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 0

한국과 중국의 아파트 공간구성방식 비교

Title
한국과 중국의 아파트 공간구성방식 비교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partment Unit Plans in Korea and China : Focus on the SEOUL and BEIJING
Author
단경위
Alternative Author(s)
Duan Jing Wei
Advisor(s)
신 경 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과 중국은 예로부터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밀접한 우호관계를 맺으며 활발한 교류를 해왔다. 지리적으로 동아시아권에 속한 양국은 한자문화권과 유교문화권이라는 공통점을 공유하는 동시에 수천 년 동안 상호협력과 경쟁을 통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해왔다. 이후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과 중국은 동서냉전과 이념대립 속에서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한국은 자본주의, 중국은 사회주의라는 서로 다른 체제 내에서 발전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양국의 관계는 단절되었고, 1992년 8월에 한·중 수교를 체결하면서 양국은 다시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하게 되었다. 한국과 중국은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독자적인 주거환경을 형성하게 되었다. ‘주거’는 인간의 생활을 담는 그릇으로, ‘주거’가 물리적으로 가시화 된 형태인 ‘주택’에는 문화, 인간의 생활양식, 행태, 가치관 등이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반영되어 한국에서는 한옥, 중국에서는 사합원, 토루 등 서로 다른 형태의 전통주택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급속한 인구증가에 따라 고층·고밀화가 가능한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거유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 대표적인 주거유형으로 자리 잡은 아파트 평면의 공간 구성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의 중심지로 아파트문화를 선도하는 수도인 서울과 북경의 아파트들을 대상으로 아파트 내부 공간의 구성방식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각국의 문화, 자연환경, 생활습관등에 영향을 받은 양국의 차별화된 특징을 규명하는 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의 고찰을 틍 해 아파트의 평면구성 요소인 현관, 거실, 주방, 식당, 침실, 욕실 등에 대하여 평면공간구성 방식과 각실 면적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한국과 중국은 면적의 단위(한국의 1평=3.3㎡)가 달라서 모두 제곱미터로 통일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사례대상의 시간적 범위는 2000~2001년 과 2010~2011년에 건설된 아파트를 선정하며, 공간적 범위는 한국과 중국의 수도인 서울과 북경 지역을 선정하여 그 중에서도 생활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인 서울의 서초구 (瑞草區), 강남구(江南區), 송파구(松坡區)와 북경의 동청구(東城區), 시청구(西城區), 차오양(朝阳 區)으로 한정하였다. 분석에 서용한 아파트 평면은 2000년대의 아파트 평면 120개(한국 60개, 중국 60개)와 2010년대의 아파트 평면 120개(한국 60개, 중국 60개)로 합계 240개의 아파트의 평면이 이용되었다.|From ancient times up to nowadays, there have been very close geographic and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Since the two countries are in East Asia, they have been both highly influenced by Chinese character and Confucianism while keeping its own cultural heritage. In the era of modernization, Korea chose capitalism while China became socialism. Due to this politic barrier, two countries was once disconnected; From ancient times up to nowadays, there have been very close geographic and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Since the two countries are in East Asia, they have been both highly influenced by Chinese character and Confucianism while keeping its own cultural heritage. In the era of modernization, Korea chose capitalism while China became socialism. Due to this politic barrier, two countries was once disconnected; however, in August 1992, two countries recovered diplomatic relationships and normalized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communications. Korea and China are influenced by different historical progress, then formed its own unique living environments. “House”is the physical form of“Home” representing the way people live, behave and their value. Korean “Hanok” and Chinese “quadrangle dwellings present two countries’ traditional house feature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s the population of people increase rapidly, apartments become the typical home of Chinese and Korean. Analyzing by comparing two dimensional compositions of apartments’ hallway, living room, kitchen, dining room, bedroom and bathroom and since the unit of area are different in Koran and China, in this paper square meter will be used as the standard. The researched cases are 240 apartments which constructed from year 2000 to year2010 in the 3 areas with the highest living standards. (Seocho-Gu, Gangnam-Gu and Songpa-Gu in Korea, Dongcheng District, Xicheng District and Chaoyang District in Beijing) This paper is going to compare and contrast the interior of apartments in Beijing and Seoul in order to analyze closely the life styles of people in two countries. For example, in the hallway, Korean are used to be seated while Chinese are used to stand and this has significant influenced the design of hallway and shoe storage cabinets. Also, since the way of eating and cooking are different, connecting methods of LDK have huge difference. In general, Korean dining room and kitchen are connected but Chinese dining room and kitchen are separated. However,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in small-size-apartments, dining room and kitchen are connected while in larger-size-apartments, dining room and kitchen are separat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58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7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