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1 0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자아분화,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 및 자아분화,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hoto Image Group Art Therapy on Marital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Author
김선희
Alternative Author(s)
Kim, Sun Hee
Advisor(s)
박경진, 한영희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삶을 재평가하며 혼동을 느낄 수 있는 중년기의 여성들은 대부분 자아 표현력 및 창조력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며‘미술’이라는 매체에 대해 친근감을 갖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포토이미지 프로그램을 통해 내면의 표현과 창조성을 유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가? 둘째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가? 셋째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가? 본 연구는 경기도 J동에 거주하는 45세부터 50세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주1회씩 총 16회기로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소요시간은 약 70분 정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Snyder의 척도를 중심으로 가족환경과 시가관계 그리고 심리적, 인성적인 요인을 첨가한 손선희(1992)의 결혼만족도 척도 (Marital Satisfaction Scale : MSS)를 사용하였다. 자아분화는 Bowen의 이론인 자아분화 척도(Self-Differentiation Scale)에 입각하여 재석봉(1989)이 개발한 자아분화 척도 36문항을 백양희(1997)가 수정하여 사용한 30문항의 Likert형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우울은 Beck(1967)이 임상경험을 토대로 제작한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BDI)를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김혜정,2005). 또한 연구에서는 SPSS ver15.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검증을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 및 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투사적 그림검사도구는 K-HTP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도출된 본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중년기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사전·사후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생각의 전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둘째,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를 사전·사후 비교한 결과 인지·정서적기능이 다소 높아지는 차이를 나타냈다. 작품과 작업과정을 통하여 자아분화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셋째,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중년기 여성의 하위요인별 우울점수에 미치는 효과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K-HTP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한 결과 사람과 나무그림에서 긍정적 변화를 타나냈다. 가족관계나 자기상에서는 자기이해와 자아정체성 형성, 가족과의 관계회복, 대인관계에서 관계에 대한 불안함 감소, 자신감 형성 등의 긍정적 변화를 나타냈다. 포토이미지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만족도와 자아분화 및 우울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사용된 도구는 그림 재료가 아닌 자신의 포토 이미지작업을 적용한 것이다. 실제로 대다수의 중년기 여성들은 실생활 가운데 미술이라는 매체에 대해 친근감을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자신의 표현과 창조적인 부분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낸다. 그러한 이유로 중년기 여성의 내면의 표현을 더욱 끄집어내기 위하여 포토 이미지 작업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본인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둘째, 포토 이미지 작업을 적용한 방법은 그림재료를 이용해 나타내는 방법보다 중년기, 갱년기에 대해 더욱 많은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사진이라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과거의 다양한 기억을 회상하고 그 속에 담겨진 의미를 찾아 낼 수 있었다. 이는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감각적인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9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9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 DESIGN[E](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