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8 0

The development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s on Korean society

Title
The development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s on Korean society
Other Titles
한국 사회에서의 소비주의 발달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Author
나타야
Alternative Author(s)
나타야 사타야퐁판
Advisor(s)
Kim Youen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ABSTRACT THE DEVELOPMENT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S ON KOREAN SOCIETY Natthaya Sattayaphongphan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Hanyang University Consumerism is one of very important phenomena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considered as an outcom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advancement of capitalist society has practically encouraged the emergence of consumerism in which influenced the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ough the phenomenon of consumerism in Korea has become more serious and has impacts on social changes, Koreans has tended to overlook this issue. While searching for previous studies about consumerism in South Korea,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earth of knowledge regarding the causes and impacts of consumerism in Korean society. Thus, the study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 on Korean society will help Koreans to understand more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ism and how to deal with the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and new cultural values. Consumerism is not confined for any specific group. It has become generalized, permeating and expanding throughout the entire society regardless of generation, gender and reg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matter of consumerism is set as a main topic related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current society. As Korean consumerism has become flourishing, the study examines the main reason why consumerism appears seriously in South Korea and how it affects the social changes. The study discovers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consumerism; which variable influences inclination towards serious consumerism that has an impact on Korea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o this end, the facts and data from a wide range of sources; research reports, economic statistics, accumulated cultural and social data, and studies of a number of contemporary Korean’s artifacts, are mainly utilized and finall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In general, motives for the development of consumerism are divided into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industrial capitalism,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n the one hand, and promoting factors including government policy, career oriented value, individualist culture and mass media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consumerism in South Korea is also no exception. However, it is found that there are a few causes intensify the ideology of consumerism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the career-oriented value and government policy. Meanwhile, the deepening impacts of consumerism have changed Korean society as the following accounts. First,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toward the social status, Koreans have inclined to identify their status as middle class through a pattern of consumption. In addition, the changes in perception as being middle clas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as a result of consumerism. This implies that people might consume more than they can really afford in order to make others perceive their status as middle class or higher than that. Second,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s on family and social relations, Koreans incline to delay the timing of marriage as a result of high education and more independent incomes. In addition, family value towards child-rearing has also changed from traditional oriented to materialist oriented value; love and warm relationship have gradually replaced by material things. Third, as Koreans perceived a strong consumerist oriented value, they tend to move forward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Comparing themselves with people around them or their reference groups always created a sense of lacking or having less than others. It is found that the desire to be superior or better than others stimulates the widespread of consumerism which causes the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mong Koreans. Apart from this, Koreans tend to pursue happiness through the acquisition of material things. Many Koreans have considered products to represent their image, taste or status, and have believed that the possession of material goods through a means of consumption can bring them satisfaction and happiness. Forth, Koreans tend to try to reveal their difference through possessing such products that show off as a sort of symbol, identity, and status and enhance self-concept. In this sense, Koreans incline to spend excessively as a result of attitudes toward consumerist-oriented value influenced by mass media, peer groups or individualistic value. As a consequence, consumption patterns and lifestyles ar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new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conclusion, the study of consumerism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nsumption pattern provides us a perspective and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ism in South Korea. Promoting factors, causing Korean consumerism become more serious than others, might contribute to further understanding about the progress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s on Korean society. |국문초록 한국 사회에서의 소비주의 발달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나타야 사타야퐁판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한국학과 소비주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매우 중요한 현상 중의 하나로서 경제 발전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자본주의 사회 발전은 사회 문화적 가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소비주의의 출현을 촉진하였다. 한국에서의 소비주의 현상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으며, 사회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한국인들은 이 문제를 간과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한국사회의 소비주의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도 한국인의 과시적 소비 성향이나 소비주의 성향 의식조사 등 파편적 연구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며, 소비주의의 사회• 문화적 측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한국 사회의 소비주의의 원인과 그것이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연구는 현재의 소비주의 실태를 더 잘 이해하고, 그에 따른 사회 구조의 변화 및 새로운 문화적 가치의 창출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를 모색함에 있어 중요하다고 하겠다. 소비주의는 특정 그룹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소비주의는 세대, 성별 및 지역에 관계없이 사회 전반에 걸쳐 침투되고 확대되어, 이제는 일반적 현상이 되었다. 이러한 소비주의는 현 사회의 소비 패턴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나타나는데, 그러한 소비 패턴의 형성은 사회의 여러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더 나아가 소비주의적 소비 패턴은 다시 사회 구조와 문화적 가치의 변화 및 창출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소비주의가 한국의 소비주의가 번성함을 넘어 심각할 정도로 나타나게 된 주요 이유와 그것이 사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변수들과 소비주의 간의 상관 관계를 검토함과 동시에, 어떤 변수들이 특히 한국 사회의 사회• 문화적 변화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소비주의를 심각하게 조장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다양한 1차 자료와 연구 보고서, 경제 통계, 문화 및 사회 관련 조사 및 통계, 그리고 현대 한국 학자들의 연구 결과들을 주로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소비주의를 확산시키는 요인에는 자본주의, 근대화, 세계화라는 환경 요인과 정부정책, 출세지향적 가치, 개인주의 문화, 매스 미디어라는 촉진 요인이 있다. 한국의 소비주의의 발전 역시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특히 출세지향주의적 가치와 정부정책이 한국인의 소비주의 성향을 격화시켰다고 분석된다. 한편 소비주의의 심화로 인해 다음과 같이 한국사회는 변화하였다. 첫째,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한국인들은 소비 패턴을 통해 자신을 중산층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더 나아가 소비주의 심화는 자신을 중산층으로 생각하려는 인식을 크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사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중산층이나 상류층으로 보여지기 위해, 실제 능력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할 수 있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둘째, 소비주의는 가족과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국인들은 소비주의를 위해 더 높은 교육과 더 많은 독자적 소득을 추구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그들의 결혼을 늦추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자녀 부양에 대한 가족의 가치 또한 전통 중심에서 물질 중심 가치로 변화해 왔다. 사랑을 바탕으로 형성된 따뜻한 관계는 점점 물질적인 관계로 대체되고 있다. 매스 미디어도 어린이들의 소비주의 방향으로의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한국인들은 강한 소비 지상주의적 가치관을 가지게 됨에 따라, 그들의 상대적 박탈감도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들은 자신의 주변 사람들 또는 준거집단과 비교함으로써, 항상 다른 사람보다 부족하고 덜 가지고 있다는 느낌을 갖는다.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거나 더 나은 상태가 되고자 하는 욕구는 소비주의를 더욱 더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이것은 오히려 한국인들에게 더 큰 상대적 박탈감을 야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한편, 한국인들은 물질적 취득을 추구함으로써, 행복을 얻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한국인들은 자신이 가진 물건들이 자신의 이미지나 취향 및 지위를 상징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소비의 수단으로 물건을 소유하는 것이 만족과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믿는다. 넷째, 한국인들은 일종의 상징, 신분, 지위를 과시하고 자존감을 드높일 수 있는 그러한 물건들을 소유함으로써 남들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고자 노력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인은 매스 미디어, 동료 집단, 개인주의적 가치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차별적이고 과시적인 소비주의적 태도의 결과로서 과도하게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결론적으로, 소비패턴 변화의 고찰을 통한 소비주의 연구는 한국 소비주의의 현 상태에 대한 의미 있는 시각을 제공해줄 뿐 아니라, 이해를 크게 증진시켜준다고 하겠다. 한국 소비주의가 다른 나라보다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된 요인들로서 이 논문에서 다룬 것들은 한국 소비주의의 발전과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ove and warm relationship have gradually replaced by material things. Third, as Koreans perceived a strong consumerist oriented value, they tend to move forward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Comparing themselves with people around them or their reference groups always created a sense of lacking or having less than others. It is found that the desire to be superior or better than others stimulates the widespread of consumerism which causes the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mong Koreans. Apart from this, Koreans tend to pursue happiness through the acquisition of material things. Many Koreans have considered products to represent their image, taste or status, and have believed that the possession of material goods through a means of consumption can bring them satisfaction and happiness. Forth, Koreans tend to try to reveal their difference through possessing such products that show off as a sort of symbol, identity, and status and enhance self-concept. In this sense, Koreans incline to spend excessively as a result of attitudes toward consumerist-oriented value influenced by mass media, peer groups or individualistic value. As a consequence, consumption patterns and lifestyles ar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new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conclusion, the study of consumerism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nsumption pattern provides us a perspective and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ism in South Korea. Promoting factors, causing Korean consumerism become more serious than others, might contribute to further understanding about the progress of consumerism and its impacts on Korean socie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1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9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KOREAN STUDIES(한국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