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4 0

유연 생산체제 구축을 위한 한국형 자율경영팀 모형 수립

Title
유연 생산체제 구축을 위한 한국형 자율경영팀 모형 수립
Other Titles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Discretionary Team Model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uthor
장영석
Advisor(s)
안선응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 자동차공장의 작업조직은 대립적 노사관계와 경영진의 인식 부족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린 생산방식의 적용은 기술적 요소인 JIT(just in time), 리드타임(lead time), VM(visual management) 등 위주로 도입되어 있고 사회적 요소인 문제해결, QC(quality control), 지속적 개선(KAIZEN かいぜん), 린 생산형 현장 감독자 등의 도입은 미진한 상황이다. 문제의 핵심은 일본 기업문화가 반영된 도요타형 작업조직의 사회적 요소는 한국 자동차 기업문화에는 맞지 않는 것이다. 해결 방법은 한국 기업문화와 노사문화에 맞는 작업팀의 구현이며 연구의 중심 내용이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으로 경쟁의 가속화 및 세계화로 기업은 이윤 확보와 생존을 위하여 전통적 테일러 작업조직에서 유연 작업조직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연구 목적으로는 고객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작업팀 모형수립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참조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면담, 설문, 현장 실사 등도 병행하였다. 2장 팀제 일반 이론에서는 린 생산방식 작업팀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경영 패러다임은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전통적 테일러 조직은 경직된 체제를 유연성을 바탕으로 하는 팀 체제로 변환해야 한다. 이것은 시대적인 요구이다. 3장 린 작업조직 분석에서는 린 생산방식을 창조한 도요타자동차의 전통 조직이 팀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추적하였고 협력적 노사 관계 속에서 감독자 계층의 강한 능력을 확인하였다. 전 산업으로 확산되는 린 생산방식이 독일 자동차회사 폭스바겐의 기업문화, 금속노조와의 타협 속에서 자율경영팀에 접목되는 과정을 연구하였고 한국자동차 K사 H공장의 전통적인 테일러 작업조직의 현상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 개의 자동차회사의 특성치를 표로 정리하였으며 대립적 노사관계와 한국정서가 가미된 한국 K사의 작업조직 개선 방향성을 확립하였다. 4장 K사 작업조직 모형수립에서는 작업조직 개선 방향성을 바탕으로 모형을 수립하였다. 도요타자동차의 기업/노사 문화가 전혀 다른 한국 K사의 조직구조를 고려하였고 자율경영팀의 핵심 사항인 유연성, 권한 위양, 참여 경영, 인재 육성을 반영하였다. 대립적 노사관계를 협조적 노사관계로 전환할 수 있는 작업조직의 바람직한 모형을 자율경영팀으로 제시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유럽형 자율경영팀을 기본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린 생산방식의 팀 조직이 최선의 방법은 아니며 팀제를 선택하는 기업은 시장 환경과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개별 기업에 맞게 팀 조직의 모형을 수립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2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산업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