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8 0

일개 공공병원 간호원가 산정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간호활동 분석

Title
일개 공공병원 간호원가 산정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간호활동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to Develop a Database for Determining Nursing Cost of a Public Hospital in Korea
Author
김지인
Alternative Author(s)
Ji In Kim
Advisor(s)
김정아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병원에서 제공되는 환자관리서비스에 대한 간호활동원가산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첫 단계로 서울시 소재 650병상 규모의 일개 공공병원의 간호활동을 분석한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2012년 03월부터 2012년 09월말까지 일개 공공병원의 병동간호업무단위 중 내·외과계 중환자실, 내·외과계 일반병동, 호스피스병동, 정신건강의학병동, 분만실, 신생아실을 중심으로, Order Communication System(OCS)과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시스템에 입력되는 처방항목, 기록항목, 업무수행프로그램 항목과 OCS와 EMR 시스템 이외의 일 또는 월별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간호업무 지원을 위한 간호활동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총 4단계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는 간호활동 항목 추출과 추출된 간호활동 항목에 대한 간호활동 영역 분류를 시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추출된 간호활동 항목을 부가가치간호활동 및 비부가가치 간호활동으로 분류하였다. 3단계에서는 1단계와 2단계에서 규명한 간호활동항목의 필드검증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1단계와 2단계에서 작성된 간호활동 항목에 통합하였다. 4단계에서는 3단계에 최종 규명된 간호활동 항목 각각을 대상으로 간호활동별 간호수행 표준시간, 간호수행비율, 건수산정기준을 추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단계에서 총 1,330개 간호활동 항목이 추출되었고, 간호활동 영역으로는 처방입력영역, 기록작성영역, 업무수행프로그램 사용영역의 3개 간호활동 영역이 규명되었다. 2) 2단계에서, 1단계에서 추출된 1,330개 간호활동 항목을 부가가치 간호활동과 비 부가가치 간호활동으로 분류한 결과 부가가치 간호활동은 34.1%, 비부가가치 간호활동은 65.9%로 규명되었다. 3) 3단계에서, 1단계와 2단계에서 규명된 총 1,330개 간호활동 항목에 대해 실제 병동간호업무단위에서 필드검증을 수행한 결과 기록작성영역으로 분류되는 새로운 간호활동 항목이 15개 추가로 발견되었고, 이전에 3개로 규명된 간호활동 영역 중 어디에도 분류되기 어려운 별도의 22개 간호활동 항목이 추가로 추출되어 간호업무지원영역이라는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고 분류하였다. 이에 총 간호활동 항목은 1,367개, 간호활동 영역은 4개가 되었다. 4) 마지막 4단계에서, 조사된 각 간호활동 항목별 간호수행표준시간 및 간호사 수행비율과 간호활동 영역별 건수 산정기준을 확인한 결과, 간호수행표준시간은 최소 2분에서 최대 120분으로, 간호활동 항목별 간호사 수행비율은 최소10%에서 최대 100%로 조사되었다. 또, 간호활동 영역별 건수 산정결과, 기록작성 발생건수가 56.5%로 가장 많았으며, 처방입력 발생건수 34.1%, 프로그램 사용발생건수 7.8%, 주기적 발생건수(간호업무지원) 1.6%로 분석되었다. 이상에서 전술한 네 단계의 연구과정을 통해 총 1,367개 간호활동항목 추출과 간호활동 영역으로는 처방입력영역, 기록작성영역, 업무수행프로그램사용영역, 간호업무지원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454개 항목의 부가가치 간호활동항목과 913개 항목의 비 부가가치 간호활동 항목으로 규명되어, 현행 의료급여제도에서 의료수가로 반영되지 않고 있는 간호활동 항목이 전체의 66.8%를 차지하였다. 이 항목들은 주로 환자상태를 관찰하는 중요한 간호중재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료수가 반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간호활동 원가관리 항목에 포함시켰다. 간호원가 산정을 위해 OCS, EMR 시스템 외의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환자안전과 관련된 일단위 또는 근무조 단위별로 수행하고 있는 물류관리, 의료장비관리 등 병동환경관리의 주요한 간호활동들이 포함되어 있는 간호업무 지원활동을 원가관리 항목에 포함시켰고 차후 이 부분에 관해서는 간호전산정보시스템 내에서 관리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생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에서 간호활동에 대한 원가정보를 생성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병동간호업무단위의 간호활동을 규명하였다. 이는 의료기관에서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간호원가 정보의 산정을 통해 간호부서의 병원경영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더불어 공공의료기관에서 최우선시 되는 공공성 확보에 대한 기여도를 확인시키는데도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공공병원에서의 간호활동원가 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This study involves empirical data research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of a public hospital in Seoul, Korea, which contains 650 beds, for building a database for cost estimation of nursing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2 to September 2012. Data was collected from the following areas: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ICU), medical and surgical general units, hospice unit, mental health unit, labor room and delivery room, and the newborn nursery. In these areas, 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were used to collect prescription information, flow sheet, and documentation. In addition, nursing activities that could not be captured in OCS and EMR systems were also recorded for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four steps. The first step was gathering of nursing activity data and the domain classification for each item. Nursing activities classified as value-added nursing activities and non-value-added nurs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Step 2. In step 3, the results are integrated into the nursing activities performed with field validation. In step 4, perform standard nursing activiti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final stages of the 3 items each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of nursing, the number of further investig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Step 1, a total of 1,330 nursing activities were collected. The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domains: order entry, documentation, and performance program utilization. In Step 2, the 1,330 items were classified as either a value-added nursing activity or a non-value-added nursing activity. It was determined that 65.9% of nursing activity was non-value added with only 34.1% being value-added nursing activity. In Step 3, the 1,330 nursing activities identified in steps 1 and 2 were applied in the nursing units. As a result, 15 new nursing activities were found as a documentation domain. In addition, 22 nursing activities were found as a separate domain called nursing performance support. In step 4, the usage of nurses time was calculated for each category. Nursing activities duration ranged from 2 minutes up to 120 minutes. The results showed the percentage of nursing activities by domain were as follows: documentation 56.5%, order entry 34.1%, performance program utilization 7.8%, and nursing performance support 1.6%. In conclusion, a total of 1,367 nursing activities and 4 domains were extracted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66.8% of nursing activities were not included in the health benefit plans.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elp to calculate the nursing cost of a public hospital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ing service on the hospital management.; This study involves empirical data research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of a public hospital in Seoul, Korea, which contains 650 beds, for building a database for cost estimation of nursing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2 to September 2012. Data was collected from the following areas: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ICU), medical and surgical general units, hospice unit, mental health unit, labor room and delivery room, and the newborn nursery. In these areas, 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were used to collect prescription information, flow sheet, and documentation. In addition, nursing activities that could not be captured in OCS and EMR systems were also recorded for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four steps. The first step was gathering of nursing activity data and the domain classification for each item. Nursing activities classified as value-added nursing activities and non-value-added nurs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Step 2. In step 3, the results are integrated into the nursing activities performed with field validation. In step 4, perform standard nursing activiti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final stages of the 3 items each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of nursing, the number of further investig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7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6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WELFARE(노인복지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