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희선-
dc.contributor.author이인자-
dc.date.accessioned2020-03-26T16:46:42Z-
dc.date.available2020-03-26T16:46:42Z-
dc.date.issued2011-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77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401en_US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Bourdieu, Coleman, Putnam의 연구 이래,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는 사회학, 경제학, 행정학, 교육학, 정치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 중, 교육성과와 관련해서 가족 내 사회자본 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풍부하게 소유한 청소년일수록 학업성적, 고교 졸업율과 대학 진학률이 높고 중퇴율은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육성과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기초로 한국에서 재검토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한국적 맥락에서 교육성과 향상에 있어서 사회자본이 갖는 교육적 의미의 이해, 무분별한 사교육 투자에 대한 재인식, 청소년들의 교육성과 향상을 위한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 사회자본 축적의 필요성 및 그들 간의 협력적 지원체계 수립 등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자본이 교육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에 더하여 사회자본과 교육성과의 관계에서 사교육의 매개변수로서의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 관련 변수들과 사교육의 상대적 중요성은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2009년 5월부터 6월까지 로 하여 서울의 중학교 및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 내용적 범위는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학교 및 지역 사회자본과 사교육의 상대적 기여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증적인 검증을 위한 조사설계 및 방법으로는 기술적·설명적 접근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인과모형에 의한 추론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중 통상최소제곱법(OLS: Ordinary Least Squares)과 경로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첫째, 가족 사회자본의 구조와 과정, 학교 사회자본의 과정, 지역 사회자본의 과정만 직·간접적으로 교육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성과에 대한 사회자본 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는 가족 사회자본의 과정, 지역 사회자본의 과정, 가족 사회자본의 구조, 학교 사회자본의 과정, 학교 사회자본의 구조 등의 크기순으로 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사교육 매개변수는 교육성과에 대해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 사회자본, 학교 사회자본의 과정,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과정 변수들과 결합되었을 때, 교육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자본의 구조적 변수보다 과정적 변수들의 영향이 더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면 첫째, 가족 사회자본은 청소년들의 교육성과 향상에 있어서 영향력이 가장 뚜렷한 요인임으로 청소년 복지정책에서도 소득지원정책만으로는 부족하며, 가족 사회자본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둘째, 학교 및 지역 사회자본 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하겠다. 셋째, 사교육에 대한 무분별한 투자보다 가족, 학교 및 지역 사회자본을 바탕으로 사교육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만 청소년들의 높은 교육성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넷째, 교육성과 향상을 위해 설계된 정책 및 교육복지는 학교를 넘어서 연장되어야 하고 가족과 지역사회 나아가 사회 전반의 사회자본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상호 협력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사회자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Educ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ivate Educ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인자-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Ren Zi-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행정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