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0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Title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small-sized obstructing colorectal cancer
Author
안병규
Advisor(s)
이강홍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목적: 폐쇄성 대장암은 일반적으로 종양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장관의 내강을 막아 생긴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임상적인 현상이나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크기가 작은 대장암도 장폐쇄를 유발한다. 저자는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small-sized obstructing colorectal cancer, SOC)이 다른 대장암과 구별되는 임상적,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가질 것이라 생각하였고 이전 연구에서 이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대장암 발생기전 중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으로 발전하는데 특정 분자생물학적 기전이 관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과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배경 및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에서 대장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종양의 최대직경 2.8 cm를 절단값[cut-off value, (평균-1 표준편차)보다 작은 암]으로 하여, 그 이하 크기의 대장암을 크기가 작은 대장암, 그보다 큰 종양을 크기가 큰 대장암으로 정의하였고, 대장 폐쇄 여부에 따라 폐쇄성 및 비폐쇄성 대장암으로 구분하였다. 정상 조직과 종양 조직에서 각각 DNA를 추출하여 5개의 표준 현미부수체 표지자를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하여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은 다른 군에 비해 침윤형 성장이 많았고[12/19 (63.2%) vs. 50/175 (28.6%), P=0.001], 병기 4기의 비율이 높았다[8/19 (42.1%) vs. 26/175 (14.9%), P<0.0001]. 수술 전 평균 혈청 암태아성항원(carcinoembryonic antigen, CEA)은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48.2 ng/ml vs. 12.2 ng/ml, P=0.006). 좌측대장에 발생한 폐쇄성 대장암은 대부분 크기가 큰 대장암이었으며(36/45, 80%), 우측대장에 발생한 폐쇄성 대장암은 좌측대장에 발생한 폐쇄성 대장암에 비해 크기가 작은 대장암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6/15 (40.0%) vs. 10/46 (21.7%), P=0.004]. 진행성 대장암의 빈도가 높은(8/11, 72.7%)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은 다른 군에 비해 재발이 빈번하였고[6/11 (54.5%), P=0.034], 특히 복막전이의 빈도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4/11 (66.7%), P=0.006].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은 19예 모두 현미부수체 안정형이었고(19/19, 100%), 크기가 큰 폐쇄성 대장암은 다른 군에 비해 고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빈도가 높았다[12/58 (20.7%) vs. 11/171 (6.4%), P=0.045]. 무병 생존기간은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이 다른 군에 비해 짧았다(14.3개월 vs. 47.1개월, P<0.0001). 다변량 분석에서 신경침윤, 혈청 암태아성항원, 병기, 크기-장폐쇄 조합이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였다. 결론: 임상적으로 진단 당시 진행형이 많고, 복막전이가 빈번한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은 모두 현미부수체 안정형이었고, 대조적으로 크기가 큰 폐쇄성 대장암은 고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빈도가 높았다. 크기가 작은 폐쇄성 대장암은 대장암 발생 기전 중 현미부수체 불안정성과 연관이 희박할 것이라 생각되며, 추후 다른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0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9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