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4 0

여성의 반려견 죽음에 대한 경험

Title
여성의 반려견 죽음에 대한 경험
Other Titles
The Experience of Woman about a Death of Companion Dog
Author
박주은
Alternative Author(s)
Joo Eun Park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 요약 오늘날 가족의 구조가 핵가족화와 1인 가족의 구조로 바뀌면서 심리적 치유를 가족에게 받지 못하는 현대인들은 파편화된 인간관계 속에서 외로움과 고독감을 느끼고 있다(이서윤, 2009). 이러한 정서적인 결핍을 완화시켜줄 친밀한 관계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반려견을 키우게 된다. 기본적으로 반려견 소유자들은 자기 동물을 단순한 객체로 여기지 않고 주체로, 즉 가까운 친구나 친인척처럼 애정 어린 관계를 나눌 수 있는 명백한 인격체로 여긴다(Serpell, 2003). 이것으로 보면 반려견 소유자들은 반려견을 자신의 동반자나 반려자로 여기며 인간처럼 감정을 교류하는 정신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갖는 가족처럼 생각한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반려견을 키우면서 피할 수 없는 것이 반려견의 죽음이다. 많은 연구들은 이름을 지어주고 심리적으로 애착 관계를 형성한 반려견이 죽었을 때, 사람인 가족을 상실한 것과 같은 슬픔을 느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반려견을 잃은 슬픔은 때로는 심각한 마음의 병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반려견이 죽을 때 겪는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문제는 ‘반려견의 죽음에 대한 여성의 경험은 무엇인가?’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대상은 반려견의 죽음을 겪은 성인여성 9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귀납적이고 서술적인 현상학적 연구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3개의 범주(Categories)로 도출되었다. 범주 1은 반려견의 존재의 의미를 나타내는 [가족 같은 반려견 회상하기], 범주 2는 반려견의 죽음을 알게 되면서 나타나는 [반려견 죽음 인식하기], 범주 3은 반려견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반려견 죽음 수용하기]로 분류되었다. [가족 같은 반려견 회상하기] 범주에서는 반려견 소유자가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려견의 존재가 반려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가족 구성원으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문화의식이 한층 발전되어 단지 동물이 아닌 인생을 반려하는 존재로 인식되기를 바란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범주에서는 반려견이 늙어가면서 생기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 때문에 동물병원의 높은 의료수가가 현실적인 적정수가가 되기를 바라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려견 죽음 인식하기] 범주에서는 반려견의 죽음을 접하고 경험하게 되는 정서적 반응에는 부정함, 슬픔, 슬픔억제, 미안함, 죄책감, 후회가 있으며, 특히 반려견 상실의 슬픔에서 벗어나지 못해 몸이 아프거나 삶의 의욕을 못 느끼는 우울을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려견 죽음 수용하기] 범주에서는 반려견을 잃은 소유자가 가족과 주변인들에게 적절한 위로를 받지 못하면서 생기는 상처로 인해 자신의 슬픔을 감추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반려견을 마음속에서 보내지 못하고 그리워하다 시간이 흐르고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가면서 반려견이 아픈 고통에서 벗어나 다행이라는 생각과 나 자신만이 힘들고 고통스러운 것이 아니라 다른 가족도 고통 속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슬픔에서 회복한다는 점을 다룬다. 참가자들은 돌이켜 보면 시간이 흐르면서 그 슬픔도 지나간다고 한다. 또한 참가자들은 반려견 상실에 대한 지원 체계가 구축되기를 바라며 반려견도 하나의 가족이라는 인식의 변화가 빨리 자리 잡히길 바란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반려견의 죽음을 겪은 여성들의 슬픔과 고통을 이해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들에 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면 본 연구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반려견 소유자들의 슬픔과 고통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2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7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