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 0

3T3-L1 지방세포에서 TNF-α 의 노출 및 회복 시간에 따른 억제된 아디포사이토카인의 회복 기전에 대한 이해

Title
3T3-L1 지방세포에서 TNF-α 의 노출 및 회복 시간에 따른 억제된 아디포사이토카인의 회복 기전에 대한 이해
Author
김원준
Advisor(s)
안유헌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지속적인 TNF-α의 상승은 당뇨병과 비만의 병태 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시적인 TNF-α의 노출 후에는 회복되지만, 그 회복되는 시간과 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3T3-L1 지방세포에 TNF-α의 노출 농도 및 회복시간에 따른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발현 변화와, 아디포넥틴의 회복에 대한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T3-L1 세포주를 지방세포로 분화하게 유도하면서, 48시간마다 DMEM / FBS 배지로 교환하였다. 분화 8일 된 3T3-L1 지방세포주에 TNF-alpha 를 10 ng/mL의 농도로 16시간, 32시간, 48시간 처리 후 회복기 때 DMEM 배지로 세척 후 배양하여 아디포사이토카인의 mRNA 및 아디포넥틴의 western-blot을 시행하였고, 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ERK1/2 inhibitor (PD98059, 50 uM, Sigma)가 포함된 DMEM 배지에 16시간, 3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결과: TNF-α를 농도별로 16시간 처리하였을 때, TNF-α 가 10ng/ml 이상의 농도에서 Adiponectin, Leptin, resistin, PPARγ, C/EBPa, aP2는 감소하였고, TNF-α, IL-6은 dose-dependent 하게 증가하였다. TNF-α에 의해 억제된 아디포넥틴과 PPARγ mRNA는 노출된 시간만큼의 회복 시간이 주어져야 대조군의 발현 정도로 증가하였다. TNF-α에 32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노출된 지방세포는 16시간 후에는 회복되지 않았으나, 각각 처리 시간과 동일하게 36시간과 48시간의 회복 시간이 주어진 후에는 대조군 수준으로 정상화되었다. 아디포넥틴의 Protein level 결과에서도, 회복시켰을 경우, 처리 시간만큼 회복시간 주어져야 대조군 수준으로 다시 회복되었다. TNF-α를 32h 처리하고 회복시간에 ERK inhibitor를 함께 처리한 결과, 감소되었던 아디포넥틴이 16h / 32h FBS CM media 로 회복시켰을 경우보다, ERK inhibitor와 함께 회복시켰을때가 유의적으로 더 높게 adiponectin mRNA level control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protein level도 ERK inhibitor 와 함께 회복시켰을 때, 크게 증가하였다. 결론: 본 실험에서 아디포사이토카인이 TNF-α의 노출 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데에는 노출 시간만큼의 회복 시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ERK 1/2 억제제를 추가하였을 때, 아디포넥틴은 더 빨리 회복되어 ERK 관련 경로가 부분적으로 회복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NF-α로부터의 회복 기전에 대한 다른 경로를 포함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4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7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