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0

한인여성디아스포라의 이주경험과 트랜스로컬 정체성에 관한 연구

Title
한인여성디아스포라의 이주경험과 트랜스로컬 정체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Women Diasporas’ Migration Experiences and Translocal Identities : Focusing on Student Migrants from Former Soviet Territories in South Korea
Author
강희영
Alternative Author(s)
Kang, Hee Young
Advisor(s)
심영희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 문 요 지]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고려인’으로 불리는 구소련권 한인 여성 디아스포라들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강제이주’의 기억과 소련의 해체로 인한 ‘체제이주’의 경험을 가진 디아스포라의 기원지 체류경험을 통해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재형성되는지를 초국가적 이주의 관점에서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이주의 여성화’, ‘성별화된 이주’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유학이주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고자 하였다. 첫째, 구소련권 한인 여성 디아스포라들이 한국에 오기까지의 삶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과거 조상이 살았던 기원지 한국에서의 삶은 어떠하였는가? 셋째, 현재 한국에서의 삶은 그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넷째, 오늘날 국제적 자원을 이동시키고 기원지와 거주지 양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존재로서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새로운 정체성은 발현될 수 있는가? 연구자는 초국가적 이주자로서 디아스포라의 한국체류경험을 정체성의 분화 과정으로 보고 있다. 이에 거주지와 기원지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를 조정해 가는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설명하기 위해 양가성(ambivalence), 혼성성(hybridity)과 트랜스로컬리티(translocality)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국경이 성립하기 전 그 조상들이 떠나 간 한반도에 초국가적 이주의 흐름을 타고 돌아 온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은 한국과 거주해 온 곳 사이에서 밀리고-끌리는 양가성의 틀 안에서 국경을 넘나들며 섞이는 혼성의 과정을 거쳐 둘 사이를 연계하는 트랜스로컬 정체성으로 발현될 수 있다고 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한국으로 유학 온 14명의 구소련권 한인 여성 디아스포라들의 생애사를 인터뷰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소련권의 한인 디아스포라들은 한반도의 흔적을 지닌 고려 사람이자 러시아어로 동화된 소련사람의 정체성을 동시에 공유하고 있다. 이를 디아스포라 정체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소련 해체는 한인 디아스포라들이 혼성적 정체성을 모색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국경의 변화로 부여된 국적에 대한 귀속성이 낮은 이들은 거주지에 새롭게 들어 선 국가의 다수 민족 우대 정책에 반발하고, 새로운 국가어에 동화되기를 거부한다. 이 때 노년층의 시선은 과거를 향하고 젊은 디아스포라들의 시선은 국경 밖을 향한다. 국교정상화 등을 배경으로 구소련권에 유입되어 다양한 모습으로 다가온 한국은 같은 민족으로서 강한 친밀감을 강조했고, 한인 디아스포라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한국’을 수용한다. 어려운 현실의 탈출구로 ‘고향’ 한국을 설정하고, 한국에 급격하게 이끌리는 양가성이 발현되는 과정이다. 한국에 대한 친밀감과 한국에 가보겠다는 욕망이 극대화되고, 그 구체적인 실천으로 나타나는 것이 유학이다. 둘째, 거주국에서 한국인들과의 만남이 혈연적 연계에 의한 동질성이 강조되는 과정이었다면, 한국에서의 삶은 혈연적으로 연결되었으나 다른 문화권에서 살아온 ‘동포’ 외국인으로서의 위치를 깨닫는 시간이다. 한국사람 흉내내기, 위장하기 등 갈등과 타협하는 생존전략을 구사하나, 한국인으로 동화를 전제로 한 전략은 아니다. 오히려 태어나 자라 온 러시아어권과 조상의 ‘고향’ 한국 사이에서 양가성이 혼성성으로 나아가는 단계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한인 디아스포라들은 ‘고향’ 한국에서의 경험을 통해 재디아스포라화 된다. 한국과 한국인과의 관계에 대한 성찰적 사고를 하고, 자조의 공간으로 기능하는 러시아어권 커뮤니티와 가족, 친지들과의 의사소통과 상호 방문이 활발해 지는 특징도 나타난다. ‘동대문’은 한국과 러시아어권의 문화가 섞이는 트랜스로컬리티 구현의 장으로 기능한다. 유학이주자로서 여성 디아스포라들의 전공과 논문쓰기는 한국과 러시아어권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를 조정해 가는 상징적인 과정으로 의미가 있다. 한국, 러시아어권과 자신의 관계 안에서 채택된 논문 소재와 주제는 둘 사이에서 스스로의 삶을 이야기하고 역할을 찾아가는 정체성의 표현이다. 한국으로 이끌리던 양가성이 다시 태어나 자라온 곳으로 이끌리며 둘 사이에서 관계의 재편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넷째, 구소련권의 한인 디아스포라들이 조상의 고향 ‘한국’을 경험하고 스스로 태어나 자라온 곳을 되돌아보며 발현되는 새로운 정체성이 곧 트랜스로컬 정체성이다. 중요한 것은 디아스포라 주체가 경험한 로컬들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를 조율하는 과정이다. 트랜스로컬 정체성은 한국과 러시아어권 사이에서 어느 한쪽과도 전면적으로 단절되지 않지만, 그 중 어느 것도 절대적인 귀속의 대상은 아니라는 특성을 보인다. 초국가적 이주를 배경으로 한 정체성의 발현이 초국가적 정체성이 아닌 트랜스로컬 정체성인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과 러시아어권이라는 범주의 문제, 영토적 정체성보다는 언어정체성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소련권 한인 디아스포라들, 그리고 관련된 로컬들의 특정 부분이 연계되고 결합한다는 특성들은 초국가적 정체성보다는 트랜스로컬 정체성의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어 준다. 디아스포라들은 한국과 러시아어권 사이에서 양자택일이 아닌 취사선택의 과정을 거쳐 문화적 자산을 확장시켜가고 삶의 영역을 넓혀 간다. 어디로 갈 것인지, 어느 곳에 살 것인지의 문제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어디에 있든 자신과 연관된 관계들 속에서 스스로의 입지를 확장시켜 가는 능동적인 전략의 산물이 트랜스로컬 정체성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기존의 논의에서 디아스포라의 기원지 체류경험을 정체성 갈등의 해소와 치유 과정으로 해석하던 데에서 나아가 오늘날 초국가적 이주에서 디아스포라 기원지 체류경험이 정체성의 분화과정임을 제시하였다. 관련된 로컬들 사이에서 거리 좁히기와 거리두기를 반복하며 디아스포라 주체는 둘 사이에 낀 존재가 아닌 둘을 연계하는 적극적인 행위자로 재탄생된다. 둘째, 이주연구에서 간과되어온 유학을 통해 한인 여성 디아스포라의 귀환-순환이주를 경험적으로 제시하였다. 유학이주자들은 이주지에서 적극적인 동화나 포섭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한국인은 경쟁자이고, 유학이주자들의 집단적인 정체성을 외부적으로 지원하는 요소들을 찾아볼 수는 없다. 같은 언어권 사람들과의 느슨한 연대를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해 간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또한 이들이 같은 러시아어권에서 온 다른 여성이주자들의 존재로 인해 자신의 실체를 일상적으로 오인 받는 경험을 통해 한국 사회의 가부장성을 확인하였다. 선진국으로 정의되지 않는 곳에서 온 모든 여성을 결혼이주자나 특정 목적의 노동이주자로 해석하는 출신지와 인종에 기반한 가부장성이 한국의 다문화적인 가부장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다문화 사회를 주장하는 한국 사회에서 드러나고 있는 외국인의 위계문제를 지적하였다. 이것은 특히 혈연적 연계성으로 인해 ‘동포’의 지위를 가진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경험을 통해, 언어, 인종, 국적에 따른 한국사회의 다양한 편견을 읽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초국가적 이주를 배경으로 한 문화의 혼성이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였다.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한국은 같은 민족임을 강조하며 ‘동포’의 지위를 부여하였다. 같음이 전제가 되었던 이들이 한국사회에서는 역으로 다름으로 인해 갈등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위치를 조정해왔다. 다문화가 문화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는 상호주관성에 기반 하였다면 그 가치들 사이에서 상호작용의 지점을 찾아야 한다.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다문화는 여전히 서로에게 타자로 남는 이질적인 타자들의 문화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미 한국으로 온 이주자들이 자신의 문화와 한국 문화 사이에서 혼성성을 경험하고 그 사이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가고 있다. 한국 사람들 스스로도 자신의 위치를 새롭게 조정하는 작업을 시작할 때 다문화는 동화의 극점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혼성성과 트랜스로컬 정체성으로 나아가는 연결점이 될 것이다. **주요어 : 트랜스로컬리티, 트랜스로컬 정체성, 혼성성, 양가성, 상호주관성(간주관성), 다문화주의, 다문화적 가부장성, 유학이주자, 한인 디아스포라, 고려인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migration experiences and the translocal identities of Korean women diasporas from former Soviet territories, who are referred to as “Goryeoin” in South Korea. Specially through student migrants'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ir experiences of staying in South Korea and define the ways in which their identities were changed and transformed since they migrated in to South Korea.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did Korean women diasporas live in former Soviet territories? 2) How were their lives in South Korea? 3) How their identities were transformed in South Korea? 4) As an active subject between 'homeland country' Korea and former Soviet territories, their alternative identities can be expressed in translocal identities.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siders transnational migration experience as the changing processes of their former identities. Along with Rogers Brubaker's theory on diaspora, this study also used Homi Bhabha's concept of ambivalence, hybridity and Arjun Appadurai's concept of translocality in order to explain it. To achieve this, life story interviews with 14 ethnic Korean women student migrants from former Soviet territorie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men had both the identity of Koreans and the identity of residents of the former Soviet territories who are assimilated to Russian. Their diasporic identities are defined by heterogeneity. Dissolution of the USSR works as an opportunity to look for hybrid identity. They had the attitude of not being affected much by their given nationalities due to the large-scale changes of the national borders. Accordingly, they were opposed to the newly established states’ favorable treatment of the majority, and refused to assimilate to the languages of the states. While contacting with South Korea, they defined their experience of their homeland, South Korea, as a breakthrough of a stark reality. This was the stage at which the most dramatic ethnic identification was made. While asking them to serve as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Korea highlighted a strong sense of closeness by defining them as overseas Koreans, and the Korean women diasporas accepted Korea more actively. Their sense of closeness to Korea and desire to visit Korea were maximized, and they visited Korea for studies as a result. Second, in their countries, meetings with Koreans were the unique process in which the homogeneity created by blood ties was highlighted. In Korea, they were asked about their nationalities, and came to realize their status as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who had the same blood ties but different nationalities from native Koreans. They made use of mimicry, camouflage and telling a lie as strategies for surviving. These strategies are not for assimilating with Korean culture but for mockery as a passive resistance. These are the processes toward hybridity from ambivale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ir Russian society. Third, Korean women diasporas are in rediasporization processes. They came to adopt a reflective thinking approach to relations with Korea and Koreans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ir identity as Korean women diasporas. They actively communicated with Russian communities as self-supporting communities,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for emotional consol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s, which they were not able to seek in relations with native Koreans. 'Dongdaemun' served as a small Hometown in Seoul as a specific space created by those from Russia. In addition, as the overseas students at the university, their majors and preparations of theses had significant symbolic meanings as they adjusted their status in South Korea, their countries, and the Russian-speaking communities utilizing them. Forth, What mattered to them was to define their presence somewhere among South Korea and their countries, which were the former Soviet territories and Russia. During the processes in which their translocal identities were formed, none of three countries were excluded nor accepted. Their countries were considered not because they were their nationalities, but because they had close relationships represented by family relations in the countries. Korea is the home country of their ancestors, and the home country where their studies originated. Russian is the language with which they can express themselves best. The translocal identity is not fully isolated with any of Korea, their countries and the Russian language. They expand their assets and broaden the scope of their lives through the proper selection of the above three, rather than through a choice between the two. The questions of where to go and where to live are not critical. They pursue the active strategies to expand their presence in their relations, no matter where they ar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e study empirically presented the experiences of Korean women diasporas from the former Soviet territories staying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immigration for studie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existing immigration-related researches. Immigrants for studies are not actively assimilated or embraced during the course of studies. For them, native Koreans are competitors. Therefore, they are different both from the marriage immigrants who are supported and embraced by the government as spouses of native Koreans, and from the foreign workers whose identities have been verified by raising issues of labor rights and human rights mainly through labor organizations. There are no factors externally reinforcing their identity as a group. It was identified that they are verifying their identity through loose solidarity with those using the same language. Second, the study verified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sense that they are often misunderstood due to the status of other women immigran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race-based patriarchal judgment of Korea, in which all women from less developed countries are regarded as marriage immigrants or immigrants for a specific purpose, is emerging as the cultural symbol of the multicultural patriarchy of Korea.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indicated where hybridity came with the backgrounds of supranational immigrations. Korea gave Korean women diasporas from the former Soviet territories the status of overseas Koreans, emphasizing that they are in the same ethnic group as native Koreans. However in Korean society, in which the immigrants had the premise of homogeneity, they had conflicts caused by differences. During this process, they adjusted their presence. Whether cultural hybridity occurs at the center or in the surrounding is politically meaningful. If multiculturalism is based on intersubjectivity, which acknowledges diverse cultural values, we need to find the points of interaction among the values, because multiculturalism must be a culture of heterogeneous others, who remain heterogeneous from each other. The immigrants who have already moved to Korea are experiencing hybridity between their culture and Korea, and defining their status in-between. **Key words: translocal identity, translocality, hybridity, ambivalence intersubjectivity,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patriarchy, student migrant, Korean diaspora, Goryeoin;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migration experiences and the translocal identities of Korean women diasporas from former Soviet territories, who are referred to as “Goryeoin” in South Korea. Specially through student migrants'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ir experiences of staying in South Korea and define the ways in which their identities were changed and transformed since they migrated in to South Korea.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3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72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OCIOLOGY(사회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