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지성 교수님-
dc.contributor.author전금-
dc.date.accessioned2020-03-18T16:44:18Z-
dc.date.available2020-03-18T16:44:18Z-
dc.date.issued2011-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852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7955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초 록 국제화 추세에 따라서 중국은 세계 각국과 교류의 장이 넓혀지고 있다. 중국의 브랜드 디자인도 세계 국제화체계에 따라 갈수록 더욱 개선되고 있다. 그리고 브랜드 디자인이 처음으로 다른 지역 브랜드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국제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브랜드의 국제화는 큰 흐름 속에서 자기브랜드 진정한 가치를 탐구하기 위해서 브랜드 문화를 탐구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브랜드 현지화 추세로 향하고 있다. 중국시장은 현재 매력적인 브랜드 판매시장으로 역사상 유례가 없는 도전과 기회의 땅으로 부상하고 있다. 물론 아직도 국제 브랜드나 국내 브랜드 디자인은 자체적으로 브랜드 국제화와 현지화의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 세계 명품브랜드가 중국시장에 진입했을 때 중국시장의 특성에 따라 브랜드 디자인을 현지화하는 과정은 중국브랜드 디자인 업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렇다면 우리는 발전된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개선된 소비자 행위와 심리, 생활방식을 어떻게 더 연구해야할까? 그것에 대한 답은 중국 소비자의 생활환경과 큰 관계가 있다. 우리는 소비자의 뿌리 깊게 박힌 심리적 욕구를 탐구해야 한다. 그래서 브랜드 디자인의 국제화와 현지화는 서로 상통한다고 본다. 그리고 우리는 국제화와 현지화를 중용지도(中庸之道)의 덕목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시장에 진출한 세계명품브랜드 중에 성공한 브랜드 10개를 사례로 비교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은 후에 결론이 나온 것이다. 브랜드 현지화와 국제화는 서로 상통하는 것이며 또한, 서로 변증 관계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복잡해진 중국시장을 제대로 분석하고, 소비자의 소비심리와 소비습관을 통찰할 수 있을까? 또, 디자인의 창의성을 어떻게 나타내고 좋은 디자인을 위해 어떤 연구를 진행해야 할까? 그에 대한 답은 디자인이고, 디자인의 핵심은 사람이다. 사람은 그 사회 환경 속에 살고 있다. 이 사회 환경은 문화와 지역, 기후와 습성, 종교와 교육, 정치와 가족 등 각 방면 요소를 다 포함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서 좋은 디자인 개발하려면 이 여러 가지 요소를 잘 분석하고 비교해야 한다. 따라서 비교분석한 후에는 소비자를 더욱 잘 통찰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또한 소비자의 잠재적인 특성을 찾아서 좋은 브랜드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다. 현지화는 우리에게 제품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길을 알려주는 것이다. 우리는 브랜드디자인의 현지화와 국제화 비교분석을 통해서 더욱 좋은 브랜드 포지션을 정하고 더욱 좋은 창의와 디자인과 브랜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디자인 가치를 중심으로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이를 통한 브랜드디자인의 현지화와 국제화 추세를 통찰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바탕으로 중용지도를 사고하여 브랜드디자인은 세계화추세와 현지화추세를 같이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키워드 : 브랜드 현지화의 필요성, 브랜드 디자인 추세, 브랜드 인지도,중용지도, 현지화, 세계화-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중국시장 진출울 위한 글로벌 브랜드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Global Brand Design for Market Entry in Chin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전금-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QIAN, JIN-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디자인대학원-
dc.sector.department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시각디자인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DESIGN[E](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OF DESIGN(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