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호중-
dc.contributor.author류지원-
dc.date.accessioned2020-03-27T16:33:22Z-
dc.date.available2020-03-27T16:33:22Z-
dc.date.issued201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93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974en_US
dc.description.abstractr=0.335, p=0.162 vs r=0.336, p=0.74). 결론 본 연구는 투석전과 투석을 시행하고 있는 당뇨병성 만성 콩팥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화 혈색소와 혈당의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만성 콩팥병 3기부터 상관성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4기와 투석을 받는 환자에서는 연관이 없다는 결과가 나와 투석전의 만성 콩팥병 3기부터는 혈당 조절의 지표로 당화 혈색소가 유용하지 않다는 결과를 보였다.; 배경 당화 혈색소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판단하는 기준일 뿐만 아니라 합병증 발생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척도로서도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는 당화 혈색소와 혈당과의 상관성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 환자에서의 당화 혈색소와 혈당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고 아울러 당뇨병성 만성 콩팥병 병기에 따른 당화 혈색소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아직 알려진 것이 없어 투석전의 만성 콩팥병 환자에서도 당화 혈색소가 얼마나 유용한지, 실제적으로 당화 혈색소의 상관성이 병기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3개월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의 환자를 대상으로 I군은 정상 신기능을 가진 당뇨병 환자 (31명)를 대조군으로 하였고, II군은 만성 콩팥병 2기 (35명), III군은 3기 (26명), IV은 4기 (19명)로 분류하였으며, V군은 혈액투석을 받는 당뇨병 환자 (29명)을 선택하여 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당화 혈색소와 혈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당화 혈색소와 혈당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I군은(평균 당화 혈색소 7.59 ± 1.33%, 평균 공복혈당은 143 ± 52.1 mg/dl) 마지막 달의 공복혈당과 당화 혈색소의 관계는 유의하였고 (p<0.001, r=0.693), II군도 (평균 당화 혈색소 7.62 ± 1.27%, 평균 공복혈당은 148.2 ± 58.5 mg/dl) 마지막 달의 공복혈당과 당화 혈색소가 r값이 0.425 (p<0.05)로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III군에서부터 (평균 당화 혈색소 8.36 ± 1.99%, 평균 공복혈당은 152.5 ± 88.9 mg/dL) 상관관계가 낮아지기 시작하였고 (r=0.619, p<0.001), IV군과 (평균 당화 혈색소 7.36 ± 1.36%, 평균 공복혈당은 130.8 ± 46.0 mg/dL) V군은 (평균 당화혈색소 7.10 ± 1.78%, 평균 공복혈당은 126.9 ± 58.2 mg/dL) 마지막 달의 공복혈당과 당화 혈색소의 상관관계가 없었다 (IV vs V; So far, HbA1c has been the gold standard of glycemic control and also a valuation basis of complication risk. However, recently, the usefulness of HbA1c for the diabete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is controversial though some study. Therefor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of serum glucose level and HbA1c according to the stage of CKD so that examined which stage had a weak correlation between HbA1c and serum glucose level. We classified 140 diabetic patients into 5 groups according to stage of CKD. Group I is the diabetes with normal renal function (n=31), group II is the diabetes with CKD stage 2 (n=35), group III is the diabetes with CKD stage 3 (n=26), group IV is the diabetes with CKD stage 4 (n=19) and group V is the diabetes with hemodialysis (n=29). As a result, group I (mean HbA1c 7.59 ± 1.33%, mean fasting glucose 143.7 ± 52.1 mg/dL) has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 of HbA1c with serum glucose (p<0.001, r=0.693) and group II (mean HbA1c 7.62 ± 1.27%, mean fasting glucose 148.2 ± 58.5 mg/dl) also has positive correlation (p<0.05, r=0.425). But the correlation of group III (mean HbA1c 8.36 ± 1.99%, mean fasting glucose 152.5 ± 88.9 mg/dL) went into fall (p<0.001, r=0.619). Group IV (mean HbA1c 7.36 ± 1.36%, mean fasting glucose 130.8 ± 46.0 mg/dL), group V (mean HbA1c 7.10 ± 1.78%, mean fasting glucose 126.9 ± 58.2 mg/dL) have no correlation (p=0.162, r=0.335 vs p=0.74, r=0.336). Therefore this result means that HbA1c could not be useful as gold standard of glycemic control any more for diabetic patient with CKD stage 3 and also on hemodialysi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당뇨병 환자의 만성 콩팥병 병기에 따른 혈당 조절과 당화 혈색소의 상관관계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Correlation of Blood Glucose Control and HbA1c in Diabetic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류지원-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Ryu, Ji W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신장내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