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습득 어휘량의 관계

Title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습득 어휘량의 관계
Other Titles
Academic Motivation and L2 Vocabulary Siz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uthor
최유리
Alternative Author(s)
Choi, Yu Ri
Advisor(s)
전유아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졸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습득 어휘량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영어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학생들의 정의적인 특성에 바탕을 두고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D특성화고등학교의 1, 2, 3학년 학생 333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동기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영어 성취도에 대한 평가는 Nation(2012)의 Vocabulary level test중 Korean bilingual version을 응용하여, 이해어휘와 표현어휘를 각각 5수준의 50개씩 채택, 100문항의 평가지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 두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이해 어휘 약 2,200개, 표현 어휘 약 970개를 습득하고 있었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서 알고자 했던 학생들의 어휘 수준인 3,000개와 5,000개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특히 이해 어휘보다 표현 어휘 수준이 많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표현 어휘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중 가장 높은 것은 외적 동기의 외부 조절 이었고, 가장 낮은 동기는 내적 동기-지식이었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외적 동기에 의해서 많은 자극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반면에 학습 자체에서 흥미를 느끼는 내적 동기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내적 동기의 경우 무동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자기결정성이 낮은 항목들에 대한 동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외부 조절과 무동기가 낮아지는 점과 동일시 조절, 내적 동기가 높아지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적 동기가 낮고 외적 동기만 높다는 것은 외적인 보상이 사라지면, 지속적인 영어 학습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외부 조절과 무동기가 높은 1학년 학생들의 외부 조절과 무동기를 낮추고, 동일시 조절, 내적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하나의 과제라 할 수 있겠다. 셋째, 영어 학습 동기와 어휘량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고, 그런 유의미한 관계는 동일시 조절, 무동기, 내적 동기-자극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동일시 조절과 내적 동기의 경우 동기가 높을수록, 어휘량이 많게 나왔다. 무동기는 그 수준이 낮을수록 어휘량이 높게 나왔다. 동기들 중에서 자기결정성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동일시 조절, 내적 동기와 자기결정성이 가장 적은 무동기가 어휘량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결국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이야기하는 자기결정성이 학생들의 학습을 자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동기들 중에서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일시 조절과 내적 동기를 자극하고, 무동기를 낮추는 방법을 찾는다면, 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어휘량 사이에는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말하는 자기결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록 지금은 낮은 어휘 수준을 가진 학생들이지만, 자기결정성이 높은 동기를 자극하면, 어휘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또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나아가 단순히 어휘량뿐만 아니라, 영어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의 동일시 조절과 내적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학생들이 학습에 대해 능동적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교사의 다양한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With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many researchers studied the motivation of adolescent learners and showed results that motivation is a critical factor in their successful L2 learning. Nevertheless, there are lack of studies that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motivation in L2 learning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orientations of L2 learning and their L2 vocabulary size, and then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ch are deemed to affect L2 learning outcomes, in our case, vocabulary knowledge. For this purpos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size tests on 333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in ‘D’ information industrial high school. Also, the learners’ degree of motivation was estimated through the Language Learning Orientations Scale-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Subscales(Noels,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receptive vocabulary size (RVS) knowledge of 2,200 and the productive vocabulary size (PVS) of 970 word families respectively from a total of 5,000 words. This showed that the students can produce 44.09% of the words that they knew receptively. Secondly, among the 7 different motivations, external regulation scored highest while intrinsic motivation-knowledge scored lowest. Also, both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tudents’ year of study and English learning understanding. Thirdly, in the case of identified regulation, a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stim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se and receptive vocabulary proficiency groups. Furthermore, five types of motivations, except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were highly related with productive vocabulary proficiency groups. In conclusion, the most autonomous and self-regulated type of extrinsic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motivational variable for L2 learning.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L2 teaching needs to be designed to promote more self-determined motivation like identified regulation, so that students develop not only their L2 vocabulary size but also their L2 proficiency.; With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many researchers studied the motivation of adolescent learners and showed results that motivation is a critical factor in their successful L2 learning. Nevertheless, there are lack of studies that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motivation in L2 learning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orientations of L2 learning and their L2 vocabulary size, and then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ch are deemed to affect L2 learning outcomes, in our case, vocabulary knowledge. For this purpos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size tests on 333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in ‘D’ information industrial high school. Also, the learners’ degree of motivation was estimated through the Language Learning Orientations Scale-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Subscales(Noels,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receptive vocabulary size (RVS) knowledge of 2,200 and the productive vocabulary size (PVS) of 970 word families respectively from a total of 5,000 words. This showed that the students can produce 44.09% of the words that they knew receptively. Secondly, among the 7 different motivations, external regulation scored highest while intrinsic motivation-knowledge scored lowest. Also, both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tudents’ year of study and English learning understanding. Thirdly, in the case of identified regulation, a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stim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se and receptive vocabulary proficiency groups. Furthermore, five types of motivations, except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were highly related with productive vocabulary proficiency groups. In conclusion, the most autonomous and self-regulated type of extrinsic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motivational variable for L2 learning.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L2 teaching needs to be designed to promote more self-determined motivation like identified regulation, so that students develop not only their L2 vocabulary size but also their L2 proficienc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88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9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