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용천-
dc.contributor.author박선철-
dc.date.accessioned2020-03-26T17:15:22Z-
dc.date.available2020-03-26T17:15:22Z-
dc.date.issued2011-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24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351en_US
dc.description.abstract서론: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ye movement desensitization reprocessing, EMDR)은 심리적인 외상에 대한 정신치료로서, 기억 네트워크 모델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EMDR의 신경발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행되지 않았다. 이 예비연구는 EMDR의 복합적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lex PTSD)에 대한 치료반응과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nerve growth factor(NGF) 등 신경성장인자(neurotrophic factors)의 혈장농도 사이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방법: 8명의 complex PTSD 남자 입원환자를 1개월 동안 8세션 EMDR로 치료하였다. 8 세션의EMDR 전후로 BDNF, NGF의 혈장농도를 측정하였고, 간이정신진단검사, 해리경험척도, 경계선적 성격특성 척도로 증상학적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BDNF와 NGF의 혈장 농도는 EMDR 전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혈장 BDNF 농도의 기저값은 우울(Kendall's tau 검정, b=.643, p=.026) 및 불안(b=.571, p=.048)의 치료반응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혈장 NGF 농도의 기저값은 우울(b=-.643, p=.026)의 치료반응과 음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이 결과는 혈장 BDNF 및 NGF 농도가 complex PTSD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EMDR 치료반응의 잠재적인 생물학적 예측인자임을 제시해준다. 더불어, EMDR 치료반응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제시하는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복합적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치료반응에 대한 혈장 신경성장인자 농도의 예측성-
dc.title.alternativePlasma Levels of Neurotrophic Factors Predict Responses to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i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선철-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eon-Cheol-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신경정신과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