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준-
dc.contributor.author장하라-
dc.date.accessioned2020-03-09T02:38:06Z-
dc.date.available2020-03-09T02:38:06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05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995en_US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한옥의 역사적, 문화적, 친환경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아파트로 대변되는 획일화된 주거양식의 대안으로 한옥에 대한 거주 수요 및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08년 국토해양부에서 전국 만 20~69세 남녀 107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한옥의 일반인 수요조사에 따르면 한옥의 거주수요는 41.9%로써 아파트 29.3%, 일반단독주택 25.0%로 거주 형태로 비교 했을 때 상대적으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옥의 수요 및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정부 및 민간에서 한옥의 현대화 및 산업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2010년 6월에는 국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KICTEP)에서 한옥기술개발 연구단이 발족 되는 등 정부와 민간에서 한옥의 현대화 및 산업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통 한옥은 시공법이나, 공정관리와 같은 프로젝트 전반에 관한 사항들이 대목수와 같은 일부 전문 인력들의 경험 및 직관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체계화 및 산업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한옥 품질의 비일관성, 원가의 상승, 기술보급화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발생 시키며 한옥의 산업화를 방해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옥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체계적·통합적 관리와 이를 통한 각 프로젝트 참여자 간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한옥의 현대화 및 산업화의 방안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BIM으로 설계한 한옥 건축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옥은 개별부재를 조립해서 만드는 결구 식 목조건축물이라는 특성과 유지관리가 중요한 측면 때문에 생애주기를 다루는 BIM의 적용 및 활용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활용성에 비해 한옥 실무에서의 BIM 도입정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옥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BIM 도입 저해요인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기법을 활용한 중요도 분석을 통해서 고찰하고 최종적으로 한옥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 활용도를 상승시킬 기반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옥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BIM 도입 저해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Affecting Factors about lowly Using BIM in Construction Project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장하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ang, Ha R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환경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