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도영-
dc.contributor.author권온-
dc.date.accessioned2020-03-26T17:32:17Z-
dc.date.available2020-03-26T17:32:17Z-
dc.date.issued2011-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54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178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지 본 연구는 안산시 원곡동을 사례로 다문화공간이 형성되는 과정과 다문화공간으로의 변화를 둘러싼 내부 구성원들 간의 갈등이 전개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의의 내용은 2010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진행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국내의 대표적인 이주자 밀집 지역인 원곡동이 관의 주도로 시행된 특구 사업을 통해 다문화공간으로 변화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관에서는 ‘다문화 특구’ 사업을 통해 원곡동 일대의 공간을 재편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다문화공간의 물리적인 틀을 형성했으며, 광장의 조성은 특구 사업을 통한 물리적 재편이 중점적으로 발생한 사건이었다. 이를 통해 만남의 광장에는 다문화공간의 중심성과 상징성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광장에서는 ‘다문화 특구’의 의미를 구성하는 행위와 사건들이 집약된 형태로 발생하게 되었다. 다만, 원곡동의 구성원들은 ‘다문화 특구’로의 변화를 둘러싸고 각자 다른 욕망을 지니고 있었다. 특구로의 변화는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원곡동 내부 구성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각자 다르게 해석되었으며, 상이한 해석들은 광장에서 벌어지는 행위들 및 사건들에 대한 의미와 연관되어 있었다. 이는 다문화공간의 중심 무대인 만남의 광장에서 특구로의 변화를 둘러싼 상이한 해석들이 교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광장에서 발생하는 충돌은 상이한 해석들 사이의 갈등이 반영되는 현상이었다. 결국, 관이 주도한 물리적인 재편의 과정 속에서 등장하게 된 다문화공간은 명목상으로는 다문화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문화 간 차이와 같은 갈등의 요소들이 가시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다문화공간 내부 구성원 사이에서 갈등의 쟁점이 되는 공간의 의미와 영토의 주도권 같은 문제들과 맞물려 전개되고 있었으며, 특구로의 변화에 대한 상이한 해석들이 충돌하는 갈등의 양상은 다문화공간의 중심성과 상징성이 부여된 공적인 장에서 가시화된 형태로 표출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다문화공간의 형성과 갈등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들과 현상들은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다문화공간이 형성되기 이전의 경우, 이주자들과 지역 사회의 구성원들 간의 갈등 관계는 기존의 이주자 관련 연구들이 전제하고 있던 공간적 배경, 즉 공장의 기숙사라던가 주거 지역과 같은 사적인 영역에서 머물러 있었다. 이주자들이 생활하는 공간은 한국인들의 생활 영역에서 벗어나 있거나 변두리에 위치해있었으며,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파편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주자 밀집 지역이 형성되고 다문화공간이 본격화됨에 따라서 사적인 영역에서 머물러 있던 갈등 관계는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주자들과 지역 사회의 구성원들 간의 갈등 관계가 공적인 영역에서 가시화된 형태로 표출되는 양상에 이르게 된 것이다. 국내에 체류 중인 이주자들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전국적으로 이주자 밀집 지역들의 규모가 확장되고 있다. 한국 사회는 본격적으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과도기적 상황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주자와 지역 사회 사이의 관계가 사적인 영역을 넘어 공적인 영역에서 가시화된 형태로 표출되는 현상은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이행되는 과정 속에서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 2010년 원곡동의 사례는 바로 이러한 차원의 의미를 보여주는 실례라고 할 수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다문화공간의 형성과 갈등의 전개 방식-
dc.title.alternativeFormation and Conflicts of Multicultural Space - A Case Study of Won-gok-dong, Ansan Cit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권온-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Gwon, 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문화인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회문화-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