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 0

안산시 주민센터의 공간구성 및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Title
안산시 주민센터의 공간구성 및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rchitectural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Area Distribution of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Ansan City
Author
최형순
Alternative Author(s)
Choi, Hyeng Soon
Advisor(s)
박재승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주민센터는 주민을 위한 문화, 복지, 편의시설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주민자치의식과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 구심체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최근에는 주민센터의 기능이 좀 더 다양화되고 주민참여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주민들의 주변 환경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좋은 마을 만들기 프로그램이나, 주민센터에 부속되는 건강 상담센터는 주민들과의 관계를 더욱 밀접하고 친근하게 만들어가는 장치 중 하나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주민센터는 갈수록 주민의 일상생활과 더욱 밀접한 관계 속에서 그 기능을 수행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갈수록 기능이 복잡해지고 역할이 다양해지는 주민센터에 대한 공간구성 특성과 건축계획적인 특성 변화를 도출하여 향후 새로운 주민센터의 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안산시에 소재한 주민센터 사례를 대상으로 공간구성의 특성과 건축계획변화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산시는 인구통계상 노인인구 비율이 5.89%로 전국 평균 10.9% 보다 아주 낮은 수치를 보이며 젊은 층 인구가 높은 특징을 갖는다. 또 주민자치 공간 30.12%, 공용 공간 20.93% 민원행정 공간 20.68% 서비스지원 공간 16.87%, 동대본부 공간 8.89% 순으로 주민자치센터 공간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주민자치센터 공간은 최근 건립된 HS 주민자치센터 31.74%, WA주민자치센터 31.36% 비율로 10개 주민자치센터 공간 평균 30.12%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민자치센터 공간 기능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시설에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와 평균 20.7개의 프로그램을 한정된 공간에서 모두 수용하기 위해 여러 층에 분산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시설에 따라서는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기능이나 부족면적을 주변학교나 체육관, 교회 등을 활용해 해결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민원행정지원 공간 최근 건립된 HS 민원행정지원 공간 19.19%, WA 민원행정지원 공간 17.5% 비율로 10개 민원행정지원 공간 평균 20.68%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료보관실과 전산실의 기능이 통합과 전산화 기계화에 따라 자료실의 기능 및 면적의 비중이 축소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민원상담실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주민센터의 민원행정서비스가 세분화되고 좀 더 주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 시도 중 하나로 판단된다. 넷째, 동대본부공간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면적비율은 8.89%로 가장 낮지만, 주민센터의 주요 기능 중의 하나이다. 8개 사례에서 2층 이상에 계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G시설의 경우에는 부족한 공간을 별동인 나동에 계획하여 부족한 면적을 해소하고 있다 최근 건립된 HS 동대본부 공간 2.84%, WA 동대본부 공간 4.5%로 평균 8.89% 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동대본부 공간 기능의 중요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안산시 소재 주민센터는 기능이 다양하고 복잡해짐을 알 수 있으며, 주민자치센터 공간은 기능강화 및 면적 증가를 보이고, 민원행정지원 공간과 동대본부 공간은 기능변화와 면적 감소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안산시를 비롯하여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주민센터 건립 시 계획 단계부터 공간구성과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1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2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