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1 0

18세기 禮學 연구

Title
18세기 禮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itual Theory in the 18th Century : focused on Discourses of the Nak school
Author
김윤정
Alternative Author(s)
Kim, Yun Jung
Advisor(s)
李碩圭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논문은 18세기 조선 예학의 발전을 洛論系 학자들의 禮論과 禮書 그리고 禮說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의 예학은 17세기를 지나 18세기에 이르면 變禮에 대한 담론이 확대되고 巨帙의 예서가 편찬되는 등 더욱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18세기 조선 사회의 성격과 더불어 예학 자체의 전개와 발전에 주목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18세기 서인-노론 내부에서 벌어졌던 湖洛論爭은 예학의 흐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호서의 權尙夏 문하에서 일어난 李柬과 韓元震 사이의 心性 논쟁은 李縡가 참여하면서 지역성을 포함한 호락논쟁으로 본격화되었다. 논쟁의 과정에서 각 학파는 송시열을 잇는 노론의 정통임을 주장하였고 예론에서도 정통성 문제가 부각되었다. 한원진은 端懿嬪 복제와 관련하여 스승 권상하가 주장한 ‘天子諸侯絶旁期’를 추종하면서 王禮와 士禮를 구분하고 천자제후의 至尊이라는 특수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대해 이재의 제자인 任聖周는 한원진의 주장이 四種說에 어긋나고 尊尊만을 중시하는 것으로 宋時烈의 예론과는 다르다고 비판하였다. 임성주는 예론을 통해 호론의 정통성에 문제를 제기하였고, 예론이 호락논쟁에서 상대를 공격하는 논점으로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들어 임성주의 심성론에 대한 비판이 강화되는 와중에도, 그의 예론은 ‘낙론의 예론’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호락논쟁을 통한 이론화 과정에서, 낙론은 ‘爲人之道’로서의 󰡔 小學󰡕 과 心의 주재성을 더욱 강조하였다. 낙론의 人物性同論은 인성과 물성이 같기 때문에 爲人之道를 배워서 사람다움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 을 학문의 근본으로 삼고 예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또한 本然之心을 중시하여 未發心體의 純善함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심을 도덕적 실천의 주체로 파악하였다. 낙론의 심론은 마음이 곧 明德이고 虛靈不昧하다고 봄으로써 그 자체로 統性情하는 역할을 인정하였다. 禮는 五常의 하나인 性으로서의 존재보다 心과 情의 차원에서 설명되었고 그만큼 실천의 의미가 강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천을 중시하는 낙론의 예론은 실용성을 강조하는 예서의 편찬으로 전개되었다. 이재는 사망하던 해인 1746년에 󰡔 四禮便覽󰡕 을 저술했다. 󰡔 은 金長生의 󰡔 喪禮備要󰡕 를 수정 ․ 보완한 것으로 실용성을 위주로 한 예서였다. 또한 김장생의 예학을 바탕으로 송시열의 예설을 보충하여 노론예학의 정통을 계승하고자 하였다. 이재의 제자인 朴聖源은 變禮를 중심으로 󰡔 을 보완하는 󰡔 禮疑類輯󰡕 을 편찬하였다. 18세기 예의 세분화에 따른 변례의 문제가 확대되면서 변례에 대한 고증은 원활한 예 실천을 위해 요구되는 실용적인 작업이었다. 또한 󰡔 은 조선의 예설을 집대성한 類書 형식의 예서로서 찾아보기 편하게 항목을 분류하는 특징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類書의 성격을 갖는 예서의 편찬은 18세기 조선 사상계의 흐름과 일치하는 것으로 예 담론의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朴胤源 사후 편찬된 󰡔 近齋禮說󰡕 은 실용성의 목적에서 󰡔 의 체제를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박윤원은 이재-김원행을 잇는 낙론의 종장이자 왕실의 외척으로서 18세기 후반 京華士族의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예학에 밝아서 고증을 통해 변례에 합당한 예설을 제시하였고, 서울 ․ 경기 일대의 예설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8세기 낙론의 예설은 17세기 기호예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사회의 변화에 따른 구체적인 예의 실천과 담론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먼저, 18세기에는 4대를 넘어 五代祖와 관련된 의례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16세기 성리학적 예제들이 시행되는 시점으로부터 약 150여년이 경과되면서, 비로소 5대조에 대한 문제가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사회의 문중화 경향이 확대되면서 4대를 넘는 친족집단의 구심점으로서 不遷位가 중시되었다. 불천위를 중심으로 문중 내의 친족들을 통합하고 재정비하는 문제가 18세기 조선사회에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었던 것이다. 둘째, 立後의 확대에 따라 파생되는 다양한 變禮에 대한 담론이 증가하였다. 입후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인의 不在를 해결하기 위해 攝祀가 강조되었고 동시에 섭사가 초래할 수 있는 二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섭사와 承重을 구분짓는 예설이 등장하였다. 한편, 입후에서 二統을 만들지 않기 위해 본생친에 대한 降服의 원칙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繼後가 중첩되면서 오히려 의리와 은혜의 실현이라는 상복제의 원칙이 혼란을 겪는 모습들이 드러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종법의 원칙에 충실하려는 입장과 절충적인 예설이 공존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尊者인 아버지 중심의 가례 운영을 원칙으로 여성 의례에 대한 담론이 확대되었다. 기본적으로 父在爲母喪과 妻喪을 ‘三年之體’의 측면에서 동일시하면서 아들보다 아버지 중심의 행례가 중시되었다. 그러나 父在爲妻의 경우 ‘三年之體’를 중시하는 입장은 오히려 父在 여부를 논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모순된 결과를 낳았다. 결국 ‘삼년지체’의 강조는 예학적인 이론이라기보다 尊者 중심의 가례 실천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병자호란을 통해 여성의 失節 문제가 가시화 되면서 嫁母는 곧 ‘통간한 여성’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妓妾을 가모로 간주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가모 담론은 여성의 改嫁를 금지하고 도덕적 실천에 주목하는 조선 사회의 특성에 기반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庶孼도 家禮를 실천하는 주체로 인정되면서 서얼과 관련된 의례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첩과 서얼을 奴主 관계에 의해 신분적으로 배제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양반의 친족 질서 내에 자리매김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서얼이 嫡母 유무와 관련없이 生母에게 삼년복을 입을 수 있게 된 것은 신분에 의해 적모에게 壓屈되는 존재가 아니라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 서자는 친족 내에서 衆子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으면서 보편적인 종법질서의 틀 속에 포함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담론들은 18세기 조선 사회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낙론계 학자들은 조선의 활발한 예설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그들의 예서는 예의 확산과 보편화를 견인하였다. 낙론은 기호-노론 예학의 통합과 발전을 주도하였고, 우월한 정치적 · 사회적 지위를 기반으로 조선 예학에 보다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따라서 조선후기 예학 연구에서 낙론의 예학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된다. | This dissertation illuminated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ritual(禮學) in chosun of the 18th century, focused on the ritual theory, the ritual literature and the ritual discourse of Nak school(洛論). The study of ritual in chosun was getting progressed as the discourse of byeonlye(變禮) was expanded and the ritual literature of big volume was publised in the 18th century. The Ho-rak Debate of the Old Doctrine faction(老論) in the 18th century had an effect on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ritual in chosun. The Ho-rak Debate which originated by Lee Gan(李柬) and Han Wonjin(韓元震) in Hoseo(湖西) region started to have locality when Lee Jae(李縡) who lived in kyunggi(京畿) region participated in. In the course of debate, each party claimed legitimacy of the Old Doctrine faction and same happened in the ritual theory. Han Wonjin followed his master Kwon Sangha(權尙夏)'s opinion, which differentiate the royal courtesy(王禮) from gentlemen's courtesy(士禮) and emphasize on the specialty of emperor and feudal lords's status. On the contrary, Lee Jae's puppil Lim Seungju(任聖周) argued that Han Wonjin's opinion is not accordant to the theory of four kinds of exceptions(四種說) and only lays stress on the distintion according to social status(尊尊), thus differs from Song Siyeol(宋時烈)'s ritual opinion. Lim Seungju brought up a question to the orthodoxie of the Ho school(湖論), and the ritual theory became the issue to attack the oppenents in the Ho-rak Debate. Lim's opinion was renowned as ‘the ritual theory of Nak-school’ even though his theory of mind and nature was criticized in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theorization through the Ho-rak Debate, Nak-school emphasized the Hsiao-hsü eh(小學) such as the way of being human and the supervision of mind. The Nak school's theory that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animal are the same mainly concerned with the way of being human beacase human and animal had same nature. Therefore they concerned the Hsiao-hsü eh with the basis of their study and concentrated on the practical ritual. On the other hand they thought that mind was the main conrol of morality beacase mind of non-issuance was pure. The Nak-school's theory that mind was brilliant virtue(明德) insisted mind could contain human nature and emotion by itself. They explaned of ritual such the level of mind and emotion so stressed on the practice of ritual. The ritual theory of Nak-school, which emphasizes on practice started with publishing of practical the ritual literature. Lee Jae published Saryepyeollam in 1746 in which year he died. Sarye pyeollam was enhancement over Sangnyebiyo taking its emphasis on practicality into consideration. The book supplemented Kim changsang(金長生)'s ritual study with Song Siyeol's opinion and tried to succeded the orthodoxie of the the Old Doctrine faction. Park Sungwon(朴聖源) who was disciple of Lee Jae wrote Yeuiryujip, which makes up for Saryepyeollam based on the byeonlye. With segmentation of the ritual grew, historical research on its variations was actually very effective method to put the ritual into practice. Yeuiryujip, was organized with dictionary-like index of the ritual discourse in Chosun for easy lookup. Publishing of such the ritual literature was coincide with the public thought of Chosun in 18th century. Geunjaeyeseol was published after Park Yunwon(朴胤源)'s passing, which follows the organization of Yeuiryujip for practical purpose. Park Yunwon was a key figure of kyunghwasagok(京華士族), in late 18th center as the master of Nak-school and maternal relative of royal family. He was very keen at the study of ritual, so he could provided proper opinion to the byeonlye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utual exchanges of the ritual discourse around Seoul-Kyunggi area. The ritual discourse of Nak-school in 18th century not only succeeded the tradition of Kiho School(畿湖學派)'s ritual study in 17th century but also embraced the practice of ritual and discourse triggered with social change. First, the problem of rite for ancestor of five generations ago arose. 150 years passed after implementation of Neo-Confucianism in 16th century, 5-generaion-ancestor problem surfaced for the first time. As tendency of clan-oriented society grew, bulcheonwi(不遷位) was esteemed as a center of over-4-generation relatives. Integration and reorganization of relatives in clan with bulcheonwi as the center became very important matter in Chosun society. Second, as iphu(立後) became widespread, discussions of diverse variation of the byeonlye grew more and more. Seopsa(攝祀) was overemphasized to deal with a master's absence during the process of iphu. Theory about distinction between seopsa and Seungjung(承重) appeared to solve the problem of two line of descent. Meanwhile, the principle of gangbok(降服) was emphasized not to make two line of descent with adoption. The rule of mourning as a realization of loyalty and grace suffered a confusion with overlapping of iphu. We can see that both devoted party and ecletic party coexisted in the process. Third, father oriented operation of family ritual was fundamental principle, the discourse about female rite spread. Basically, mourning for mother when father was alived(父在爲母) and mourning for wife(妻喪) were equated in aspect of the form of three year mourning(三年之體), but in practice father's role was emphasized over son's role. But in the case of mourning for wife when father was alived(父在爲妻), those who emphasizes the form of three year mourning contradicted themselves with not considering father's existense. Emphasis on the form of three year mourning was not oriented from a ritual theory, but from a practical purpose of fullfilment of rite with father as the master. On the other hand, as chastity problem of women came to the fore during the Manchu war of 1636 gamo(嫁母) was becoming considered as adultery-committer, so concubine of courtesan(妓妾) was also regarded as gamo. Discussions about gamo was firmly based on the social characteristic of Chosun which prevented widows from remarriage and forced ethical action. Fourth, as the offspring of concubines was gradually admitted as one of subject of family rite, conventions related to concubine was start to being established. That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not treated in the context of slave-master relationship, but of family order. The offspring of concubines could wear three-year mourning clothes for his biological mother, and that was because they are not treated with status. As sons of concubines was granted a position as firstborn son's younger brothers(衆子) in clan, they were gradually admitted in the agnatic principle(宗法).; This dissertation illuminated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ritual(禮學) in chosun of the 18th century, focused on the ritual theory, the ritual literature and the ritual discourse of Nak school(洛論). The study of ritual in chosun was getting progressed as the discourse of byeonlye(變禮) was expanded and the ritual literature of big volume was publised in the 18th century. The Ho-rak Debate of the Old Doctrine faction(老論) in the 18th century had an effect on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ritual in chosun. The Ho-rak Debate which originated by Lee Gan(李柬) and Han Wonjin(韓元震) in Hoseo(湖西) region started to have locality when Lee Jae(李縡) who lived in kyunggi(京畿) region participated in. In the course of debate, each party claimed legitimacy of the Old Doctrine faction and same happened in the ritual theory. Han Wonjin followed his master Kwon Sangha(權尙夏)'s opinion, which differentiate the royal courtesy(王禮) from gentlemen's courtesy(士禮) and emphasize on the specialty of emperor and feudal lords's status. On the contrary, Lee Jae's puppil Lim Seungju(任聖周) argued that Han Wonjin's opinion is not accordant to the theory of four kinds of exceptions(四種說) and only lays stress on the distintion according to social status(尊尊), thus differs from Song Siyeol(宋時烈)'s ritual opinion. Lim Seungju brought up a question to the orthodoxie of the Ho school(湖論), and the ritual theory became the issue to attack the oppenents in the Ho-rak Debate. Lim's opinion was renowned as ‘the ritual theory of Nak-school’ even though his theory of mind and nature was criticized in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theorization through the Ho-rak Debate, Nak-school emphasized the Hsiao-hsü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98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7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ISTORY(사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