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0

스토리텔링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ㆍ학습 방안

Title
스토리텔링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ㆍ학습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Utilizing Storytelling Commercials
Author
강현주
Alternative Author(s)
Kang, Hyun Ju
Advisor(s)
이유미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광고가 가지는 스토리와 담화 상황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맞는 언어 사용을 익힐 수 있도록 교수․ 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스토리텔링과 광고를 활용한 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광고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광고 활용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선행 연구와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를 검토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광고가 연구되었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스토리텔링 광고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교육용 스토리텔링 광고를 선정하고 분류하였다. 먼저 교육용 스토리텔링 광고의 선정 기준을 정한 뒤 그 기준에 의해 선정된 광고들을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주제별로도 분류하여 제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쉽게 찾아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스토리텔링 광고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활용 방안과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리얼 스토리텔링 광고의 활용 방안으로 학습자들이 광고의 이야기 흐름을 따라 자신의 이야기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패러디 스토리텔링 광고의 활용은 전래 동화의 선행 학습을 전제로 하여 기존의 이야기를 확장하고, 하나 이상의 이야기를 섞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창작 스토리텔링 광고의 활용 방안으로는 학습자들이 광고의 다양한 담화 상황을 통해 대화를 만들거나 이야기를 각색하여 역할극을 하도록 함으로써 맥락에 맞는 언어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활용 방안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정리하고 의의를 확인하였으며 더 나은 광고 활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광고가 가지는 스토리에 중점을 두고 광고의 스토리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uggest an education tool that encourages learners to pick up the appropriate and situational expressions in a classroom setting while using stories and conversations taken from storytelling commercials; secondly, to explore diverse activities to attract learners’interest so that they can voluntarily and enthusiastically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 study is conducted as follows: Chapter one st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n goes on to describe the content and methodologies of the research. In doing so, the explor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different educational methods using storytelling commercials was inevitable. The author, in Chapter two, attemp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ommercials and advertisements while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leading academic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This process is to see how storytelling commercials have been used in Korean education and to measure its efficacy, which led the author to the study of the conception and types of storytelling commercials. In Chapter three, selected educational storytelling commercials are sorted out. To sort them out, the need for criteria for selection arises. Based upon the criteria, certain commercials were selected and then sorted according to type and topic so they can be used conveniently. In the following chapter, the author presents different applications and lesson samples according to each type and characteristic of commercials. As one of the real storytelling commercial applications, some samples of activities are presented, for example, learners follow the storyline of the commercial and then add his/her personal story to it. This is so called, parody storytelling commercial application. To use this application, teaching Korean traditional folk tales to the learners is a prerequisite. After learners are educated with Korean tales, they all are encouraged to expand or mix more than two stories and then create a new story. Also as a creative storytelling commercial application method, after watching the storytelling commercial in class, learners are doing a role play while creating a dialog within a story so they can practice appropriate expressions in context. Based on these application models, concrete sample lessons are shown in this chapter. In the final chapter, the summary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stated; moreover, recommendation to the future research is given. This study has its meaning because it offers specific educational plans utilizing storytelling commerc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uggest an education tool that encourages learners to pick up the appropriate and situational expressions in a classroom setting while using stories and conversations taken from storytelling commercial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69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3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