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 0

공동주택의 인공지반 녹지공간 배수설계에 관한 연구

Title
공동주택의 인공지반 녹지공간 배수설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reen Space Drainage Design for Artificial Ground of Apartment Housing- Case on Kim-po Newtown Keangnam Honorsvill Apartment -
Author
정문환
Alternative Author(s)
Jung, Mun Hwan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급격한 도시화·산업화는 도시개발도 함께 진행 되었다. 한정된 부지에 서로 경쟁적인 관계에 놓인 주차공간과 녹지공간에 대한 수요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주차장의 지하화는 불가피하였으며, 이로 인해 녹지 및 옥외시설공간이 인공지반에 조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인공지반의 식재기반조성에 있어서 선행된 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인공지반에서의 식재기반이 자연지반과 유사한 환경 조성에 대한 설계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과 이론고찰을 통해 인공지반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옥상녹화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고, 우수저류조의 우수 집수 또한 지붕층 우수의 집수만으로 국한시키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 인공지반의 식재기반 배수설계는 유공관을 이용한 맹암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유공관 말구 연결이 집수정이나 우수관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자갈침투정이라는 자갈구덩이에 집수해서 자연배수 시키는 것으로 배수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이는 우수관로와 집수정 역시 인공지반 위에서 설계되기 때문으로 지하구조물내로의 수직드레인은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운동장이나 골프장 그린 조성에 사용되는 방법을 부분 적용한 미완의 설계가 일반화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반 녹지공간에 자연지반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토양성분별 유출계수를 산정하여 유역면적에 따른 인공지반 녹지공간에서의 수직드레인 설치 수량과 위치, 수직드레인 관경, 강제배수펌프의 용량 등 산정 방법을 제시하여 앞으로 조성되는 인공지반 식재기반 조성에 효율적이고 공학적인 설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인공지반 녹지공간을 통해 유출되는 우수는 우수저류조 정화장치의 주요처리 1차 방식인 침전/침사방식으로 이는 인공지반 심토층의 배출된 우수와 유사한 방식이다. 현재 수직드레인이 설치된 곳에서의 유출수는 전부 오수로 처리되어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인공지반 심토층 배수와 대규모 녹지를 통과한 인공지반 심토수를 건물 내 구조물이 아닌 외부에 설치하여 인공지반 심토층 배수와 연결하는 방법과 이 순환되는 물이 어떻게, 몇 번을 거쳐 재사용 될 수 있는지에 연구와 이에 따른 경제적, 공학적, 생물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43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1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