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6 0

협력적 계획을 적용한 공공미술프로젝트의 주체별 사회자본 형성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연구

Title
협력적 계획을 적용한 공공미술프로젝트의 주체별 사회자본 형성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ublic Art Project Through Collaborative Planning on Building Social Capital of participants : in the case of Public Art Project in Gamcheon-dong, Busan
Author
최형선
Alternative Author(s)
Choi, HyoungSun
Advisor(s)
원제무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공공미술프로젝트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으며 문화관광체육부에서도 전국 24개 지역이 공공미술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 중이다. 이러한 공공미술의 가장 주요한 전재라 할 수 있는 ‘참여’와 ‘개입’은 도시계획의 대표적 합의도출 방식 중 하나인 협력적 계획과 일맥상통한다. 또한 협력적 계획의 과정을 거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사회자본이 형성이 되고, 이렇게 형성된 사회자본은 다시 프로젝트의 진행을 원활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미술프로젝트의 우수사례지라고 할 수 있는 부산시 감천2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협력적 계획을 적용 시켜보고, 이를 통해 협력적 계획을 적용한 공공미술프로젝트의 사회자본 형성의 영향요인을 각 주체(주민, 공무원, 전문가)별로 도출하였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PLS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각 주체별로 도출된 계획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공공미술프로젝트의 계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에 대한 주요한 결과는 사회자본이 도출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진행 시 주체 별 주요한 영향 요인은 차이가 있다. 포괄적 측면에서 공통적 영향요인은 회의 참석횟수, 참여주체의 적절성, 주민참여의 독려가 공통적으로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어, 이 요소들이 사회 자본을 형성하는데 있어 특히 주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각각의 주체별 주요 요소를 분석한 결과로는 모든 집단에서 주요한 요인인 위의 세요소를 포함하여 공무원 집단은 전체적으로 적절한 원칙과 절차가 공통적 영향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주민 집단은 충분한 학습과정과 회의의 지속적 참여율이 공통적인 요소로 분석되고, 전문가 집단은 의사결정의 동등한 권한과 작품제작의 주민 참여가 공통요소로 분석되었다. 주요어: 공공미술 ,협력적 계획, 사회자본, PLS회귀분석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1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6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NING(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