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9 0

12주간의 유형별 운동수행이 일반여성노인의 Alzheimer’s disease형 치매관련인자 및 노화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Title
12주간의 유형별 운동수행이 일반여성노인의 Alzheimer’s disease형 치매관련인자 및 노화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xercise Type Performance for 12 weeks in General Elderly Women on The Alzheimer’s disease Dementia Factor and Aging Hormone
Author
한상인
Advisor(s)
김찬회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만 65세-75세의 일반여성노인을 통제집단 8명, 수중운동집단 8명, 협응력운동집단 8명, 유산소운동집단 8명으로 무선으로 배정하여, 주 3회, 1회 60-70분의 방법으로 각각의 운동을 12주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검사, 우울증검사, 혈액검사를 운동전, 운동 8주후, 운동 12주후에 각각 실시하여, AD형 치매관련인자(Aβ, BDNF, NO, HCy), 노화호르몬(E2, DHEAs, GH, IGF-Ⅰ), 인지기능(MMSE-K point), 우울증 관련인자(Serotonin, GDS-K point)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 Ver.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별효과검증을 실시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Tukey를 이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AD형 치매관련인자 Aβ(F=3.315, p<.01), BDNF(F=3.397, p<.01), HCy(F=2.941, p<.05)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나, NO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Aβ의 집단 내 차이에 있어 협응력운동집단에서 운동전(48.32±26.44pg/ml)에 비하여 운동 12주후(19.18±6.44pg/ml)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F=5.316, p<.05). BDNF의 집단 내 차이에 있어 수중운동집단에서 운동전(16066.47±6431.30 pg/ml)에 비하여 운동 8주후(22830.25±4348.93pg/ml), 운동 12주후(24013.29±7800. 04pg/ml)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F=5.296, P<.05), 협응력운동집단에서 운동전(16308.11±3816.40pg/ml)에 비하여 운동 8주후(24764.86±4354.65 pg/ml), 운동 12주후(26242.21±5433.43pg/ml)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0.936, p<.01). 유산소운동집단에서 운동전(17346.44±5008.58pg/ml)에 비하여 운동 12주후(23980.19± 3354.54pg/ml)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5.834, p<.05). HCy의 집단 내 차이에 유산소운동집단에서 운동전(11.56±1.91umol/L), 운동 8주후(10.73±1.85umol/L)에 비하여 운동 12주후(8.10±1.58umol/L)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F=8.213, p<.01). 집단 간 차이에 있어 운동 8주후의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후검증결과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운동 12주후의 시기에서 통제집단(9.13±0.92umol/L), 수중운동집단(11.18±2.58umol/L), 협응력운동집단(10.01± 1.16umol/L)에 비하여 유산소운동집단(8.10±1.58umol/L)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F=4.820, p<.01). 2. 노화호르몬 E2(F=4.700, p<.01)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나, DHEAs, GH, IGF-Ⅰ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E2의 집단 내 차이에 있어 협응력운동집단에서 운동전(5.33±1.59pg/ml)에 비하여 운동 12주후(10.27±5.48pg/ml)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F=4.270, p<.05), 유산소운동집단에서 운동전(5.23±1.25pg/ml)에 비하여 운동 8주후(9.61± 4.13pg/ml)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운동 12주후(6.43±1.89pg/ml)에 다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F=5.523, p<.05). 3. 인지기능 인지기능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제집단을 제외한 모든 운동집단(수중운동집단, 협응력운동집단, 유산소운동집단)에서 인지기능 점수가 수치상으로 증가하여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4. 우울증관련인자 GDS-K와 Serotonin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GDS-K 점수가 통제집단을 제외한 모든 운동집단(수중운동집단, 협응력운동집단, 유산소운동집단)에서 수치상으로 감소하여 긍정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Serotonin농도가 통제집단을 제외한 모든 운동집단(수중운동집단, 협응력운동집단, 유산소운동집단)에서 수치상으로 증가하여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수중운동은 AD형 치매관련인자인 BDNF의 발현에 있어 효과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협응력운동은 치매관련인자인 Aβ 및 BDNF, 노화호르몬인 E2의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운동이라 사료된다. 이와 같은 운동은 체력이 약한 여성노인에게 있어 적절한 운동이라고 판단되며, 음악을 동원하여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점에서 운동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운동이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유산소운동은 치매관련인자인 BDNF 및 HCy, 노화호르몬인 E2의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되어진 모든 운동의 형태는 AD형 치매관련인자, 노화호르몬, 인지기능 및 우울증관련인자의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에 운동을 통하여 AD형 치매를 조기에 예방하고 개선을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AD형 치매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은 노인들에게 있어 더욱 많은 운동의 형태가 제시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뤄져야 하며, 그 운동의 방법 및 강도, 빈도, 횟수 등이 적절하게 개입이 되어 효과적인 운동이 적극 활용되어져야 된다고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79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7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