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0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 효과

Title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Interven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ementia using Familiarity based on Korean Tradition
Author
박영선
Alternative Author(s)
Park, Young Sun
Advisor(s)
홍귀령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을 한국사회에서 태어나고 살아오신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후 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정서기능, 신체기능, 정신행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치매노인에게 잔존하는 여러 가지 기능의 유지 및 강화를 위해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에게 잔존되어있는 기능에 어떤 단서를 제공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정서기능 및 신체기능, 정신행동기능이 향상된다는 개념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설계는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인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 대상자는 일개 노인전문 요양시설에 있는 치매노인 46명이었다. 연구도구로 인지기능은 한국형 간이 인지기능 검사(MMSE-KC), 정서기능은 한국형 축약형 노인우울척도(SGDS-K), 신체기능은 Barthel Activity of Daily Living Index, 정신행동기능은 Neuropsychiatric Inventory Korean versio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중재 전, 중재 5주 후, 중재 10주 후에 각각 결과 변수를 측정하였다.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은 한국적 풍경과 생활방식, 가장 기억나는 사건, 한국적 문화, 익숙한 놀이, 익숙한 물건 사용, 음식 만들기를 매개체로 이용한 프로그램이었으며 치매노인에게 잔존된 기능 향상을 위해 실시되었던 기존의 개별적 중재 프로그램을 통합한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치매노인의 잔존된 기능 향상을 위한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을 일주일에 2회씩 20회기를 시행하였다. 매 회기 때마다 주제별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외부활동, 내부활동을 각각10분씩 시행하였고, 주제별 프로그램을 25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을 위한 시간을 5분 진행하여 총 50분 동안 연구자에 의해 중재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할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두 집단은 나이(t= .21, p= .85)와 교육(t= -1.24, p= .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한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 인지기능(t=-.399, p= .69), 정서기능(t= 1.10, p= .29), 신체기능(t= -.92, p= .36)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한 집단이었으나 정신행동기능(t=5.25, p < .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동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정서기능, 신체기능, 정신행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repeated measure ANOVA로 검증한 결과 인지기능(MMSE-KC)(F= 3.69, p= .03), 정서기능(SGDS-K)(F= 7.03, p= .001), 신체기능(Barthel ADL Index)(F=9.53, p< .001)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행동기능에 대해서는 사전 검사(t=5.25, p< .01)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사전점수를 공변량으로 한 repeated measure ANOVA로 검정한 결과 정신행동기능(NPI-K)(F=17.09, p< .001)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의 요양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에게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치매노인의 잔존된 기능에 어떤 단서를 주어서 치매노인들의 각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는 것을 검증하게 되었으며, 치매노인에게 적용했던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정서기능, 신체기능 및 정신행동기능 향상에 유용한 프로그램이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치매노인들이 이용하는 치매관련 시설에는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기준과 제도의 지지를 통하여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치매노인의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이 활성화된다면 치매노인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정신행동적인 측면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게 될 것이고 치매노인에 대한 간호의 질적 수준과 치매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82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70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