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 0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내 북한사 서술 분석

Title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내 북한사 서술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Textbooks :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Author
박보현
Alternative Author(s)
Park, Bo Hyeon
Advisor(s)
박찬승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에게 북한사를 올바르게 교수하려면 교과서 내 북한사의 서술 방향이 어떠해야 할지를 먼저 고민해보았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가 현재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것인 만큼, 교과서 내 북한사는 분단된 한반도의 상황을 이해하고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가 통일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당장 통일은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므로 당장의 통일을 강조하기 보다는 통일을 궁극적인 목표로 두되, 현재로서 우선은 남북한의 평화를 지향하는 관점에서 북한의 과거에 접근하는 것이 더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 속 북한사 서술 지침을 분석해 보았다.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확실히 변화·발전되고 현재 상황에 더 적합한 서술방향을 제시했다. 그러나 여전히 개선되지 못해, 북한의 과거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다소 어렵게 하는 요소들이 남아 있어 아쉬웠다. 다음에는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내 북한사 서술 체제를 알아보기 위해, 분량과 목차를 출판사별로 비교하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요한 학습내용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내에서 북한사는 여전히 소략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목차 구성에서도 부족한 부분들이 있었는데, 이는 대체로 개정 교육과정의 한계점으로 지적된 사항들과 다르지 않았다. 세 번째로는, 교과서의 핵심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본문 내용을 분석했다. ① 북한의 정부 수립과정 부분에서는 실제로 분단정부 수립에 대한 지향이 남북한 동시에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교과서가 북한에 분단의 책임을 지우는 서술을 했다. 그러므로 보다 객관적으로 서술하려면 남북한 정부 수립과정을 동시에 병렬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 ② 6․25전쟁 본문 부분에서는 단순히 북한의 남침과 그 준비과정을 서술하기보다는 북한이 어떻게 평화통일이 아닌 무력을 동원한 통일을 선택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서술이 더 중요해 보인다. 그리고 남북한의 화해의 가능성을 좀 더 넓히기 위해, 단순히 전쟁의 상처와 아픔을 나열하기보다는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나 ③ 전후 북한의 변화 부분에서는 오류가 많고 중요한 내용을 생략한 경우가 있어, 그 서술에 수정이 요구된다. ④ 1960년대 이후 북한의 모습에 대해서는 개혁․개방 측면에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이며, 북한의 어려움에 대한 인도주의적 시각을 덧붙이는 것이 남북한 통일․평화 형성에 더 도움이 되는 서술이라는 생각이 든다. ⑤ 남북한 관계변화 부분에서는 그 배경으로 남북한 각각 내부적으로 관계개선의 의지가 있었음을 서술해주고, 남북한의 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북한의 달라진 상황도 중요하게 다루어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한편, ⑥ 다른 나라의 분단과 통일 사례 영역에서는 미처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지 못한 나라의 사례까지 제시하여, 통일을 위해 남북한 내부 단결의 중요성을 역설한 점이 좋았다. 마지막으로 북한사를 교수·학습하는 교재로서 교과서의 학습효과측면을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 내 북한사 학습보조자료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학습보조자료들도 학생들의 수월한 이해를 도모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들이 있었다. 이처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서술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내 북한사는 전체적으로 남북한 통일과 평화관계 형성에 이바지할 만한 교재라고 평가하기에는 명확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차후의 교과서에는 본고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이 개선되고 제안한 점들이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교육과정의 한계점 개선이 시급해보이며, 교과서 집필자들도 교육과정의 제약을 넘어서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계속하길 바란다.|ABSTRACT Analysis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Textbooks -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 Park, Bo Hyeon Dept. of Histo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on on description about North Korean history with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It is supposed to support high value of text book as a teaching and learning book and importance of North Korean history a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For the research, right direction to describe North Korean history to teach for students properly was considered first of all. The reason why we study history is to perceive the present and live rightly. Thus, North Korean history in text book should be describ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Korea and perceive our current goal is reunification but actually it is impossible to be united for the pres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ast of North Korea for pea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urrently rather than emphasizing on reunification instantly, while thinking over the ultimate goal is reunification. In the light of the prospective, firstly description guide for North Korean history in 2009 revision curriculum was investigated. Next to figure out the description system of North Korean history within high school『Korean History』 textbooks, amount and table of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shing company. Thirdly, the body of the book was investigated as a core content of the text book. Lastly, to look into if the text book motivates students with North Korean history as teaching and learning book and the learning effect, learning supplementary data was analyzed. The result was although mainly the description for North Korean history within 『Korean History』 textbooks showed changes and development, there is a certain limit to evaluate the book to help form peaceful relation and reunification in general. When it come to the learning effect, it was also insufficient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easily. Thus, next text book will be expected to solve the problems the study presents and include suggestions on the study.; ABSTRACT Analysis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Textbooks -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 Park, Bo Hyeon Dept. of Histo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on on description about North Korean history with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It is supposed to support high value of text book as a teaching and learning book and importance of North Korean history a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For the research, right direction to describe North Korean history to teach for students properly was considered first of all. The reason why we study history is to perceive the present and live rightly. Thus, North Korean history in text book should be describ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Korea and perceive our current goal is reunification but actually it is impossible to be united for the pres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ast of North Korea for pea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urrently rather than emphasizing on reunification instantly, while thinking over the ultimate goal is reunification. In the light of the prospective, firstly description guide for North Korean history in 2009 revision curriculum was investigated. Next to figure out the description system of North Korean history within high school『Korean History』 textbooks, amount and table of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shing company. Thirdly, the body of the book was investigated as a core content of the text book. Lastly, to look into if the text book motivates students with North Korean history as teaching and learning book and the learning effect, learning supplementary data was analyzed. The result was although mainly the description for North Korean history within 『Korean History』 textbooks showed changes and development, there is a certain limit to evaluate the book to help form peaceful relation and reunification in general. When it come to the learning effect, it was also insufficient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easily. Thus, next text book will be expected to solve the problems the study presents and include suggestions on the stud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8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3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