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0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improvement in color perception for universal design.
Author
김은애
Alternative Author(s)
Kim, Eun-Ae
Advisor(s)
박경진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 산업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의 국가나 도시들은 건축물을 설계하거나 물건을 만들 때 도시 미관을 도외시 한 채 기능과 효율 중심의 생산적인 측면에만 매달려온 것이 사실이다. 그로 인해 통합과 조정없이 무질서하게 설치되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도시 경관이 복잡하게 보여지는 등 공공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도시환경이 되었다. 시대를 거듭함에 따라 인간 중심의 정책, 생활환경, 공공디자인이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를 향한 서울시의 발걸음 또한 점차 가속화되었다. 서울시는 디자인 서울을 만들기 위해 많은 정책들을 진행 중이고, 그 중 하나인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통하여 새롭게 리모델링된 공공시설물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제작, 설치가 아닌 도시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고 새로운 방향의 접근인 유니버설 디자인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개선사업으로 인해 변경된 공공시설물 중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색채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대표색 중 기와진회색과 고궁갈색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진 색채가 주조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채는 저채도, 저명도로 도시환경과의 조화에 있어서는 자연스럽게 어울리지만, 이에 상반되는 의견으로 다소 눈에 띄지 않아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녀노소 모두를 위한 개념인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에 입각하여 볼 때, 기본 원칙인 누구나 이용하기 쉽고 어떤 사람이라도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과 이용자의 능력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정보를 확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력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이다. 일반인으로 통하는 표준집단 즉 청소년, 청년, 장년층에는 크게 무리가 없지만 버스중앙차선으로 인해 도로 중앙에 설치된 버스정류장 쉘터를 사회적, 신체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이 이용하고 인지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행 방법으로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특성 및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방식은 크게 4 Parts로 구분하여 그룹 대인면접방법을 통해 질문하였는데 설문지 구성은 일반 범주에 해당하는 항목에 따라 선호도를 알아보는 의식질문과 두 집단의 선호색상과 배색 선호 색상에 대한 질문, 그리고 개선된 버스정류장 쉘터의 가치 유형별 만족도를 알아보는 전문성과 관여도, 감성적, 인지적 반응에 대한 질문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하여 두 집단의 선호 사항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는 질문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설문 항목에 따라 다양한 의견을 나타냈으며 선호 색상과 버스정류장 쉘터의 형태적 가치, 감성적 반응,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용성 의식에 있어서는 집단별로 서로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 반면 일반 범주에 해당하는 항목 선호 의식과 버스정류장 쉘터의 색채, 이용적 가치와 전문성, 관여도, 인지적 반응 그리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형태 및 색채의 의식 질문은 조금씩 다른 의견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의식과 선호도를 알아보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영역을 하나의 시설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을 포함한 환경과의 조화 속에 시설물을 쉽게 인지하는 것이 앞으로 공공시설물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인식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방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참고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향후 공공시설물 디자인 시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색채 인지 영역에 따라 추후 계획되어질 공공시설물에 적절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색채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Human centered policy, living environment and public design were gradually emphasized through several time periods and Seoul accelerated to be an internationally renown design city. Seoul has been planning of policies for better design and one of policies actually applying is the improvement of public design regarding public facilities of which people recently can enjoy. Complying with the on-going improvement, harmoniza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universal design as a new approach attract people's great attention. The study is to research and to analyze shelters for bus stations among the public facilitate which are new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of public design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ark gray and brown having low chroma and low value are the main color to be assigned, which seems to harmonize with urban environment but tends to be less recognizable due to its dullness.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as a toleration for all mankinds pursuing fair access and easiness on utilization, new color scheme of the shelter seems to a bit deviate from true meaning of human centered design. A standard group known to be normal people as teenagers and adults can easily recognize and utilize shelters located on the centerline of streets but minor people as children and seniors have difficult on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he shelter. The process of the study with the theoretical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by which children and seniors are encountered, and to survey on children and seniors who living in Seoul. The questionnaire is divided into 4 parts. The first part consists of a typical preference as a general category and a preference of color and color schemes by groups is the second part. The third part is qualification and need patterns of shelters, and emotional and perceptional response against shelters. The last one is a compare and contrast of their understanding about universal design by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2 groups have some similarities in the range of color preference, need patterns and favorable facts in universal design. While they have some differences in favorable perception, variation in utilization and dependency. The ultimate goal of color study is to understand that public facilities are not only places to be primarily utilized but also places to be easily recognized among other urban environments with harmony in same time, and to apply to the development of color scheme for universal desig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2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2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