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4 0

정신분열병 망상 속 박해자의 변화

Title
정신분열병 망상 속 박해자의 변화
Other Titles
Changing Patterns of Persecutors in Delusion of Schizophrenia During about 30 Years (1980-2009)
Author
오현영
Alternative Author(s)
Hyun Young Oh
Advisor(s)
박용천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서론 : 정신분열병에 관한 문화정신의학의 관심사 중 한 가지는 시대 변천에 따른 증상 변화와, 이런 변화가 문화와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들 증상 가운데 문화의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받는 것은 망상의 내용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1993년 어호근, 김광일의 연구는 정신분열병 망상속의 박해자를 1980년대 초와 1990년대 초, 10년의 간격을 두고 비교하였다. 이에 더해 본 연구에서는 2009년까지 총 29년간의 간격을 두고 망상속의 박해자를 비교 검토하면서 사회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신경정신과에 입원하였던 환자 중 1980년 6월 1일부터 1982년 5월 31일까지 입원하였던 환자 120명, 1990년 6월 1일부터 1992년 5월 31일까지 입원하였던 환자 120명의 기록을 담은 어호근, 김광일 (1993) 연구 결과와, 2007년 6월 1일부터 2009년 5월 31일까지 입원하였던 환자 98명의 입원 당시 기록을 통해 망상 속 박해자와 박해 양상에 대해 카이제곱검정 및 세부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정치 성격을 띤 박해자 (p<0.001) 는 감소하였고 불특정인 (p<0.001) 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남성의 경우 정치 성격을 띤 박해자 (p<0.01) 의 빈도는 감소하였고 불특정인 (p<0.01) 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와는 달리 여성의 경우 정치 성격을 띤 박해자(p<0.05), 이웃 (p<0.05) 의 빈도는 감소, 불특정인 (p<0.001) 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1980년대에 비해 1990년대에 높게 나타났던 초자연의 존재나 종교적 인물은 2000년대에 다시 감소하였다 (p<0.05). 또한 망상 내용 상 박해 행동이 가벼워진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파괴 (p<0.01) 나 심각한 위협 (p<0.001) 은 감소한 반면, 은근한 위협 (p<0.01) 은 증가하였다. 1980년대에 비해 1990년대에 증가했던 언어적 비난은 2000년대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p<0.001). 고찰 : 본 연구 결과는 정신분열병 증상의 시대 변천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고 이는 한국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안정화를 반영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정치 성격을 띤 박해자가 감소한 것은 정부기관이 더 이상 공포의 대상, 박해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불특정인이 증가한 것은 현실에서의 실질적인 박해가 감소한 것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망상의 내용상 박해 행동이 가벼워진 양상을 보이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즉 박해 행동이 위협적인 방법에서 가볍고 모호한 방법으로 약화된 것이다. 이는 정신분열병 증상에 한국 사회가 30년간 정치, 사회적으로 안정화, 자유화 및 안전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변한 것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2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7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