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세환-
dc.contributor.author김홍렬-
dc.date.accessioned2020-03-26T16:53:06Z-
dc.date.available2020-03-26T16:53:06Z-
dc.date.issued2011-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89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998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을 대표하는 별서정원들의 설계적 특성을 기호학을 통해 해석하여 봄으로써, 별서정원이 갖는 형식과 내용을 새롭게 파악하고,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향후 전통 계승을 통한 새로운 조경설계방법론 모색의 가능성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별서정원과 기호학 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별서정원의 기호학적 해석의 틀을 마련하고 이 틀을 통해 현존하고 있는 전국 10개의 대표적 별서정원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별서정원은 조영 당시의 사회배경에 밀접한 영향을 받은 작정자에 설계적 의도에 의해 공간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대적 산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별서정원의 작정자는 성장배경과 사회적 상황들로 영향을 받아 정원 공간에 자신의 이상향(기의적 요소)을 공간배치, 건축물, 조경요소 등(기표적 요소)으로 연출하려고 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 별서정원에서 나타나는 모든 요소들은 작정자의 설계언어로 만들어 낸 기호로 해석 될 수 있었는데, 작정자가 정원을 작정하게 되는 배경부터 정원공간으로 나타나는 모든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작정자의 사상과 이상은 작정자의 의도로서 기의로, 건축물의 현판, 공간배치, 식재, 물, 바위 등 조경적 요소는 물리적 수단으로서의 기표로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 될 수 있었다. 이들 기의적 요소와 기표적 요소는 하나의 기호로서의 통일된 관계를 형성하며 별서정원 공간에 담고자하는 총체적 산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별서정원을 기호학 이론을 도입하여 공간이 가지고 있는 형태뿐만 아니라 의미를 포함하여 새로운 해석을 수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별서정원 공간해석은 기의로서의 작정자의 작정의도에 대한 이해, 건축물과 외부공간을 포함한 모든 조경요소에 대해 기의가 스며든 기표로서의 이해를 함께하여 기호학적 시각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호학적 해석을 통해 별서정원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조경 분야에서 기호학이 한국적 조경설계방법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보다 더 심층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별서정원 설계의 기호학적 해석-
dc.title.alternativeA Semiotic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홍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ong-Ryeol-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설계·조경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도시경관생태조경-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