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3 0

사회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사회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Elderly Depression
Author
손자영
Advisor(s)
권기창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우울증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민 10명중 7명이 최근 1년간 우울증에 상응하는 증세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0). 그리고 최근 발표된 ‘건강보험 우울증 진료 환자 수 및 진료 현황 2008(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연도별 우울증 환자는 2003년에서 2008년 5년간 우울증 환자수가 32.9%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연령대별 증가율은 70세 이상의 우울증 환자 증가율이 약 7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우울증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노인 문제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는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노인 우울을 나타나게 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울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사회적 지지이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를 통해 개인의 정서적, 인지적, 물질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제공되는 긍정적 자원이라고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용한 요인이며 일반적으로 노인이 가지는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대해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제공자 관계유형과 내용적 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망이 관련이 되어 있는 공식적 지지와 가족 친구 친척 이웃 친구 등의 비공식적 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세 가지 지지로 구성된다. 국내 연구의 경우 대부분 사회적 지지의 공식적 지지와 비공식적 지지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사회적 지지의 구성요소인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를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구한 결과 사회적 지지에서 정서적 지지는 평균 3.57, 인지적 지지는 평균 3.45로 ‘보통’ 보다 높게 나왔으나 물질적 지지의 경우 2.86으로 ‘보통’ 보다 낮게 나왔다. 우울의 경우 평균이 2.69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와 노인 우울이 심각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설문에 응답한 노인의 일반적 특성별로 사회적 지지 전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인의 연령별, 결혼 상태별, 자녀동거 여부별, 경제 상태별로 사회적 지지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문에 응답한 노인의 일반적 특성별로 우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인의 교육 수준별, 종교별, 직업 유무별, 월평균 수입별, 주 생활비 원천별, 경제 상태별, 건강 상태별로 노인의 우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넷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 정도별로 노인의 우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ANOVA)을 한 결과 노인의 정서적 지지, 인지적 지지, 물질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 전체 모두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의 우울이 유의적인 차이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Duncan 사후검증에서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섯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 정도와 노인의 우울 정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니 사회적 지지의 한 하위 영역 변수의 값이 높아지면 사회적 지지의 다른 하위 영역 변수의 값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두 부(-)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왔는데 즉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노인의 우울 정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섯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 정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노인의 정서적 지지는 b=-0.198(p<.05), 인지적 지지는 b=-0.157(p<.05)로 노인의 우울 정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나 물질적 지지는 b=-0.092(p>.05)로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정서적 지지나 인지적 지지가 상승하면 노인의 우울이 유의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물질적 지지는 우울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와 가설 1과 가설 2는 채택되고 가설 3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은 우울에 대해 취약 계층으로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은 노인들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노인복지 전문가들이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사는 노인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심을 가지면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노인 우울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노인 우울의 사회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정부는 노인들이 개별적인 특성과 상태를 고려한 보건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1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