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3 0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탐색

Title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탐색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fathers' parenting behaviors: Focused o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self-efficacy
Author
김가윤
Alternative Author(s)
Kim, Ga Yun
Advisor(s)
신혜영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만 3~4세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탐색해가는 과정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변인들의 역할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2곳과 어린이집 11곳의만 3~4세 유아를 둔 아버지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는 Crinc과 Greeberg(1990)의 Parenting Daily Hassles(PDH)을 안지영(2000)이 수정 ․ 번안한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양육 효능감은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이 개발한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PSOC)를 신숙재(1997)가 번안 ․ 수정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한편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박주희(2000)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와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후 연구문제에 따라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정 ․ 격려 양육행동과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인지 효능감, 주중 놀이활동의 횟수, 직업 유형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지 효능감이 높을수록, 주중 놀이활동 횟수가 많을수록, 아버지가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온정 ․ 격려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계설정 양육행동과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인지 효능감, 주중 양육활동 횟수, 주중 놀이활동 시간, 직업 유형, 자녀의 연령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지 효능감이 높을수록, 주중 양육활동 횟수가 많을수록, 주중 놀이활동 시간이 적을수록, 아버지가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그리고 4세 자녀를 둔 아버지가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보호 ․ 허용 양육행동과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 효능감과 주중 놀이활동 시간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정서 효능감이 낮을수록, 주중 놀이활동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과보호 ․ 허용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부 ․ 방임 양육행동과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 효능감, 인지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정서 효능감과 인지 효능감이 낮을수록,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거부 ․ 방임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의 온정 · 격려와 적절한 한계설정 양육행동을 증진시키고 과보호 · 허용 및 거부 · 방임 양육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 효능감을 제고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자녀양육 참여에 대한 적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적절히 다룰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해 주는 것이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pattern among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parenting participation, 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299 fathers of three to four year-olds at 2 daycare centers and 11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unggi-do area. Fathers responded to a modified version based on Parenting Daily Hassles(PDH; Crinc & Greeberg, 1990), a revised version on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PSOC; Gibaud-Wallston & Wandersman, 1978), and a questionnaire including fathers' parenting behaviors(Park, 2000) a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developed by the autho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efficacy of parenting, the number of play participation in weekdays, and type of job significantly explained the fathers' warmth-encouragement behaviors. Specifically, the more there were frequency of the cognitive efficacy of parenting, the number of play participation in weekdays, and the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job, the more fathers did warmth-encouragement behaviors. Second, the cognitive efficacy of parenting, the number and time of play participation in weekdays, type of job, and the age of child significantly explained the fathers' boundary-action behaviors. Specifically, the higher level of cognitive efficacy of parenting, the more number and time of play participation in weekdays, the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job and the age of child, the more fathers did boundary-action behaviors. Third, the emotional efficacy of parenting, the time of playing in weekdays, significantly explained the fathers' overprotection- permission behaviors. Specifically, the lower the level of emotional efficacy of parenting, and the longer the time of play participation in weekdays, the more fathers did overprotection- permission behaviors. Lastly, the cognitive efficacy of parenting, the emotional efficacy of parenting, the parenting stress, significantly explained the fathers' rejection-nonintervention behaviors. Specifically, the lower level of emotional efficacy and the higher level of cognitive efficacy of parenting and parenting stress, the more the fathers did rejection-nonintervention behaviors. In conclusion, the fathers'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participation, stress, and efficacy. Therefore, fathers' parenting stress need to be reduced through various support systems, such as spouses encouragement and feedback on their feedback.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level of fathers' parenting efficacy should be boosted. Also, the guidelines fo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re developed and provi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pattern among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parenting participation, h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299 fathers of three to four year-olds at 2 daycare centers and 11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unggi-do area. Fathers responded to a modified version based on Parenting Daily Hassles(PD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7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5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