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Kim Youen-
dc.contributor.author발로드잔나-
dc.date.accessioned2020-03-03T16:32:34Z-
dc.date.available2020-03-03T16:32:34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93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281en_US
dc.description.abstractPublic diplomacy came to the fore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and dissolution of the Soviet bloc when governments started to rely more on soft power aspects of diplomacy rather than use of military force and coercion. Many counties have employed public diplomacy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nation branding, improving image for economic or political gains, and political reconciliation. Yet, academic scholarship in public diplomacy lacks depth and clarity on the theoretical aspects of public diplomacy as well as on practical aspects of its implication by certain countries. This dissertation purports to explore the Russian public diplomacy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1925. This study analyzes the trajectory and development of the Russian public diplomacy in relation to its historical development featuring three historical stages: 1) public diplomacy in colonial Korea 2) public diplomacy in the DPRK during the Cold War 3) Post-Cold War public diplomacy in the DPRK and in the Republic of Korea. In a heuristic search for the key elements of the Russian public diplomacy, on the one hand, this study identifies the Soviet legacy and novelty in Russian foreign policy. On the other hand, it detects changes in the paradigms of Soviet and Russian public diplomac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nalyzes public diplomacy transformations in relation to the global and local contex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Since its formation as the first independent Socialist State in 1922, the Soviet Union turned to public diplomacy as a mechanism of soft power to overcome diplomatic blockade and hostilities. The Soviet public diplomacy in colonial Korea reflected the multifaceted foreign policy of the USSR, which aimed at support of the communist movement and at the promotion of peaceful coexistence with countries of different political systems. The Soviet government conducted various public diplomacy activities such as distribution of the Soviet literature, organization of exhibitions, maintaining contact with pro-Soviet organizations, and assistance to victims of 1925 flooding with the purpose to form a positive image of the first socialist state. The existing research suggests that the first Soviet Non-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VOKS (the All-Union Society for Cultural Relations Abroad), Russian Red Cross Society and Krestintern Peasant International were engaged in public diplomatic activities on the territory of colonial Korea. The Korean peninsula emerged as one of the Cold War fronts, where Capitalist and Socialist blocks contested their powers and legitimacies. The USSR pursued a formation of a friendly communist regim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peninsula as the primary goal for public diplomacy in that region. The number of actors of Soviet public diplomacy in Korea remained limited before and during the Cold War. Among them, VOKS and its successor SSOD (Union of the Soviet Societies of Friendship and Cultural Communication with Foreign Countries) were major public diplomacy actors. As the Cold War standoff on the Korean peninsula was escalating, the Soviet Union supported the DPRK with a wider range of soft power assets such as economic resources, cultural attraction, education and science. At this stage, ideology remained a key soft power asset of Soviet public diplomacy on the Korean peninsula before and during the Cold War. During the Cold War rivalry with the USA, the USSR perceived public diplomacy as an effective tool to increase their political influence in the ideological stand off against the Western countries. The Soviet public diplomacy on the Korean peninsula before and during the Cold War galvanized warfare in the ideological war to ensure political influence. The post-Cold War setting demanded a new form of public diplomacy, while the Soviet legacy remains still strong. Since the early 2000s, the Russian Federation turned to public diplomacy as a foreign policy tool aimed at building relations with the two countrie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study implementation of Russian public diplomacy in the DPRK and the Republic of Korea is compared on the everyday communication, strategic communication and face-to-face communication levels of public diplomacy relations building to determine influences of the local contexts. Thus, On the one hand, Russia applied political and economic resources to revive confident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overcome the negative perception resulted from the Russia inconsistent foreign policy to the DPRK in the 1990s. On the other hand, in South Korea Russia turned to historical heritage as a soft power resource to fight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Russian role in Korean history during the cold war period. Overall, on the level of strategic cooperation, the Russian Federation managed to create platforms for cooperation in each country. In North Korea, the Russian Federation actively developed parliamentary diplomacy and increased regional cooperation with the purpose to form a positive opinion of Russia among North Korean decision makers and engage them into a dialog on cooperation for particular issues. In South Korea Russian Federation participated in creation of various platforms for bilateral dialog among academia and business circles. Business, science and also regional cooperation were decided as primary sources of soft power on the second level of public diplomacy relationship building in South Korea. Contacts on the level of face-to-face communication developed especially fast in South Korea. Application of public diplomacy on that level in North Korea is limited due to the absence of civil society in her; as a result the number of Russian non-state actors is limited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 Rossotrudnichestvo, a new government structure founded in 2007 as a successor of VOKS and SSOD, supported public diplomacy activities just in South Korea while a new public organization Russkiy Mir conducted activities on promotion of Russian language and culture in both countries of the Korean peninsula. Thus, this study identifies a marked paradigm shift in the post-Cold war Russian public diplomacy. Public diplomacy was employed as a foreign policy tool aimed at dialog and building relations in order to maximize its economic and political gains and also to project a positive image of post-Cold War Russia as a trusted partner and a friendly nation. As the role of ideological content decreased after the Cold War, the national approaches to public diplomacy emerged to be divergent; reflecting each country’s priorities in foreign policy. On the one hand, Russian public diplomacy featured a growing number of non-state actors and new agendas. On the other hand, Russian government attempted to revive Soviet-type structures and methods to conduct public diplomacy.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Russia has a long history of public diplomac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ublic diplomacy of the Soviet Union and the Russian Fed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varied over time in terms of its objectives, actors, and soft power assets. These differences were defined by international context and also by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targeted countries. |공공외교는 냉전 종식 이후 각국 정부가 군사력 대신 외교적 소프트 파워에 점점 주목하게 됨에 따라 최근 떠오르고 있는 화두로, 최근 많은 국가들은 국가 브랜드 흥보나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해 공공외교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측면은 물론이고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공공외교가 가진 함의와 역할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1925년 이래 한반도에서의 러시아 공공외교를 역사적으로 추적,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사적 공백을 메우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러시아 공공외교의 전반적인 궤적과 발전의 틀 속에서 한반도 지역에서의 식민통치기와 냉전시기 및 탈냉전기 러시아 공공외교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추적하였다. 또한 세계적 변화와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하는 동시에, 러시아 외교정책에 여전히 특징적으로 남아있는 소비에트 시기의 유산과 탈냉전시기에 일어난 외교 패러다임의 전환을 고찰함으로써, 한반도 지역에서의 러시아 공공외교의 주된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러시아의 대 한반도 공공외교를 냉전 이전과 냉전기, 그리고 탈냉전기로 나누고 각 단계별 러시아 공공외교의 변화와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1922년 소연방의 공식 출범 이래, 소련 정부는 공공외교를 외교적 고립을 극복하는 소프트파워적 도구로 주목하고 공공외교의 증진을 위해 힘써 왔다. 이러한 노력은 한반도 지역에서의 소비에트 공공외교 활동에도 반영되어졌다. 소련 정부는 자국 정부의 이미지 개선을 위해 소비에트 문헌의 배포, 공연 및 전시회 활동에 대한 원조는 물론이고 한반도 지역 내 친소비에트 조직과의 유대의 지속, 그리고 1925년 홍수 피해자들에 대한 원조활동 등 다양한 공공외교 활동을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한반도 지역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이러한 공공외교 활동을 선도했던 소련 민간 조직들은 소연방 대외문화교류협회라든가 러시아 적십자사, 그리고 국제농민기구와 같은 조직들이었다. 냉전시기 한반도는 동서냉전의 최전선에 위치했다. 이 시기 소련의 공공외교는 친소국가인 북한 정권에 집중되었으나, 공공외교의 행위자 수는 제한적이었다. 당시 공공외교를 선도한 주요 기관으로는 소연방 대외문화교류협회와 이 협회의 후신인 “해외국가들과의 우호와 문화교류를 위한 소비에트 민간협회연합 (SSOD)”을 들 수 있다. 냉전이 격화됨에 따라 소련 정권은 북한에 대한 소프트파워적 지원을 강화하였던 바, 이 시기 한반도 지역 소비에트 공공외교의 주된 자산은 이데올로기였다. 미국과의 경쟁 속에서 소련 정권은 공공외교를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바라보았고, 한반도 지역에서 그러한 소비에트 공공외교는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격화시켰다. 냉전 종식 이후 공공외교는 전환점을 맞이하였지만 소련 시기의 유산은 러시아의 공공외교에서 여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2000년대 초반 이래 소련을 계승한 러시아 연방은 한반도 지역에서 공공외교를 외교정책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소비에트 시기의 관행을 지속하였는데, 그 전 시기와의 차이는 그 대상이 북한만이 아니라 남한까지 포함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한편으로 러시아 정부는 1990년대 초반 소련의 외교정책으로 손상되었던 북한에 대한 외교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자산을 공공외교 차원에서 동원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러시아는 남한에 대해 냉전 시기 이 지역에 형성되었던 러시아의 역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타파하기 위해 러시아의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자산들을 활용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전략적 협력의 차원에서 러시아 연방은 두 국가 모두와의 협력을 위한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의 경우 시민사회의 부재 때문에 공공외교의 역할은 제한적이지만 러시아는 의회 간 외교를 증진시키고 특정 사안에서 북한 측과의 협력을 증대해왔다. 또한 남한에서 러시아 연방은 학술적, 경제적 교류에서의 쌍무적 대화를 위한 다양한 플랫폼을 남한과의 협력 속에서 만들어 왔던 바, 이는 러시아의 대 남한 공공외교의 핵심이라고 하겠다. 특히 러시아어와 러시아 문화 확산을 위한 민간교류기관인 루스키 미르의 쌍무적인 양국 간 공공외교 활동은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탈냉전기 러시아 공공외교의 근본적 변환과 동시에, 그 방식에서는 소비에트 시기와의 연속성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변환의 내용은 민간 영역에서의 쌍무적 대화와 경제적, 정치적 관계의 증진을 의도하는 것이었으며, 소비에트의 유산인 이데올로기의 역할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국가이미지 제고라는 소비에트 시기의 관행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냉전기와 그 이후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공공외교에 참여하는 러시아 민간조직의 수가 증가하였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서 러시아 공공외교의 역사가 오랜 기원과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러시아 공공외교의 목적과 참여자 및 자산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한 다양성은 공공외교가 행해지는 국제적 맥락과 대상 국가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reflecting each country’s priorities in foreign policy. On the one hand, Russian public diplomacy featured a growing number of non-state actors and new agendas. On the other hand, Russian government attempted to revive Soviet-type structures and methods to conduct public diplomacy.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Russia has a long history of public diplomac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ublic diplomacy of the Soviet Union and the Russian Fed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varied over time in terms of its objectives, actors, and soft power assets. These differences were defined by international context and also by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targeted countri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Russian Public Diplomacy on the Korean Peninsula:-
dc.title.alternative러시아의 대 한반도 공공외교: 변화와 지속-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발로드 잔나-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llod Jann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국제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한국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한국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KOREAN STUDIES(한국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