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 0

유당불내성에서 New comer 증상과 호기 내 수소검사 결과 사이에 연관성

Title
유당불내성에서 New comer 증상과 호기 내 수소검사 결과 사이에 연관성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New comer’s Symptom and Result by Hydrogen Breath Test in Lactose Intolerance
Author
변영상
Alternative Author(s)
Byoun, Young Sang
Advisor(s)
윤병철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및 목적 : 우리나라 성인에서 유당불내성(Lactose intolerance)의 유병율은 8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식생활의 변화로 과거보다 많은 양의 유당에 노출되지만, 그에 비해 임상에서 유당불내성의 증상을 호소하는 빈도가 감소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내 정상인을 대상으로 25g 유당 섭취 후 New comer 증상 발생과 호기 내 수소가스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당뇨병, 복부 수술, 3주 내에 항생제 복용 기왕력 및 과민성 장 증후군의 과거력이 있는 자를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피험자에게 유당 25g을 경구투여 한 후 유당의 경구 투여 전 및 투여 후 4시간째까지 호기를 채취하여 수소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하여 검사 중에 New comer 증상 발생 여부 및 평소 생활에서 유당 함유 음식 섭취 후 New comer 증상 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평소 증상이 있을 때 집 증상(Home symptom), 호기 내 수소농도가 투여 후 20ppm이상 증가할 때 유당흡수장애(Lactose malabsorption), 유당흡수장애가 있으면서 검사 도중에 New comer 증상 중 두 가지 이상 보일 때 유당불내성(Lactose intolerance)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10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평균 연령은 43.31세, 남성은 38명, 여성은 62명 이다. 집 증상을 보이는 피험자 중 유당흡수장애에 대한 민감도, 양성예측도와 상대위험도는 복부 팽만에서 48%와 71%, 1.3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이도와 음성예측도는 복통에서 98%와 61%으로 가장 높았다. 검사 중 증상에서 특이도는 복통에서 90%로 가장 높았으며, 민감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상대위험도는 복부 팽만에서 41%, 74%, 45% 및 1.35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증상 개수 합에 따라 유당흡수장애를 비교할 때, 집 증상 중 한 가지 증상이 있을 때 민감도, 양성예측도, 상대위험도가 각각 40%, 77%, 1.55로 높았고, 특이도는 세 가지 이상 증상이 보일 때 86%로 가장 높았다. 검사 도중 증상과는 민감도가 두 가지 증상을 보일 때 39%로 가장 높았으며, 특이도, 양성예측도 및 상대위험도는 한 가지 증상을 보일 때 각각 90%, 77%, 1.46으로 높게 나타났다. 집 증상 합이 한 가지 이상일 때 유당흡수장애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있으나, 검사 증상의 합과 유당흡수장애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유당흡수장애 유병율이 61%이지만 유당불내성 유병율이 23%로 호기 내 수소가스 양성에 비해 New comer 증상 양성인 피험자가 감소하였다. 집 증상 개수가 하나 이상 있다면 유당흡수장애 및 유당불내성과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있으나, 유당흡수장애 중에 62%가 유당에 의해 복부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유당불내성 중에 52%는 집 증상을 가지지 않고, 반대로 집 증상의 59%는 유당불내성 정의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호기 내 수소가스 검사 결과에 따른 유당흡수장애와 불일치가 관찰되었다. 결론 : 과거보다 식생활에서 유당 및 유당 함유 음식이 크게 늘었으며 그에 따라 유당불내성의 증상과 검사 결과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고려되어, 25g 유당 섭취 후 호기 내 수소가스 검사 및 설문지 통한 집 증상 및 검사 중 증상을 관찰하였다. 유당흡수장애와 증상 간에 민감도가 떨어지고, 호기 내 수소가스 검사 결과와 증상간에 불일치가 관찰되기 때문에 최근과 같이 유당 섭취가 늘어난 상황에서 유당 섭취 후 증상과 호기 내 수소검사를 이용하여 유당불내성 진단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revalence of lactose intolerance of Korean adult is over 80%. Although the change of dietary life have exposed Korean people to more lactose these days, the clinical frequency of the manifestation of the New comer’s symptom appears to be decreasing.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expiratory hydrogen breath test and development of New comer’s symptom after indigestion of 25g lactose in the population of Korean healthy adult. Method : The study was performed on 100 healthy Korean adults who are over 20 years old, and exclusion criteria was the history of diabetes, previous abdominal surgery, medication of antibiotics within 3 weeks,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Hydrogen concentration from expiration breath was measured at 0, 1, 2, 3 and 4 hour after oral indigestion of 25g lactose. And a survey was conducted whether the New comer’s symptoms were developed after lactose indigestion during test and daily life by questionnaire. The subjects who manifested symptom(s) during daily life are categorized as ‘Home symptom’ group, the subjects whose expiratory hydrogen breath test increases more than 20ppm after lactose indigestion as ‘Lactose malabsorption’ group, and the subjects with lactose malabsortion and more than 2 New comer’s symptoms as ‘Lactose intolerance’ group. Result : The subjects are composed of 100 healthy Korean adult, 38 male, 62 female, and average age was 43.31. When the lactose malabsorption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symptoms among the subjects with home symptoms, sensitiv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relative risk were the highest (48%, 71%, and 1.3 respectively) at flatulence group, and the specific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the highest (98% and 61% respectively) at abdominal pain group. Of the subjects who manifested symptoms during test, the specificity was the highest (90%) at abdominal pain, sensitiv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relative risk were the highest (41%, 74%, 45%, and 1.35 respectively) at flatulence group. When the lactose malabsorption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tal symptoms manifested, sensitiv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relative risk were the highest (40%, 77%, 1.55 respectively) at the group with one home symptom, and specificity was the highest (86%) at the group with more than 3 symptoms. As for the subjects who manifested symptoms during test, sensitivity was the highest (39%) at the group with 2 symptoms, and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relative risk were observed high (90%, 77%, 1.46 respectively) at the group with 1 symptom.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the number of symptoms manifested and lactose malabsorption, except group with more than 1 home symptom. The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was 61% but the prevalence of lactose intolerance decreased to 23%. In this respect, the discordance between hydrogen breath test and New comer’s symptoms was found. With more than one home symptom, lactose malabsorption and lactose intoler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62% of lactose malabsorption group didn’t show abdominal symptoms, and 52% of lactose intolerance group didn’t fall under the Home symptom group. On the other way, 59% of Home symptom group doesn’t fall under the the lactose intolerance group. And the sensitivity between New cormer’s symptom and lactose malabsorption appears to be very low. Conclusions : The sensitivity between New cormer’s symptom and lactose malabsorption appears to be very low, and the discordance between result of hydrogen breath test and New comer’s symptoms was found. Therefore, the diagnosis of lactose intolerance by New comer’s symptoms and expiratory hydrogen breath test after lactose indigestion is thought to have limita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9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2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