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 0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친숙함과 우울, 인지력, 일상생활 동작능력간의 관계

Title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친숙함과 우울, 인지력, 일상생활 동작능력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among Familiarity, Depression, Cogni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Elders Residing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uthor
이예선
Alternative Author(s)
Lee, Ye Sun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초 록 우리나라는 빠르게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도시화와 사회문화의 변화 등으로 노인들의 요양 시설의 입소가 많아지고, 새롭고 낯선 환경에서 생활하게 된 노인들에게서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의 친숙함, 우울,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해 실시한 서술(descriptive)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0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였으며,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하는 80병상 이상의 노인 요양병원, 요양원 6곳에 거주하는 입소한 지 한 달 이상 되며, 65세 이상 된 노인 중 설문조사에 동의하며, MMSE-DS 13점 이상인 노인들 162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일반적 특성, 친숙함은 홍귀령이 개발한 친숙함 도구, 한국판 수정 바텔지수, 코넬대학에서 개발한 우울 측정 도구(CSDD), 한국판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 검사도구(MMSE-D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ASW) for Window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 ANOVA, Scheffe‘s test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친숙함은 평균은 37.37점으로 잘 앎(know -well)과, 숙련성(mastery), 지속성(continuity)이 중간보다 약간 높으며, 일반적 특성과의 비교에서는 교육을 받은 기간들과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237, p=.042). 우울의 평균은 7.42점으로 약간의 우울이 있고, 일반적 특성에서는 종교와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데(F=6.885, p=.002), 사후 검정을 통한 결과에서 기독교를 가진 대상자가 무교나 기타의 종교를 가진 대상자보다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력은 평균은 18.03점으로 확정적 치매를 보이고, 교육(F=8.713, p=.000), 현재 주진단(F=3.782, p=.025), 평생 직업 유, 무(F=-2.190, p=.03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정을 통해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교육기간 7년 이상) 무학의 대상자보다 인지력이 높은 것으로, 현재 주진단이 뇌졸중을 가진 대상자가 치매를 가진 대상자보다 인지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생 직업을 가진 대상자에게서 사후검정에는 집단간의 차이는 없었다. 일상생활수행동작능력은 평균 44.00점으로 낮은 편이며, 나이를 5년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541, p=.009). 사후검정을 통하여 70세에서 74세까지의 나이 군의 평균은 52.25점으로 전체 나이의 일상생활수행동작능력의 평균보다 높았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익숙함과 우울의 비교에서도 음의 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고(r=-.192, p=.016), 우울과 일상생활수행동작능력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r=.281, p=.000) 결론적으로 친숙함과 우울은 유의하며 일상생활수행동작능력과 우울에서도 유의하여 우울은 친숙함과 일상생활수행동작능력 모두에게서 유의한 관계가 있다라고 나타났다. 이의 결과에 따라,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친숙함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여 대상자 중심의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요 개념어: 친숙함, 우울, 인지력, 일상생활수행동작능력, 요양시설, 노인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3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1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