로부터 멀어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서울의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발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다루게 될 프로젝트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기존 개발 모델과는 상반된 형태의 접근 방식이 될 것이며 도시가 지녀야 할 밀도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접근이 될 것이다. 또한 공동체성의 원리를 통해 우리가 잊고 있던 서울의 기억들을 되찾고자 한다. 이런 목적으로 Contextual Composition과 공간 Grammar of Experiential Space의 연구를 통해 서울에 적용 가능한 공동체적 원리를 찾고 더 나아가 도시적 맥락을 고려한 도시개발의 가능성을 사이트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서울은 지금까지 존재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필연적으로 도시 내 공간은 기존 컨텍스트 위에 새로운 기능을 더하는 형식으로 개발이 진행 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새로운 기능이 도시에 더해질 때 우리는 추가된 기능이 필요한 것인지, 기존 컨텍스트와의 조화할 수 있는지를 미리 고려하지 않았다. 때문에 지금까지의 개발은 서울의 컨텍스트를 저해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도시를 사람들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를 막기 위해 우리는 기존 Context에 대한 분석과 자료 수집을 통해 도시가 지닌 공동체적 특성을 찾아내야 하며 경험적 공간-가치가 있는 공간을 통해 Cohesive space를 도시 속에 제안해야 한다. Communal Identity를 제안하는 주체자로서 건축가는 도시 개발에 따른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다. 때문에 건축가들은 나름대로의 해법을 찾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근대 건축이라는 이름의 여러 흐름들이 생겨났었다. 예를 들자면 기능주의 건축, 합리주의 건축, 해체주의 건축, 구조주의 건축, 유기적 건축 등이 그런 노력의 한 부분이다. 이런 다양한 접근을 통해 도시는 공동체성이라는 하나의 성격을 지닐 수 있었으며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공동체성을 지닌 공간을 제안하는 방법과 경험적으로 가치가 있는 공간의 실험을 통해 기존 도시에서 새로운 제안들이 어떤 가능성을 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1. 1. Communal Identity in Urban Space_도심의 공동체성 The city of Seoul was founded more than six hundred years ago, and has been developed into a municipal system of 25 districts_Gus. Its urban structure accommodates a variety of socio-cultural elements, which have evolved and matured during the course of history, and which can be traced and experienced when studying the city’s past and presence. At the same time, like many other contemporary cities, the city of Seoul is confronted with a large scale of development-projects, which focus for greater on matters of economical value rather than historical or cultural identity. It seems that - while 26 Newtown developments are presently changing the urban space of grown neighborhoods - the city’s unique identity has gradually been evanescing. And it further seems that we are witnessing an overall loss of an appropriately scaled relationship between the metropolitan environment and the life of its residents or visiting guests. This thesis tries to investigate some visible indicators of the dilemma, and to suggest scenarios of an appropriate scale for urban development, which equally understands the beauty of formal compositioning an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economical value of available land. The compositional formula of this approach is visibly different from general Newtown-developments of corporate Korean thinking. But it equally addresses issues of better density-ratios and urban-community-building. Matters of communal identity are substantial in our efforts to shape the urban identity of our cities, in- and beyond Seoul or elsewhere. The methods I am going to employ in this investigation withdraw from research of existing context_formal and informal, sociographic, from logic of compositional processing, and from efforts of building a typology of those spatial qualitie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way community members experience their built environment. The urban context which my investigation will be focusing on, is located in Seoul’s district of Jongno-Gu, a neighborhood called Tong Ui-Dong and Chan Sung-Dong. 1. 2. Context and Experiential Space_맥락과 경험적 공간 As indicated in the previous subchapter, the urban structure of Seoul as we experience it today, is based on principle decisions, that were executed a few centuries ago. The development and regenerative modernization of urban areas will therefore have to be met with a focus and interest on those communal functions, which are essential to existing contextual patterns. The implementation of functional programmes, which are new or alien to existing patterns of context, will have to carefully be reviewed and judged not only on the basis of necessity, but more so on the basis of a programme’s cohesive potential. While the architect’s main concern will usually be about balancing or challenging a programmatic outline with his compositional research on matters of form and proportion, he will also remain a key agent in the debate of and the quest for feasible scenarios of a development, no matter if the formal language of his works relate to the categories of Modernism, Rationalism, Structuralism, deconstructivist or environmental architecture. In this mediating role_agent the architect applies architectural thinking_건축적 사고, and if performed and delivered well, the city and its neighbourhoods might have a chance of regaining an urban environment, that accommodates and facilitates those public areas and spaces, that are essential for the manifestation of a communal identity_공동체성. This study will suggest a variable of development proposals for an urban community, where formal decisions on space refer to questions of experiential qualities and cohesive potentia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3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8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