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성곤-
dc.contributor.author이민영-
dc.date.accessioned2020-03-10T01:41:07Z-
dc.date.available2020-03-10T01:41:07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68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052en_US
dc.description.abstract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기존의 국사가 한국사로 과목명이 변경됨으로써 2011년 새로운 교과서가 출판되어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 새로 출판된 한국사 교과서의 주요 특징은 역사학의 기본 토대라고 할 수 있는 다양한 사료들이 교과서 내에 실렸다는 점이다.‘역사적 사실이란 사료를 통하여 남아 있으며, 역사에서 사료 없는 사실이란 있을 수 없다’는 말처럼 사료는 역사를 이해하는 주요 수단이자 교과서 서술의 기본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역사적 사고력 함양이라는 기본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한 수업 방식을 사료학습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한국사 교과서 읽기자료 내 사료를 분석하고, 교과서 사료를 활용한 사료학습의 효과적인 모델 제시에 연구목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한국사 교과서는 기존 국사 교과서에 비해 다양한 사료를 싣기 위한 노력을 했으며, 자료의 활용과 탐구 그리고 학습자 활동을 강조해 다양한 사료를 실은 한국 근·현대사의 특징을 살렸다고 할 수 있다. 교과서 내 사료의 증가는 학습자로 하여금 스스로 역사적 사실 및 상황에 대한 탐구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교사에게는 교과서 사료를 활용함으로써 사료의 선정 및 준비과정에 따른 여러 여건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사료학습 실시의 제반 여건이 나아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사료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사료를 제시해 순차적으로 내용을 이해하고 심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교과서 사료를 활용한 수업의 전개는 기존 교과서 본문을 중점적으로 학습하는 평면적 수업과 비교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고의 폭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수업인 사료학습과 수행평가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학습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 지필평가에서 측정할 수 없었던 학습자의 다양한 활동을 학업 성취의 일환으로 반영할 수 있다. 즉, 기존 수행평가의 경우 여러 여건상의 문제로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본 수업과 수행평가를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교정하고 자극하는 효과를 통해 사료학습의 목표달성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 사료를 활용한 수업의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한 실험연구가 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하지만 이런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건 역사라는 학문이 사료 없이 성립할 수 없듯이 역사교육에서도 역사학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사료를 활용한 수업은 분명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역사가가 사료를 통해 역사를 탐구하는 과정처럼 학교 현장에서 사료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수업의 참여 및 역사적 사고력 함양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교과서 읽기자료를 통한 수업에서의 사료학습 활용 방안 연구-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민영-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사회과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역사교육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