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3 0

대학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개발욕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개발욕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Basic Job Skills and Desire for Self-Development of College Administration Work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Author
박경란
Alternative Author(s)
Park, Kyungran
Advisor(s)
정기수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자기개발욕구에 의해 조절되는 효과가 있는지의 관계를 밝혀, 대학행정직원의 직무몰입을 극대화시킴으로서 대학행정조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고,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만족도 그리고 자기개발욕구에 관한 질문지 기법의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대학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하여 40문항, 자기개발욕구와 관련하여 4문항,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4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기술통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업기초능력의 20개의 하위요인을 요인별로 관리능력, 성과능력, 과업능력, 대외능력의 4개 영역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범주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무만족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영향을 검토했을 때, 관리능력이 p<.001(t=3.37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과능력, 과업능력, 대외능력은 유의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요인별 영향을 검토했을 때, 관리능력은 사내회의운영, 부서활성화, 면담/고충상담/지도, 인사관리 및 갈등파악/해소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리능력의 구성능력에 대한 영향력을 검토했을 때, 부서활성화 능력이 p<.05(t=2.150)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요인들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만족에 있어서 자기개발욕구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모형이 직무만족에 대한 설명력(R2)이 .041로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개별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은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약 12%이상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개발욕구의 직무만족에 대한 설명력이 매우 유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무만족에 대한 자기개발욕구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관리능력과 자기개발욕구가 유의한 주 효과(main effect)를 보이고 있고, 관리능력과 자기개발욕구, 성과능력과 자기개발욕구, 및 과업능력과 자기개발욕구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자기개발욕구는 직업기초능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직무몰입에 조절변수로서 유의하게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개발욕구는 주 효과로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지만, 관리능력과 과업능력에서는 부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자기개발욕구가 높아질 경우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완충적 효과가 나타나고, 성과능력과의 상호작용은 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직무만족을 더욱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행정직원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정년이 보장되어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어 직무만족이 높은 집단으로 알려져 있지만, 팀 단위의 조직개편으로 인한 보직의 축소로 인한 장기근속자의 조기퇴직 양산 및 성과위주의 부서평가를 중심으로 한 예산 편성 및 인사제도의 시행은 직무만족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직무적성 군을 분류하고 성과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력 개발 track을 형성함으로써, 행정직원 스스로가 자기개발욕구를 통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하여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4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2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