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 0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과 복식 전자궁절제술의 후향적 비교 연구

Title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과 복식 전자궁절제술의 후향적 비교 연구
Author
천상훈
Advisor(s)
김승룡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전자궁절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로써 전통적인 자궁절제술은 복식 혹은 질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들어 최소한의 절제를 이용한 시술이 널리 보급 되었고 대표적인 예가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자궁절제술에 있어서의 복식수술과 복강경 수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02년 2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산부인과에서 복식 전자궁절제술(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을 받은 168명의 환자와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TLH)을 받은 1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두 군 간의 수술 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환자의 임상 기록을 검토하여 대상 환자의 연령, 신장, 체중, 과거 개복수술의 기왕력, 자궁의 크기, 수술 시간, 출혈량, 입원 기간 등을 조사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별 빈도의 차이는 카이 제곱 검정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으며 연속적인 변수들은 t-test 혹은 만 휘트니 유 검정법(Mann-Whitney U test)을 이용하였다. 자궁크기와 수술 시간과의 선형 관련성의 분석은 스퍼만 상관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검정결과는 P value 가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TLH 군에서 47.8 ± 7.3세(mean ± SD), TAH 군에서 45.2 ± 7.2세로, TLH 군에서 환자의 나이가 조금 더 많았다(P< 0.01). 신장 및 체중에 있어서는 양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과거 복부 수술 기왕력에 있어서는 TLH 군에서 89명(47%), TAH 군에서 97명(56%)의 환자가 각각 수술을 받았으며 이중 TLH 군에서 28명(15%), TAH 군에서 12명(7%)의 환자가 2회 이상의 복부 수술을 받았다. 평균 자궁무게는 TLH 군에서 355.8 ± 211.5 g(범위 40-1040 g), TAH 군에서는 473.6 ± 429.2 g(범위 40-2420 g)로 TAH 군에서의 자궁의 무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 0.01). 수술 시간은 TLH 군에서 평균 179.6 ± 54.0분(범위 70-340분), TAH 군에서는 평균 138.3 ± 57.4분(범위 35-525분)으로 TAH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술 시간이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 0.01). 수술 전후의 혈색소 수치의 변화는 TLH 군에서 3.5 ± 1.9 g/dL, TAH 군에서 1.7 ± 1.6 g/dL로 TLH 군에서 혈색소 수치의 감소가 약 2배 더 심하였슴을 알 수 있었다(P< 0.01). 입원 기간은 TLH 군에서 8.8 ± 5.2일, TAH 군에서 11.0 ± 5.8일로 TAH 군에서 평균 2.2일 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길었다(P< 0.01). 한편 자궁무게와 수술시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TLH 군에서 수술 시간은 자궁의 무게가 클수록 시간이 길어지며(R=0.25, P< 0.01) 과거 수술 횟수가 많을수록 길어졌으나(R=0.38, P< 0.05), TAH 군에서는 이러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보면 TLH는 TAH에 비하여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그러나 TAH에 비하여 TLH가 출혈량이 더 많고 수술시간도 더 길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자궁절제술의 방법을 선택할 때, 크기가 큰 자궁을 무리하게 TLH를 하는 것보다는 TAH를 선택하는 것이 환자의 수술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피하고 환자의 입원기간을 줄이며, 예후를 좋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0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5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