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4 0

시공성 검토 효율화 향상을 위한 BIM기반 간섭체크업무의 협업 프로세스 구축

Title
시공성 검토 효율화 향상을 위한 BIM기반 간섭체크업무의 협업 프로세스 구축
Other Titles
A Collaborative Process of BIM-based Clash Detection for Constructability Review
Author
서정호
Alternative Author(s)
Seo, Jung Ho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introduction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has been expanded gradually, and th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BIM is now being considered in a number of construction projects. It is high time for a BIM-based clash detection process to be established, as it is a function that can be highly utilized at BIM-based construction sites. One of reasons for introducing BIM is to support clash detection tasks by means of a 3D product model.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ject process, clashes have been found during construction phase. However, it can cause cost overrun and time dela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correct clash detections at design phase, relevant business process and guide for this task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indrances in clash detection tasks at the design phase and analyze its current process using IDEF0 model. Despite the convenience of IDEF0 as a systems analysis tool, professional participants might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ir own tasks according to business process. For this reason, in this research, 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 (BPMN) is introduced to provide ideal process and required decision making governance. The provide BPMN model will provide insights for a BIM-based collaborative environment to enhance the constructability through the construction project.; 본 연구의 목적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반 간섭체크업무의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협업체계를 유도함으로써 BIM Data를 활용한 시공성검토 업무의 효율을 제고하는 것이다. 국내 건설산업에 BIM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BIM의 적용이 활성화되어 왔다. 이와 더불어 최근 공공공사의 발주조건에 BIM 적용이 포함되고,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들 또한 BIM 관련 지침을 입찰안내서에 명시함으로써 BIM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BIM 도입이 점차 설계 및 시공단계의 전반적인 도입으로 확대됨으로써 시공단계의 업무에 BIM의 활용 및 적용 방식을 검토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시공단계에서 BIM을 도입하는 이유는 기존의 업무에 BIM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 것에 있는데, 현재 국내 시공사들은 시공단계에서 이러한 BIM 활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업무의 프로세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 시공단계에서 BIM기반 간섭체크 기능은 디지털 목업(Mock-up) 차원에서 시공성 검토 및 의사결정수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BIM을 도입한 건설현장에서의 사용가능성이 높은 기능이므로 BIM기반의 간섭체크업무 또한 프로세스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시공단계에서 BIM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 대부분 간섭체크 프로세스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았으며, 독자적 프로세스를 정립하기에는 시공사 내부의 인력과 경험만으로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국내 BIM관련 가이드라인의 경우, 시공단계의 BIM프로세스에 관한 내용은 개략적인 업무활용분야와 개념을 나타내는 것에 그치고 있어, BIM기반의 간섭체크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거나 개선에 활용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BIM기반 파일럿 프로젝트들의 간섭체크 업무의 흐름을 IDEF0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도출하고, 협업을 지원하여 BIM활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또한 본 프로세스에 대한 BIM기반 프로젝트 참여자의 편리한 이해와 활용을 위해 BPMN(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였으며,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본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프로세스는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의 긴밀한 협업체계를 통해 효율적인 간섭체크업무를 유도함으로써 BIM data를 활용한 시공성 검토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The introduction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has been expanded gradually, and th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BIM is now being considered in a number of construction projects. It is high time for a BIM-based clash detection process to be established, as it is a function that can be highly utilized at BIM-based construction sites. One of reasons for introducing BIM is to support clash detection tasks by means of a 3D product model.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ject process, clashes have been found during construction phase. However, it can cause cost overrun and time dela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correct clash detections at design phase, relevant business process and guide for this task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indrances in clash detection tasks at the design phase and analyze its current process using IDEF0 model. Despite the convenience of IDEF0 as a systems analysis tool, professional participants might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ir own tasks according to business process. For this reason, in this research, Business Process Model and Notation (BPMN) is introduced to provide ideal process and required decision making governance. The provide BPMN model will provide insights for a BIM-based collaborative environment to enhance the constructability through the construction projec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23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3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