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동운-
dc.contributor.author김정아-
dc.date.accessioned2020-03-18T17:04:03Z-
dc.date.available2020-03-18T17:04:03Z-
dc.date.issued2011-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896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7746en_US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Medical providers worldwide are gearing up for a likely pandemic of human influenza. Triggered by the experience responding to the influenza pandemic in 2003 and 2009, the lack of official ethical guidelines on balancing public needs and personal risk has been pointed out. Prompted by discussions at a hospital on proper response to a pandemic influenza outbreak, we examined employees' knowledge on the influenza pandemic and solicited their opinions on professional ethics. Their perception of ethical issues in pandemic response has not been understood yet in Korea.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ethical dilemmas encountered by hospital professionals and to identify constraints or enhancers that influenced ethical decision mak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t thre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from May to June 2011. The design of the study was descriptive cross-sectional,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54-items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one hundred twenty six medical doctors and two hundred thirty six registered nurses who were working for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8.0 Network Version(on release 18.0.1 of PASW Statistics)' program. Various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for analyzing the data to obtain a profile for participants and to identify ethical perception, issues and conflicts perceived by the professional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ethical choice when facing various ethical dilemmas. Results: Of the 362 participants, 63.0%(228) believed that an influenza pandemic in the next few years was ‘‘almost inevitable’’ or ‘‘very likely’’. 66.4% thought health sector will experience a shortage of drug in next pandemic, perhaps reflecting a perceived lack of preparedness responding a pandemic. However, 43.0%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need a guideline for preparedness for a pandemic. Most important ethical issues perceived were to ensure receiving information and protection and to need ethical guideline in a pandemic. Of ethical issues responding a pandemic by them, more than 60% answered psychological conflict, which was highest response rate. Of the four ethical principles, the most compelling principle of medical ethics was which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expected to serve the best interests of their patients. The level of education and number of sibling were influencing factors o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thical perception. Gender, level of education, religion, nurse, number of sibling, clinical department and clinical carrier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individual applying ethical principles toward a particular situation in a pandemic.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an interesting insight into healthcare professionals' attitudes to applying ethical principles toward a pandemic.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their attitude varied in a pandemic, which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efficient preparedness for a pandemic. The reasoning underlying healthcare professionals’ attitudes needs thus further investigation if the professionals are to play a role in responding a pandemic. It suggest that government and hospitals should consider to develop an official ethical guidelines on balancing public need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risk in a pandemic.| 최근 우리사회는 외국과의 인적·물적 교류가 많아짐에 따라 감염 질환에 노출될 기회가 그만큼 많아졌고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신종 감염성 질환들이 재출현하고 있다. 국내 신종 감염병의 대표적 사례는 지난 2003년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과 2009년 발생한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로 이는 우리 사회 전체를 큰 혼란에 빠뜨렸다. 서양에선 이미 이처럼 가까운 미래 신종 감염병의 유행 가능성을 예측하고 pandemic시 대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계획 및 여러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같은 대혼란 및 여러 윤리적 상황을 경험했으나 외국과 달리 윤리적 문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흡한 바,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은 2011년 5월 31일부터 6월 3일까지 약 4일간 실시하였다. 설문장소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 3곳과 서울 근교에 위치한 대학병원 1곳에서 실시하였고, 설문은 현재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의사 및 간호사)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 조사 시간은 09시~17시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40부가 배부되었고, 실제로 설문지가 작성되어 기한 내 회수된 설문지는 362부(회수율 82.27%)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와 설문 항목은 국내외 선행 연구자들의 구성을 토대로 수정, 보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Network Version(on release 18.0.1 of PASW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Chi-square test, t-test와 ANOVA 그리고 예측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Linear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여성이 많았으며 연령은 26∼29세 이하가 33.0%의 많은 분포를 보였다. 교육수준은 학사가 63.1%로 제일 많았고, 결혼 상태는 미혼의 경우가 많았고, 기혼자 중 자녀가 있는 군이 54.9%, 자녀가 없는 군이 60.4%였다. 형제·자매 수는 1명의 경우가 제일 많았고, 종교는 무교가 제일 많은 빈도를 보였다. 종교가 있는 경우 종교 생활은 거의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많았다. 연구대상자의 총 임상경력은 1∼5년이 제일 많았으며, 거주지는 서울이 많았고, 직업분류는 간호사 65.2%, 의사 34.8%였다. 의료인들의 신종 감염병에 대한 인식은 과거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의 약제 비축(예방접종 및 항 바이러스제) 확보의 충분성과 우리 정부의 신종 감염병 대응 능력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였고, 미래 신종 감염병 발생 가능성은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보다 질병의 심각도 및 지속기간 등이 더욱 길 것으로 예측하였다. Pandemic시 야기되는 윤리적 이슈에 대해 질병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가 보장 되어야 하고 또한 질병에 대해선 보호 받을 수 있는 근무조건이어야 하며 의료인 보호를 위한 윤리적 지침 개발에 대한 필요성에 적극 동의하였고,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의 권리 제한에는 동의하나 의료인으로써 정부의 강제적 의료 인력배정에 대해 반대의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근무 중 발생한 의료인의 전염성 질환 감염/ 장애 및 사망 시 정부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고, 기회할당에 대한 의사결정의 우선순위를 결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공정성’, ‘형평성’, ‘합법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추정환자의 활동제한이나 확진환자의 격리조치 등의 명령을 위반할 경우 대부분 과실치사라고 생각하는 것과 병원 지침에 따라 모든 일상생활 통제에 대해 그렇다는 높은 답변을 통해 Pandemic시 정부의 지침에 따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함을 알 수 있다. 연구 대상자들에게 Pandemic과 관련된 사례를 주고 이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 인식도 [사례 1]과 [사례 2]의 상황에서는 각각 상황에 따른 다양한 윤리적 문제 및 갈등수준 파악되었다. Pandemic시 연구 대상자들은 윤리적 사항에 대한 의료 윤리의 4원칙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에 대해 자율성의 원칙을 살펴보기 위한 항목으로 예방 접종 거부의사에 대한 존중에 대해 ‘아니오’가 높았으며, 감염병 의심 학생의 강제 하교 조치에 대한 찬성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자율성을 따르기보다 어떤 규정에 따라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대부분 선행의 원칙을 중요시 했으며, 악행금지의 원칙으로 정부지침 예방접종의 순위를 무시한 친한 친구의 예방접종 여부, Pandemic 확진된 환자의 비밀 유지 요청에 대한 수용 여부, 정의의 원칙으로 Pandemic 백신 수급이 부족한 상태에서 선착순 예방접종에 대한 동의 여부에 대해 ‘아니오’의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행의 원칙으로 퇴근시간에 찾아온 Pandemic 의증 환자에 대한 진료 및 상담 여부와, 병원비를 내지 못하고 있는 Pandemic 의증 환자에 대한 계속 진료 및 간호여부와, 높은 전염성을 가진 환자의 담당 업무 수용 여부에 대해 ‘예’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대상자들은 과거 신종 인플루엔자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에 대한 정책에 대해선 부정적 시각을 보였고, 미래 신종 감염병에 대한 예측 및 심각도나 기간에 대해서는 과거 신종 인플루엔자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우리사회가 미래 신종 감염병에 대한 예측과 함께 의료인들이 겪는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연구를 함께 병행하여 실행하여야 하고, 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를 분석할 수 있는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윤리 인식도에 대한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Background: Medical providers worldwide are gearing up for a likely pandemic of human influenza. Triggered by the experience responding to the influenza pandemic in 2003 and 2009, the lack of official ethical guidelines on balancing public needs and personal risk has been pointed out. Prompted by discussions at a hospital on proper response to a pandemic influenza outbreak, we examined employees' knowledge on the influenza pandemic and solicited their opinions on professional ethics. Their perception of ethical issues in pandemic response has not been understood yet in Korea.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ethical dilemmas encountered by hospital professionals and to identify constraints or enhancers that influenced ethical decision mak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t thre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from May to June 2011. The design of the study was descriptive cross-sectional,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54-items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one hundred twenty six medical doctors and two hundred thirty six registered nurses who were working for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8.0 Network Version(on release 18.0.1 of PASW Statistics)' program. Various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for analyzing the data to obtain a profile for participants and to identify ethical perception, issues and conflicts perceived by the professional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ethical choice when facing various ethical dilemmas. Results: Of the 362 participants, 63.0%(228) believed that an influenza pandemic in the next few years was ‘‘almost inevitable’’ or ‘‘very likely’’. 66.4% thought health sector will experience a shortage of drug in next pandemic, perhaps reflecting a perceived lack of preparedness responding a pandemic. However, 43.0%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need a guideline for preparedness for a pandemic. Most important ethical issues perceived were to ensure receiving information and protection and to need ethical guideline in a pandemic. Of ethical issues responding a pandemic by them, more than 60% answered psychological conflict, which was highest response rate. Of the four ethical principles, the most compelling principle of medical ethics was which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expected to serve the best interests of their patients. The level of education and number of sibling were influencing factors o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thical perception. Gender, level of education, religion, nurse, number of sibling, clinical department and clinical carrier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individual applying ethical principles toward a particular situation in a pandemic.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an interesting insight into healthcare professionals' attitudes to applying ethical principles toward a pandemic.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their attitude varied in a pandemic, which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efficient preparedness for a pandemic. The reasoning underlying healthcare professionals’ attitudes needs thus further investigation if the professionals are to play a role in responding a pandemic. It suggest that government and hospitals should consider to develop an official ethical guidelines on balancing public need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risk in a pandemic.-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신종 감염병 대유행 대응시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의료인들의 인식-
dc.title.alternativeHealthcare Professionals' Perception of Ethical Issues in Pandemic Respons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정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ung-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공정책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료행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병웡행정-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HEALTHCARE ADMINISTRATION(의료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