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동섭-
dc.contributor.author최진호-
dc.date.accessioned2020-03-17T17:02:25Z-
dc.date.available2020-03-17T17:02:25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46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880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언론권력이 정치권력에 개입하고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으로 나뉘어 한국사회의 이념적 갈등을 확대재생산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위기, 소통의 위기를 보다 심화시킨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민주화 이후 과거 권위주의 정권이 행사했던 정치적 통제가 약화되면서 언론의 자율성과 영향력이 점차 강화되어 언론권력이 독립적 ‘권력기관’으로까지 부상하게 되었다는 논의가 지배적이다. 이에 대해 대부분의 기존연구들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언론과 정부의 관계를 거시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언론이 어떤 식의 ‘플레이’를 통해 정파성을 드러내고 스스로 권력화의 길을 가게 되었는지 살펴보기는 어렵다. 언론의 정치 권력화는 상시적이지만 특히 합법적 권력 투쟁을 통한 정권 변화 시점이 되는 대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선거 결과를 결정하는 데도 지대한 기여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주화 이후 치러진 대선보도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언론권력의 실천방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면서 언론의 정치 권력화와 변동과정을 추적하고, 그 함의를 논하고자 하였다. 대선기간에 나타나는 언론권력의 실천방식은 ‘특정 후보 밀어주기’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3대(1987년)부터 17대(2007년) 대선까지의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 등 4개 신문의 1면 기사와 사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양적, 질적 측면에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1면과 사설란에서 보도된 대선기사/사설의 양적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사설에서 후보자에 대한 비판적 태도는 대선별, 신문사별로 어떻게 비교되는가? 셋째, 언론권력의 실천방식(‘특정 후보 밀어주기’)은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가? 시기별, 신문사별로 어떻게 비교되며, 그 함의는 무엇인가? 양적 분석결과, 대선관련 1면 기사와 사설의 비율이 대선별, 신문사별로 차이가 있었다. 보도건수와 비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분석기간의 차이를 통제하여 추세를 살펴보면 13~17대까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연구문제 1>). 후보자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적 태도건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로 나타났다. 각 신문사의 비판적 태도는 시기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히, 16~17대 대선에서는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으로 나뉘면서 각각 ‘보수진영 후보’와 ‘진보진영 후보’ 밀어주기를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2>). 질적 분석은 쟁점이슈에 대한 태도와 후보에 대한 태도 및 서술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대선별 쟁점이슈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13대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김영삼 혹은 김대중, 경향신문은 노태우, 14대 조선일보는 김영삼, 동아일보와 한겨레는 김대중, 15대 조선일보는 이회창, 경향신문은 중립 혹은 김대중, 한겨레는 김대중, 16대 조선일보-동아일보는 이회창, 경향신문-한겨레는 노무현, 17대 조선일보-동아일보는 이명박, 경향신문-한겨레는 정동영 후보를 각각 옹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에 대한 태도 및 서술방식을 분석한 결과, 14대부터는 상대 후보에 대한 단순비판을, 15~16대부터는 양적균형, 질적불균형 비판을, 17대부터는 간접비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대에서 보수언론은 정부비판에 주력한 반면, 진보언론은 상대후보의 정책비판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비판방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누적적으로 나타났다(<연구문제 3>).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후보에 대한 비판이 민주화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에서 언론의 정치적 의사표명이 자유로워진 결과로 볼 수 있다. 동시에 언론권력이 언론자유, 표현의 자유와 함께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특정 후보 밀어주기’를 통해 살펴본 언론 권력화 ‘시점’이 언론사별로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언론사 소유구조의 차이가 언론 권력화 시점의 차이와 언론권력 변동과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언론 권력화의 변동과정은 각 정부의 언론정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섯째, 언론권력의 실천방식이 갈수록 다양하고 정교하며 교묘해졌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17대 대선보도를 시계열 분석함으로써 대선보도 변화과정을 살펴본 최초의 연구이다. 둘째, 언론의 정치 권력화와 변동과정을 고찰함에 있어서 실증분석과 텍스트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방법론상으로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셋째, 언론 권력화 시점을 일정 부분 밝히고 대선과 대선 사이에 발생한 역사적 사건들과 접합함으로써 언론권력과 정치권력의 긴장관계에 대한 설명력을 높였다. 또한 한국 사회의 시대적 상황, 언론사의 소유구조 변화 등을 함께 살펴 다각도로 접근하여 언론권력의 변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여 언론권력화 논의에 대한 기여를 했다는 점이다.| This study began as a critical awareness that media empowerment intensifies 'crisis of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 as media power intervenes with political power, and reproduces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force.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 approached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government on the basis of historical event, macroscopical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an understanding of how media actually shows their partisanship, for example, through what 'play' they do it, in order to follow the way of political empowerment.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media appears at ordinary times, but it turns up more noticeably during presidential election, which is the point of power transition through rightful power struggl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Korean media pursues the political empowerment and how its power changes. This study focuses on 'backing of specific candidate' because that is the practice of media power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For this, I performed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major newspapers' front-page articles and editorials―Chosun-Ilbo, Donga-Ilbo, Kyunghyang-Shinmun, Hankyoreh―during the 13-17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and utilized both quantitative content and textual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pecific candidate criticism articles' increased persistently after democratization, shows political opinion express of media has become free during the democracy consolidation process. Simultaneously it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media power, along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press.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ime point' of media empower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ewspaper. Third,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temporal difference in the media empowerment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media power were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media ownership. Fourth, the process of change in media empower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ss policy of government. The last of my findings was that the practice of media power is becoming diverse, elaborate, and skillful.; This study began as a critical awareness that media empowerment intensifies 'crisis of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 as media power intervenes with political power, and reproduces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force.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 approached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government on the basis of historical event, macroscopical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an understanding of how media actually shows their partisanship, for example, through what 'play' they do it, in order to follow the way of political empowerment.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media appears at ordinary times, but it turns up more noticeably during presidential election, which is the point of power transition through rightful power struggl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Korean media pursues the political empowerment and how its power changes. This study focuses on 'backing of specific candidate' because that is the practice of media power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For this, I performed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major newspapers' front-page articles and editorials―Chosun-Ilbo, Donga-Ilbo, Kyunghyang-Shinmun, Hankyoreh―during the 13-17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and utilized both quantitative content and textual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pecific candidate criticism articles' increased persistently after democratization, shows political opinion express of media has become free during the democracy consolidation process. Simultaneously it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media power, along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press.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ime point' of media empower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ewspaper. Third,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temporal difference in the media empowerment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media power were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media ownership. Fourth, the process of change in media empower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ss policy of government. The last of my findings was that the practice of media power is becoming diverse, elaborate, and skillful.-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민주화 이후 언론의 정치 권력화와 변동과정-
dc.title.alternativePolitical Empowerment of Media after Democratiz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Major Newspapers' Articles during the 13-17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진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Jin-H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신문방송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커뮤니케이션.저널리즘-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