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 0

수중재활운동이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심폐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중재활운동이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심폐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qua-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improving in a cerebral apoplexy hemiplegia case
Author
남상남
Keywords
Aqua-Rehabilitation; Hemiplegia; cardiopulmonary function improving; 수중재활; 편마비; 심폐기능 개선
Issue Date
2004-05
Publisher
한국운동생리학회
Citation
운동과학, v. 13, No. 2, Page. 141-149
Abstract
남상남, 김종혁, 조영수, 수중재활운동이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심폐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2호, 141-150, 2004. 본 연구는 S지역의 S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고 있는 뇌졸중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수중재활운동이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심폐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수중재활운동군은 심폐기능 측정변인 중 총 운동시간(p< 0.01)과 무산소성역치시간(p< 0.01)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 세 집단간의 변화 비교중 총 운동시간에서는 실험 Ⅰ군과 통제군, 실험 Ⅱ군과 통제군에서(p< 0.01), 무산소성 역치시간에서는 실험 Ⅰ군과 실험 Ⅱ군, 실험 Ⅰ군과 통제군에서(p< 0.05), 무산소성 역치시 VO₂max에서는 실험 Ⅰ군과 통제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5). 이상의 실험결과 실험 Ⅰ군은 12주간 수중재활운동 후 측정변인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 실험 Ⅱ군과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못하였다. 또한 집단간의 비교에서는 설험 Ⅰ군은 실험 Ⅱ군과 통제군에 비하여 심페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수중재활운동이 다른 운동군에 비하여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운동으로써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차후, 본 연구를 기초로 다른 종류의 장애인이나 노약자 및 임산부들에게 수중재활운동을 적용할 때 적정운동강도와 각 대상에 있어 운동처방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Nam, S.N., Kim, J.H., Cho, Y.S. The Effect of Aqua-Rehabliltation Exercise o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improving in a cerebral apoplexy hemiplegia case. Exercise Science, 13(2): 141-150,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improving In a cerebral apoplexy hemiplegic case` toward twenty(20) stroke patients who were utilizing S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S area.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conclusions were drawn. Experimental- Ⅰ group(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variation in total exercise hour(p<.01) and anaerobic threshold hour (p<.01) of observed variables regarding cardiopulmonary function. Concerning variation and comparison between three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experimental- Ⅰ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al- Ⅱ group and control group (p<.01) in total exercise hour, from experimental- Ⅰ group and experimental- Ⅱ group, experimental- Ⅰ group and control group(p<.05) in anaerobic threshold hour, and from experimental- Ⅰ group and control group(p<.05) in V0₂max for anaerobic threshold. Therefore, it`s demonstrated that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hemlplegic patients after stroke when it is studies on appropriate exercise intensity and concrete effect according to exercise type should be performed constantly when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is applied to disabled persons with other diseases, old persons, and pregnant women.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34271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383
ISSN
1226-1726; 2384-054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PORTS AND ARTS[E](예체능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