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5 0

모바일기기 앱-아이콘 조형의 커뮤니케이션과 색채와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모바일기기 앱-아이콘 조형의 커뮤니케이션과 색채와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Correlation research with Mobile Device App-Icon shape's communication and color
Author
김정희
Alternative Author(s)
Kim, Jung Hee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대사회의 모바일 기기는 도시에서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수적인 정보기기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21세기를 대표하는 스마트 혁명은 전자, 정보, 통신의 융합과 사회의 인프라와의 결합에서 막대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그 사례는 휴대폰을 지칭하는 스마트폰에서 대표적으로 찾을 수 있다. 디자인 분야 역시 정보사회와 스마트 시대에 발맞추어 디자인의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 이하 앱)이라고 지칭되는 다양하고 편리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앱의 수는 수십 만 가지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디자인 분야에서 스마트폰을 위한 앱-아이콘 디자인을 그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주제인 ‘모바일기기 앱-아이콘 조형의 커뮤니케이션과 색채와의 상관관계 연구’를 위하여 연구의 구성을 서론과 본론을 통한 기초연구, 설문과 실증을 통한 연구 설계, 분석, 검증의 과정을 거쳐서 앱-아이콘의 조형과 색채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중요성 등을 다루었으며 연구의 구성과 선행연구, 연구의 제한점 등을 서술하였다. 본론에서는 모바일기기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발전방향을 조사하고, 앱-아이콘의 조형적 특징과 요소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앱-아이콘 조형의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석을 위하여 퍼스의 해석소 매트릭스에 대입하여 분석하고, 색채와 조형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에 대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성된 연구 설계는 앱-아이콘의 분석을 위하여 저작권이 보호되고 있는 애플 아이 튠즈(Apple i-Tunes)의 다운로드 상위 200개 앱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기초 연구조사에 의한 앱-아이콘의 기호학적 분류와 카테고리별 분류를 통하여, 색채심리와의 선호도 조사와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223명의 설문지 배포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앱 분류에 따른 색채심리 선호도의 기술 통계분석결과에서는, 게임에는 흥분과 진정감, 교육에는 경연감, 생산성에는 경연감, 사진 및 비디오에서와 건강 및 피트니스에는 온도감이 가장 중요한 색채 심리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앱-아이콘의 기호학적 유형에 따른 색채심리 선호도의 기술 통계분석결과는, 도상적 아이콘은 온도감, 지표적 아이콘은 경연감, 상징적 아이콘은 온도감이 중요한 색채 심리적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색채심리의 선호도와 아이콘의 조형요소(도상, 지표, 상징)와 아이콘의 카테고리별 분류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앞서 언급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앱-아이콘의 유형에 따른 색채심리 분석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앱-아이콘의 조형과 색채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구축하였으며, 앱 아이콘의 조형을 위한 구성도를 최종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효율적인 앱-아이콘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의 기호학 이론을 근거로 하여 색채심리를 중심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카테고리별 성격과 기호학적 조형요소를 개발하는 것이 이상적 디자인 개발의 지표가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기를 대표하고 있는 스마트 폰의 앱-아이콘에 대하여 색채심리와 앱-아이콘 조형의 관계를 학술적으로 규명하여 그 데이터를 제시함으로써 앱-아이콘 디자인의 지침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는 계기를 열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의 보완을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시 앱-아이콘과 카테고리 분류를 보다 광범위하게 설정 확대 연구할 수 있을 것이며, 앱-아이콘 디자인에서도 새로운 영역과 문화에 대한 고찰을 통한 문화와 역사를 넘나들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진화된 형태의 기호와 색채심리와의 관계규명 등의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588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1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