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세환-
dc.contributor.author박재영-
dc.date.accessioned2020-03-27T16:45:01Z-
dc.date.available2020-03-27T16:45:01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16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396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경 식재 설계변경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주거단지 식재 설계변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구분된 유형을 바탕으로 조경 식재 설계변경의 실태를 파악하며, 조경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합리한 설계변경을 억제하고, 조경 식재 설계변경 유형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문헌 고찰을 통하여 조경공사 및 조경 식재 공사의 정의와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한 후 설계변경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관련법규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외국 제도와의 차이점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조경 식재 설계변경의 문제점 및 유형을 분류하는 과정을 가졌다. 사례조사는 A사에서 발주된 제 2기 신도시 출범이후 주거단지 부분의 조경공사 현장으로 수도권 지역에서 이루어진 61현장에서 발생한 총 208건의 식재설계변경 사항들을 재구성하여 7가지의 큰 유형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유형별 분석을 통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7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조경 식재 설계변경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조경업(조경설계, 조경시공, 공사감독)에 종사하는 사람과 타 공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경 식재 설계변경 현장 발생 빈도의 그룹별 인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조경 식재 설계변경 유형별의 합리성 구분을 하여 정(正), 부(不)의 설계변경 유형을 구분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FGI조사를 통해 조경 식재 설계변경 사전예비방안이 될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주거단지 조경 식재 설계변경의 유형은 이미지 개선을 위한 설계변경, 설계내역의 불일치로 인한 설계변경, 이용자를 고려하여 생기는 설계변경, 현장조사 미비로 인한 설계변경, 시공성을 고려하여 생기는 설계변경,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위한 설계변경, 타 공종과의 관계로 인한 설계변경으로 그 유형이 나타났다. 이렇게 나타난 유형의 전체 설계변경의 빈도를 바탕으로 유형별 발생 순위를 나타낼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대상지 3곳에 비교 분석해본 결과 ‘이미지 개선을 위한 설계변경’이 모든 현장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분류가 되었고, 나머지 유형들은 각각의 현장의 특성에 따라서 조금씩의 차이가 있었으나 상위항목과 하위항목으로의 구분은 가능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인 불합리한 설계변경의 억제를 위하여 설계변경의 유형들을 정(正)의 설계변경과 부(不)의 설계변경으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유형별 설계변경의 합리성 인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正)의 설계변경 유형으로는 ‘이미지개선을 위한 설계변경’, ‘이용자를 고려하여 생기는 설계변경’이였고 부(不)의 설계변경 유형은 그 외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쳐 조경 식재 설계변경 유형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을 해본 결과 조경 식재 설계변경에 대한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설계분야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서는 첫 째, ‘식재 도면 퀄리티의 향상을 위한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둘 째, ‘적정한 용영기간의 확보’로 설계변경의 빈도를 줄여야 한다. 셋 째, ‘설계변경 시 설계자 참여로 인한 설계의도 변질 방지’제도의 도입으로 각 분야별의 유기적 관계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시공분야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첫 째, ‘조경수 유통시장의 투명성 강화’이고 둘 째, ‘다양한 수종유통현상에 맞는 명확한 조경수품셈기준 확립’이다. 이러한 사항들이 개선되어 조경수 단가로 인한 공사비 상승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셋 째, ‘조경 시공업계의 기술력 강화’를 통해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설계변경의 빈도를 줄여야 할 것이다. 공사감독 분야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첫 째, ‘조경 감리영역의 확대 및 전문화’ 및 둘 째, ‘정부기관ㆍ지자체 등의 발주기관 내에 조경직제 및 조경직의 확대’ 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거단지 조경현장을 중심으로 조경 식재 설계변경의 유형 구분 및 특징을 통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조경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각 분야별 개선방향을 제안하여 주거단지 조경 식재공사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조경 식재공사 설계변경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the change order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plant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planting construction of Housing Complex-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재영-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Jae-Yo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설계·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도시경관생태조경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