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제무-
dc.contributor.author차동성-
dc.date.accessioned2020-03-18T17:06:14Z-
dc.date.available2020-03-18T17:06:14Z-
dc.date.issued2011-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905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7864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지 본 연구는 북촌 한옥마을의 이미지 요소를 내국인과 외국인 이용자측면에서 비교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북촌 한옥마을의 개발과 보존을 위한 정책수립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미지요소의 규명 평가방향은 기존문헌 검토 및 전문가 심층면접 토론(FGI)을 통해 이미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이미지 지표를 토대로 설문조사자료를 구축하고 신뢰성 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한 자료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이미지 구성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결과 경관이미지, 시설이미지, 한옥이미지로 구성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한 주요 이미지 구성항목을 토대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북촌 한옥마을 이미지 요소의 결과는 내국인의 경우 경관이미지(0.57), 시설이미지(0.21), 한옥이미지(0.20)순으로 나타났고, 외국인의 경우 한옥이미지(0.34), 시설이미지(0.29), 경관이미지(0.22)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내국인은 북촌 한옥마을의 전반적 풍경과 옛스런 정취에 대한 이미지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편의시설 등이 취약한 시설이미지와 한옥자체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국인의 경우는 한옥자체에 대한 예술적 구성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시설이미지 및 경관이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것은 북촌 한옥마을의 이용 이유가 한옥 자체에 대한 예술적 가치에 외국인들의 이미지가 집약 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향후 북촌 한옥마을의 개발과 보존을 위한 계획 수립 시 내국인과 외국인의 이미지 요소가 다른점을 인지하고 분리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본 연구의 이미지 영향요인 규명이 향후 물리적 지표의 한계를 극복한 정서적 측면의 이미지 영향요인의 규명과 지속적(장기간)이고 다양한 외국인의 이미지 영향요인의 규명을 위한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 북촌한옥마을 이미지요인, 경관이미지, 한옥이미지, 회귀분석-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이용자 측면의 북촌 한옥마을 이미지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the Image Factors Affecting the Bukchon Traditional Residential Areas :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차동성-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a, Dong S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도시.SOC투자개발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