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8 0

동궐도(東闕圖)의 도상(圖像) 해석에 관한 연구

Title
동궐도(東闕圖)의 도상(圖像) 해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Iconological Analysis on Donggwoldo
Author
김완
Alternative Author(s)
Kim,Wan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특별한 검증 과정 없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동궐도」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였다. 「동궐도(東闕圖)」는 내용 구성상 동궐 전체 영역을 대상으로 한 ‘궁중건축기록화’이며, 예술적 감상보다 기록 및 관리의 목적이 우선시된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화론(畵論)의 관점에서 「동궐도」를 적절하게 평가하기는 어려우며, 「동궐도」와 관련된 배경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도상해석학’의 방법론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동궐도」에 관련된 배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본래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동궐도」의 제작에는 지시 및 감독의 주체와 실제 제작의 주체가 분화되어 있다. 따라서 연구의 방식도 두 주체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로 진행되었다. 전자는 정치, 사상적 배경을 기반으로 「동궐도」의 전체 구성 질서에 관여하였다고 보았으며, 후자는 건축 표현의 기법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동궐도」가 제작된 조선시대에 궁궐건축에 영향을 미친 사상으로는 유교와 숭산사상이 있다. 이를 통해 ‘문-정-당’의 건축 기본단위 및 삼조오문 제도를 기반으로 한 궁궐의 배치 및 공간구조가 결정되었으며, 주요 전각의 방향은 시각적 기준이 되는 산의 정상을 향하여 배치되었다. 또한 정치적인 배경에서 궁궐 조영이 왕권강화의 의미로 사용되어 왔으며, 「동궐도」가 제작된 효명세자 대리청정기 또한 이러한 움직임이 시도되었다. 따라서 「동궐도」의 제작도 이러한 목적에 의해 이루어 졌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조선시대 건축공간의 인식은 ‘칸(間)’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언어 및 시각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동궐도」는 ‘간가도(間架圖)’의 공간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평행사선도법(平行斜線圖法)’으로 배치 및 전각(殿閣)의 구성을 표현하였다. 또한 주요 전각의 경우는 의궤(儀軌)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표현되는 특징을 가진다. 「동궐도」의 실제 대상인 창덕궁(彰德宮)과 창경궁(昌慶宮)은 남산의 두 지점을 기준축으로 하는 각각의 격자체계에 의해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네 영역으로 둘러싸인 중앙에는 배치형태가 비교적 자유로운 중희당(重熙堂) 영역이 있다. 「동궐도」의 배치는 실제 공간 구성과 큰 차이는 없으나, 화면상의 단일한 격자체계 내에서 재구성되었다. 네 영역 자체의 배치 형태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중희당 및 자경전(慈慶殿) 영역은 규모의 증가와 함께 질서정연한 구조로 재배열되었다. 또한 중희당은 인정전(仁政殿), 명정전(明政殿)과 동일한 가로축선 상에서 동등한 위계로서, 궁궐 영역의 정 중앙에 위치한다. 이러한 변화는 정치적 배경과 연계하여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의 왕권 강화에 대한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대보단, 규장각의 위치 조정을 통한 시각적 연계 강화도 같은 맥락으로 판단하였다. 「동궐도」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행각(行閣)의 지붕이 공간 구획의 기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경우 두 가지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주요 전각의 경우 그 방식이 의궤 그림와 유사하였다. 두 이미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동궐도」 주요 전각의 표현에 의궤 그림이 이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주요 전각의 형태가 실제 건축물 비례 및 형태와 다른 원인을 의궤 그림 분석을 통해 찾을 수 있었다. 의궤 그림이 그러한 이유는 첫 번째로 한정된 화면에 최대한 많은 정보 수록을 목적으로 하여, 영역별로 다른 시점의 이미지를 한 화면에 합쳤기 때문이며, 두 번째로 지상 레벨에서 관찰한 내용을 입면 방식으로 표현한 결과 생기는 왜곡 때문이다. 부속채 및 행각의 경우는 실용적인 목적이 강하고, 기둥식 구조의 특성상 칸별 기능 전환이 쉬워서 시기에 따라 변화의 양상이 클 수 밖에 없다. 「동궐도」와 「동궐도형」의 동일위치 행각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다소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입면 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근거자료가 등장하지 않는 한 부속채의 형태적 정보를 있는 그대로 신뢰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동궐도」의 본래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정치․ 사상적 측면’과 ‘표현 방식에 대한 측면’ 두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며, 그 결과 동궐도는 ‘정치․ 사상적 의도 및 실용적 목적’을 위해 ‘표현 방식’이 사용되는 종속적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궁궐은 왕권의 존엄성을 상징하는 의례(儀禮)적인 장소이며, 「동궐도」의 제작 배경 및 내용의 구성 또한 같은 의미로 해석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21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1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