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0 0

척수 손상 장애인의 장애 수용 과정의 경험

Title
척수 손상 장애인의 장애 수용 과정의 경험
Other Titles
The experience about disability acceptance process of a person with spinal cord injury
Author
박세화
Alternative Author(s)
Se Hwa Park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 요약 본 연구는 척수 손상 장애인의 장애 발생 후 나타나는 장애 수용 과정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고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장애 수용 과정 동안의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여 올바른 장애 수용 과정에 도움이 되도록 간호 중재 개발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수용 과정의 경험의미를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심층 서술연구로서 연구 참여자는 척수 손상이 발생한지 1년이 경과된 척수손상 장애인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5월에서 9월까지이었고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장애 수용 과정의 경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범주화에 있어서 객관적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01년에 완성한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의 <신체기능 및 구조>, <활동과 참여>, <개인 요인>, <환경 요인>의 4가지 범주를 활용하였다. <신체 기능 및 구조>범주는 ‘변화된 신체 기능으로 인한 어려움’이라는 1가지 주제모음으로 구성되었다. <활동과 참여>범주는 ‘이동의 도구 휠체어의 의미’, ‘현실적 재활에 대한 생각’, ‘대인관계의 어려움’, 가정과 일상생활 적응의 어려움‘이라는 4가지 주제모음으로 구성되었다. <개인 요인>범주는 ’삶에 대한 감사와 회복에 대한 기대‘, ’의존적 존재‘, ’장애에 대한 심리‘, ’장애에 대한 적응‘이라는 4개의 주제모음으로 구성되었다. <환경 요인>에 대한 범주는 ’명확한 예후 설명에 대한 요구‘, ’의료진에 대한 교육 요구‘, ’가족과의 관계‘, ’가족과 함께 장애 수용 과정 필요‘, ’동료상담을 통한 적응‘, ’주거 환경과 경제적 어려움‘의 6가지 주제모음으로 구성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4가지 범주 관점에서의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체 기능 및 구조>관점에서는 척수 손상 후 장애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신체적 기능 변화로 인한 욕창, 신경병증 통증, 대소변 기능 변화, 성기능 변화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활동과 참여>관점에서는 잔존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현실적인 재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휠체어를 이동의 도구로서 장애수용의 촉매제로 느끼나 장애 후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가정과 일상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개인 요인>관점에서는 장애를 수용하는 과정 동안에 부정, 후회, 억울하고 속상함, 절망감, 미래에 대한 불안, 분노와 짜증, 우울의 심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삶에 대한 의지, 신앙을 통한 극복, 긍정적 태도, 본인보다 더 심한 척수손상 장애인을 통한 위안 등을 매개체로 장애에 적응하였다. <환경 요인> 관점에서는 가족과 의료진과의 좋은 관계, 명확한 예후 설명, 재활 보조 도구에 대한 정보 제공, 대소변 및 성에 대한 교육, 주거 환경 개선에 대한 정보, 경제적 안정, 동료 상담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는 장애를 수용하는 데에 신체적 기능과 장애, 활동과 참여 문제 뿐 아니라 개인 생활의 총체적 배경을 대변하는 개인 및 환경요인인 배경요인이 중요함을 말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척수 손상 장애 후 장애 수용 과정 동안의 경험과 그들의 어려움과 요구를 분석하여 그들의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간호 중재 방법의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척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장애 수용 과정 동안 그들이 요구하는 성 교육, 대소변 관리교육과 재활보조도구와 욕창 예방방석, 사회적 네트워크등의 정보제공과 동료상담 및 환자에 맞는 예후 설명 지침 마련을 제언한다. 또한 장애 수용 과정 동안의 어려움과 요구에 따른 재활간호 영역의 교육을 확대하고 대상자의 심리적 지지를 통하여 올바른 장애 수용을 위한 지침마련을 제언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3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4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